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과 위기개입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죽음과 위기개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Ⅱ. 죽음에 대한 이해 1
1. 인간의 죽음 1
1) 죽음의 유형 1
2. 죽음의 단계와 죽음 단계에서의 두려움 4
1) 죽음의 단계 4
2) 죽음 단계에서의 두려움 5
3. 죽음의 반응 단계 6
1) Kübler-Ross의 죽음 수용의 5단계 7
2) 논의 8
4. 죽어가는 사람의 욕구와 권리 9
1) 죽어가는 사람의 욕구 9
2) 죽어가는 사람의 권리 10

Ⅲ. 죽음과정에서의 사회복지적 개입과 위기극복 11
1. 죽음과정에서의 사회복지적 개입 11
1) 사회복지사의 역할 11
2) 직접적 개입 12
(1) 상담치료 12
(2) 환경의 조성 14
(3) 자원체계의 조직 동원 14
2. 사별 후의 상황 15
1) 사별(死別) 15
2) 슬픔의 과정 16
3) 비탄반응과 기간 18
4) 사별자의 권리와 의무 19
3. 사별극복을 위한 개입전략 19
1) 사회복지사의 활동목표 19
2) 집단프로그램 19
3) 상담프로그램 23

Ⅳ. 결론 30

Ⅴ. 참고문헌 32

본문내용

있다.
④ 그림그리기
글을 쓰는 것처럼 그림을 그리는 것은 고인의 경험뿐만 아니라 자신의 감정을 반영하고 이것은 매우 유용하다. 이는 경험한 아이들에게 좋은 방법이 되고 어른들에게도 유익하다.
⑤ 역할극
유족이 다양한 상황에 대한 역할을 연극하는 것은 그들의 두려움과 서투른 방식에 대한 느낌을 정리하도록 돕는다. 상담자는 역할극을 통해 내담자에게 새로운 행동 모델을 제시해 줄 수 있다
⑥ 인식의 재구성
우리의 사고가 우리의 감정 특히 은밀한 사고나 자아에 영향을 주고 우리의 정신에까지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 내담자의 불합리한 생각에 의해 생긴 정신불안을 고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⑦ 기억이 담긴 책
죽음을 경험한 가족들은 함께 고민에 대한 기억이 담긴 책을 만들 수 있다. 이 책은 가족 이벤트, 스냅사진이나 다른 사진, 그리고 시나 그림과 같은 것을 통해 기억할만한 사건 기록을 가족과 함께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것은 가족이 예전의 추억을 회상할 수 있게 해주고 죽은 사람에 대한 실제적인 이미지를 슬퍼할 수 있도록 돕는다. 게다가 아이들은 이 책을 나중에 다시 볼 수 있고, 이는 성장과정과 그들의 변화되는 삶 속에서의 그들의 상실을 통합할 수 있다.
⑧ 유도된 상상
눈을 감고 고인을 상상하는 것, 빈 의자에 앉아서 고인을 느껴보는 것 그리고 고인에게 하고 싶은 말을 하도록 격려하는 것 등은 매우 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의 모든 목적은 죽음의 경험 또는 후회나 지키지 못한 약속 등으로 인해 일어난 감정이나 사고를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Ⅳ. 결론
죽음이라는 위기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맞이하게 되는 상황이다. 갑작스런 죽음이든 예측된 죽음이든 죽음 앞에서는 임종자와 그의 가족들 모두 충격과 슬픔, 좌절등을 겪게 되며 여러 가지 부정적인 환경에 처하게 된다. 이런 위기에 처한 자들의 이해와 신속한 욕구파악ㆍ심리사회적인 지지ㆍ상담 등을 통해 사회복지사는 죽음을 좀 더 편안하고 긍정적으로 맞이하게 할 수 있게끔 임종자와 그의 가족들을 원조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된다. 또한 사회복지사는 죽음의 위기를 개인의 문제가 아닌 가족 구성원 전체의 문제로 파악해야 될 것이며, 그 위기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위기 극복 프로그램 개발과 적절하게 개입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Ⅴ. 참고문헌
김기태. 1998. 《위기개입론- 일상생활의 위기와 극복방법》. 서울: 대왕사.
김기태 외. 2004. 《노인복지실천론》. 양서원.
노유자 외. 1998. 《호스피스와 죽음》. 현문사.
윤상철. 2003. 《가족상실과 위기상담》. 서울: 한글.
이광재. 2003. 《호스피스사회사업》. 인간과복지.
장인협ㆍ최성길. 1998. 《노인복지학》. 서울대출판부.
Kubler-Ross(성염 역). 2001. 《인간의 죽음》. 서울: 분도출판사.
캐롤 스타우다처 지음/이선주 역. 2001.《슬픔을 넘어서》. 청양.
김은미. 2001.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 및 임종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김미혜 외(2004). “노인이 인지하는 ‘좋은 죽음’ 의미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2호.
민경완. 1996. “사별의 슬픔에서 벗어나는 길(2)”. 세계의신학 제33호. 한국기독교연구소.
양명주. 2003. “사별상담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대학교.
이재술. 2007. “호스피스 사회사업의 기록과 사별관리”. 박사학위논문. 사회사목국
장옥화. 2004. “노인의 죽음에 관한 연구 - 죽음에 대한 교육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강대 공공정책대학원.
전영기. 2000. “노년기 죽음불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
조용길. 2007. “韓國喪·葬禮에에에 나타난 遺族의 死別슬픔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이준혜. 2006. “사목현장을 찾아서”. 사목2006년11월호(통권 제334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V.패러친. 1997. “사별한 사람들을 어떻게 위로할 것인가”. 사목1997년12월(통권 제227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Hackett, A. T. 1971. "An Understanding of Death". A Matter of Life and Death to Them of Deans. Council seminar E. T. S., 43(1): 1-17
Hill, R. D., D. Lund. & T. Packard. 1996. "Bereavement." In J. I Sheikh(Ed.), Treating the Elderly. San Francisco: Jossey-Bass.
Kubler-Ross, E. 1969. "On Death and Dying". New York: Macmillan
Saudacher, C. 1991. Men and Grief. Oakland, CA:New Harbinger.
Scrutton, S. 1995. Bereavement and grief: Supporting older people through loss, London: Co- published ith Age Concern England.
Michael A. S. 1979. "Dying Facing the Facts Soci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Dying" N. Y.: Hemisphere Publishing
Pattison, E. M. 1977. "The Experience of Dy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Worden, J. W. 1991. "Grief Counseling and Grief Therapy: A handbook for the mental health practitioner(2nd. ed.). New York: Springer.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홈페이지 http://www.chest.or.kr/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저널'. 메디컬투데이. 2007.7.14
2006년 사망 및 사망원인통계결과. 통계청. 2007.
  • 가격2,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10.02.03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0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