목차
방어기제
Ⅰ.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의 정의
Ⅱ.방어기제의 특징
Ⅲ. 방어기제의 종류
Ⅰ.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의 정의
Ⅱ.방어기제의 특징
Ⅲ. 방어기제의 종류
본문내용
열을 검토해야..
ex) 지금 내가 하는 일은 역사적으로 대단한 일이다/나는 이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인물이다 / 나는 가끔 신비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같은 느낌이 든다/ 내게 정치를 맡기기만 한다면 사회문제를 자신있게 바꿀수 있다.
* 수동 공격적 행동(passive-agreessive behavior)
공격적인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그 감정을 처리하는, 예를 들면 실수, 꾸물거리는 행동, 묵묵부답 등의 행동의 경우. 어느시기까지는 상대에게 자극을 주지만 높은경우 수동공격적 인격장애로 올 수 있다.
ex) 누가 나에게 일을 시키면 바쁜척한다. 화가 날 때 뚱하니 말을 안한다. 누가 일을 재촉하면 더 꾸물거린다. 화가나면 상대방을 은근히 골탕먹인다. 등.
* 통제(controlling)
갈등상황에서 주변의 환경이나 대상이나 사건을 조정하고 이용하려는 과도한 시도를 하는것. 높은 경우 대인관계에서 자기주장이 강하거나 간섭이 강하다.
ex)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을 그냥 넘기지 못한다. 일이 생기면 진두지휘해야 한다/ 다른사람이 하는 일을 바로잡아주고 싶은 경우가 자주 있다 /모임에선 내가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
* 예견(anticpation)
미래의 내적 불편감에 대해 현실적으로 계획을 세우는 방식으로 높은 경우는 일상에서 신중한 일처리를 하여 실수를 범하지 않는 긍정적 요소도 있으나 소극적으로 현실을 대응하고 회피할 우려가 있다. 강박증..
ex) 누울 자리를 보고 발 뻗는다. 지나친 대비/ 집에 도둑들 때를 대비하여 대책을 지나치게 철저히 세운다
* 해리 (dissociation)
고통을 피하기 위해 개인의 인격이나 자아정체감, 일시적으로 극적인 의식의 변형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나며, 높은 경우 히스테리성 인격의 경향성, 해리성장애 여부를 검토해야..
ex) 힘든 일에 부딪치면 멍해진다. / 내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하는지 모르겠다./복잡한 일이 생기면 정신이 혼란해져 엉뚱해진다/ 현실이 꿈을 꾸는듯하다.
* 신체화(somatization)
심리적 갈등이 신체적 증상으로 전환되어 신체반응을 보이는 경우. 갈등장면은 회피하면서 극적인 방법으로 자신을 과시하는 행동을 취하는 것. 심하면 신체화 장애, 전환성 장애, 히스테리성 인격을 검토해봐야.
ex) 아이들이 학교가기 싫을 때 배아프다고 하는 것/ 기분안좋을 때 잘 체한다/ 괴로운 일이 생기면 몸부터 아프다
ex) 지금 내가 하는 일은 역사적으로 대단한 일이다/나는 이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인물이다 / 나는 가끔 신비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같은 느낌이 든다/ 내게 정치를 맡기기만 한다면 사회문제를 자신있게 바꿀수 있다.
* 수동 공격적 행동(passive-agreessive behavior)
공격적인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표현함으로써 그 감정을 처리하는, 예를 들면 실수, 꾸물거리는 행동, 묵묵부답 등의 행동의 경우. 어느시기까지는 상대에게 자극을 주지만 높은경우 수동공격적 인격장애로 올 수 있다.
ex) 누가 나에게 일을 시키면 바쁜척한다. 화가 날 때 뚱하니 말을 안한다. 누가 일을 재촉하면 더 꾸물거린다. 화가나면 상대방을 은근히 골탕먹인다. 등.
* 통제(controlling)
갈등상황에서 주변의 환경이나 대상이나 사건을 조정하고 이용하려는 과도한 시도를 하는것. 높은 경우 대인관계에서 자기주장이 강하거나 간섭이 강하다.
ex)주변에서 일어나는 일을 그냥 넘기지 못한다. 일이 생기면 진두지휘해야 한다/ 다른사람이 하는 일을 바로잡아주고 싶은 경우가 자주 있다 /모임에선 내가 주도권을 잡아야 한다.
* 예견(anticpation)
미래의 내적 불편감에 대해 현실적으로 계획을 세우는 방식으로 높은 경우는 일상에서 신중한 일처리를 하여 실수를 범하지 않는 긍정적 요소도 있으나 소극적으로 현실을 대응하고 회피할 우려가 있다. 강박증..
ex) 누울 자리를 보고 발 뻗는다. 지나친 대비/ 집에 도둑들 때를 대비하여 대책을 지나치게 철저히 세운다
* 해리 (dissociation)
고통을 피하기 위해 개인의 인격이나 자아정체감, 일시적으로 극적인 의식의 변형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나며, 높은 경우 히스테리성 인격의 경향성, 해리성장애 여부를 검토해야..
ex) 힘든 일에 부딪치면 멍해진다. / 내 자신이 어떤 행동을 하는지 모르겠다./복잡한 일이 생기면 정신이 혼란해져 엉뚱해진다/ 현실이 꿈을 꾸는듯하다.
* 신체화(somatization)
심리적 갈등이 신체적 증상으로 전환되어 신체반응을 보이는 경우. 갈등장면은 회피하면서 극적인 방법으로 자신을 과시하는 행동을 취하는 것. 심하면 신체화 장애, 전환성 장애, 히스테리성 인격을 검토해봐야.
ex) 아이들이 학교가기 싫을 때 배아프다고 하는 것/ 기분안좋을 때 잘 체한다/ 괴로운 일이 생기면 몸부터 아프다
추천자료
안나 프로이드의 방어기제 이론
오셀로 증후군
망상장애(피해형 망상장애)
프로이트, 에릭슨, 피아제, 파블로, 스키너, Bandura, 학습 이론
불안장애의 증상과 치료방안 - 불안장애의 종류, 원인론, 외상후 스트레스, 사례조사,
영화를 통해 본 라깡과 프로이드 이론
전태일 평전
아동상담의 이론적 모델
방어기제종류및 자신이주로 사용하는 방어기제
프로이드의 방어기제
방어기제의 종류
융의분석심리학 수업후 유아교사로서 알게되고 변화한점과 생각이나 마음에 어떤영향을 미쳤...
프로이드의 방어기제를 정리하고, 자신의 경우 방어기제가 적용된 각각의 예를 들어 보시오.
『심리학자의 마음을 빌려드립니다』 [요약 및 독후감-서평] _ 한성열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