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교육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
2.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내용

차원이 다르다. 그 차이는 시험문제로 출제되는 논제의 몇 가지 예를 통해 충분히 알 수 있다. 즉, “망각이란 무엇인가” “신이 없다면 모든 것은 허락 되는가” “지혜는 혁명적일 수 있는가” “좋은 편견도 있는 가” “데모크라시가 꼭 가장 좋은 체제인가” “역사에 방향이 있는 가” 등 추상론에서부터 사회철학, 역사철학의 중요한 문제까지 등장한다. 시험은 출제되는 세 가지 논제 중 하나를 선택해 4시간동안 논술하게 돼 있다.
실제로 대부분의 프랑스인들은 대학입학능력시험(바칼로레아)에 철학 과목을 포함시키는 세계 유일의 나라라는 데 굉장한 자부심을 느낀다. 이러한 평가 방식을 통해 프랑스인들은 자국의 학생들의 도덕적, 철학적 사고와 가치관을 평가하고자 한다. 지금까지 우리가 해 온 평가 방법은 얼마나 빨리 많은 것을 외워서 정확한 답을 말하느냐의 문제로 결정지어졌다. 이러한 방법으로 평가된 학생들은 기계화된 정답을 잘 맞힌 학생 순으로 좋은 명문대학에 진학해 대부분의 사람들이 동경하고 부러워 할 만 한 경제적, 사회적 지위를 얻는 것을 잘 사는 것이라고 생각했고 그런 쪽으로 암묵적인 강요를 하는 교육을 받아 왔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우리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에게 앞으로 잘 사는 것이 어떠한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과 경험을 주는 교육을 제공하고 또한 잘 사는 것이 무엇인지를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철학적 사고력을 가르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인간은 생득적으로 잘 살아가고 싶어 하는 존재 영위의 욕구가 있다. 그러나 잘 산다는 것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것은 개인마다 주관적이며 또한 변화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삶을 살아가면서 내가 생각하는 ‘잘삶’과 타인이 생각하는 ‘잘삶’에 대한 고찰을 끊임없이 해 나가며 그 간격을 좁혀나가는 노력을 해야 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간격을 좁혀나가는 노력이라는 것이 타인의 가치관에 그대로 따라가라는 의미가 아니라 타인을 통해 스스로를 반성적으로 들여다보는 객관화의 작업을 말한다. 결국 잘 사는 삶에 대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우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다. 이렇게 선택을 하는 행위는 결국 각자의 자율성에 귀인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자율성을 기르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라 할 수 있으며, 자유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대한민국에서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교육목표를 통해 꼭 함양해야 하는 자질이며 그 자율성을 가능케 하는 것은 교육이라 하겠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2.03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02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