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목차
1. Case Overview
2. Clinical Understanding
3. Social Study
4. Theoretical Basis
(1) 초기단계 - Assessment
(2) 중기단계 - Intervention Plan
(3) 종결단계
5. Assessment
6. Intervention Plan
2. Clinical Understanding
3. Social Study
4. Theoretical Basis
(1) 초기단계 - Assessment
(2) 중기단계 - Intervention Plan
(3) 종결단계
5. Assessment
6. Intervention Plan
본문내용
2. Clinical Understanding
0 Medical History
2013년 1월 두통증상이 나타나, 인근 병원에서 인후염(laryngopharyngitis)으로 진단받았다. 그에 대해 의사가
처방한 약을 복용하였다. 그러나 지속된 두통으로 보다 큰 병원인 ‘베이비 칠드런 병원’으로 옮겨갔고,
MRI촬영을 통해 뇌종양임을 진단받았다. 11년 3월부터 12년 1월까지 항암화학요법(항암치료)을 받았고,
12번의 항암치료 끝에 완치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13년 두통이 다시 나타났으며, 병원에서 6월 재발 판정하였다.
7월에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았고, 항암치료를 진행했으나, 타난에게 피로가 크게 누적되고, 1일간 무의식상태가
되는 등 몸이 견디질 못해 양성자치료로 치료법을 바꾸게 된다. 현재 양성자 치료를 앞두고 있다.
생후 28개월 후 진단
2011년 4월: 두통 호소, 인근 이비인후과에서 인후염 진단. 감기약 복용
2011년 5월: 계속된 두통으로 인해 몽골 베이비 칠드런 병원에서 MRI 촬영 상의세포종 진단
(몽골에서는 고칠 수 없음), 한국 선교사의 도움으로 한국행
2011년 6월: 한국행 비행기.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에 감
2011년 6월~2012년 2월: 9개월간 총 12회의 항암화학요법(항암치료)을 받고난 후 완치판정
2012년 2월: 몽골로 귀국
2013년 5월: 다시 두통 호소. 몽골 베이비 칠드런 병원 재방문. 상의세포종 재발 판정
2013년 6월: 한국 재입국
2013년 7월: 삼성서울병원에서 조혈모세포 이식 받음
2013년 10월~2014년 2월: 5개월간 항암화학요법 치료 받음. 그러나 타난의 몸에 피로가 크게 누적되고,
1일간 무의식상태가 되는 등 몸이 견디질 못함. 양성자치료로 치료법 바꾸기로 결정
2014년 2월: 고양시 국립암센터에 입원함. 양성자 치료 예정
0 Medical History
2013년 1월 두통증상이 나타나, 인근 병원에서 인후염(laryngopharyngitis)으로 진단받았다. 그에 대해 의사가
처방한 약을 복용하였다. 그러나 지속된 두통으로 보다 큰 병원인 ‘베이비 칠드런 병원’으로 옮겨갔고,
MRI촬영을 통해 뇌종양임을 진단받았다. 11년 3월부터 12년 1월까지 항암화학요법(항암치료)을 받았고,
12번의 항암치료 끝에 완치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13년 두통이 다시 나타났으며, 병원에서 6월 재발 판정하였다.
7월에 조혈모세포 이식을 받았고, 항암치료를 진행했으나, 타난에게 피로가 크게 누적되고, 1일간 무의식상태가
되는 등 몸이 견디질 못해 양성자치료로 치료법을 바꾸게 된다. 현재 양성자 치료를 앞두고 있다.
생후 28개월 후 진단
2011년 4월: 두통 호소, 인근 이비인후과에서 인후염 진단. 감기약 복용
2011년 5월: 계속된 두통으로 인해 몽골 베이비 칠드런 병원에서 MRI 촬영 상의세포종 진단
(몽골에서는 고칠 수 없음), 한국 선교사의 도움으로 한국행
2011년 6월: 한국행 비행기.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에 감
2011년 6월~2012년 2월: 9개월간 총 12회의 항암화학요법(항암치료)을 받고난 후 완치판정
2012년 2월: 몽골로 귀국
2013년 5월: 다시 두통 호소. 몽골 베이비 칠드런 병원 재방문. 상의세포종 재발 판정
2013년 6월: 한국 재입국
2013년 7월: 삼성서울병원에서 조혈모세포 이식 받음
2013년 10월~2014년 2월: 5개월간 항암화학요법 치료 받음. 그러나 타난의 몸에 피로가 크게 누적되고,
1일간 무의식상태가 되는 등 몸이 견디질 못함. 양성자치료로 치료법 바꾸기로 결정
2014년 2월: 고양시 국립암센터에 입원함. 양성자 치료 예정
추천자료
[위기개입모델]위기개입모델의 정의와 이해, 위기에 대한 이해와 개입기법의 원칙과 과정, 위...
[과제중심모델][위기개입모델]과제중심모델과 위기개입모델의 정의와 특징 및 적용 과정과 사...
[실천기술론] 실사례를 통해 살펴본 위기개입모델에 대한 모든 것 - 성폭행 피해 아동과 위기...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위기개입모델 적용방안을 기술
위기개입모델의 사례적용 및 제언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모델 - 위기개입 모델의 개념과 사회복지실천상의 위기개입의 ...
과제중심모델과 위기개입모델의 적용사례 분석
[실천기술론]실사례를 통해 살펴본 위기개입모델에 대한 모든 것
대인관계형성기술과 과제중심모델, 역량강화모델, 위기개입모델에 대한 각각의 분석과 개입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