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켈도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니켈도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니켈도금(Nickel Plating)
1. 니켈도금의 개요
2. 무광택 니켈도금
3. 광택 니켈 도금
4. 2중 니켈도금
5. 3중 니켈 도금
6. 전주니켈 도금 (슬파민산니켈 도금)
7. 니켈 스트라이크 도금
8. 흑색 니켈 도금
9. 바렐 니켈 도금
10. 니켈 양극

크롬도금

본문내용

제품 두께별 편차 및 표면 조도차에 의하여 균일전착성이 상당히 나쁘게 되므로 이에 알맞은 양극 및 보조음극을 사용해야 한다. 방지할수 있다.
4) 소지표면형상과 경질크롬도금의 피복능력관계
소재에 핀홀이나 주물소, 갈라짐 같은 것이 있는 경우 이것을 크롬도금으로 메우는 것은 크롬도금의 부착성이 나쁘므로 곤란하다. 즉 크롬 도금은 그 두께의 증가와 더불어 표면의 결함이 확대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멍이나 갈라짐은 크롬도금의 문제점으로 되는 경향이 많으므로 소지에 이와 같은 결함이 있어서는 곤란하다.
5) 경질(공업용) 크롬도금의 내식성
크롬도금의 내식성을 생각할 때에는 크롬자신의 내식성과 도금에의 내식성을 분리해서 생각해야 한다.크롬금속은 화학약품에 대하여 내식성이 있어서 내마모성이 필요하지 않더라도 다만 내식성 때문에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공업용 크롬도금은 일반적으로 도금층에 갈라짐이 발생한다. 이 갈라짐은 도금두께가 50㎛ 까지는 소재까지 관통하고 있어서 침입한 액(부식성)에 의하여 소재가 부식되거나 또는 그 액을 전해액으로 하는 소재와 크롬의 국부전지 작용에 의하여 소재가 급속히 부식된다.
예를 들면, 철에 크롬도금 한 것을 물속에 담궈 놓았을 경우, 크롬도금의 핀홀이나 갈라짐이 소재까지 관통되고 있지 않다면, 도금면은 부식되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에 소재까지 관통된 핀홀이나 갈라짐 같은 것이 있다면 물속에 전해질에 의해 철, 크롬사이에서 국부전지가 형성되어 철이 급속하게 용해된다. 크롬은 철보다 이온화경향이 크지만 대기중에서 부동태화 되므로써 철이 양극이 되어 용해하게 된다. 크롬도금의 갈라짐 발생은 도금욕의 조성이나 전착조건에 의하여 크게 달라지는 것이며,이런점을 보완한 크랙후리(CRACK FREE)크롬도금은 내식성은 뛰어나지만 경도가 낮으며 수요관계가 적어 널리 쓰이지 못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공업용 크롬도금의 갈라짐은 내식성에 큰 관계가 있으나 도금의 조건 이외에도 도금후의 그라인더 연삭 같은것에 의해서도 그 발생상황이 달라진다. 그라인더 연삭으로 끝맺음질을 한 도금면은 100㎛ 도금두께에서 갈라짐이 소재까지 관통되어 있을 경우가 대부분이며, 때로는 200㎛의 두꺼운 도금에서도 좋은 내식성이 얻어지지 못할때가 있다. 더욱이 도금의 내식성에는 도금의 밀착성도 관계되고 있는 것같다. 물속이나 습기가 많은 상태에서 사용되는 두꺼운 크롬도금의 부식상황을 관찰해 보면 밀착력의 양호여부는 밀착면적이 크고 작은데에도 관계가 되고 있다.밀착력이 약한 도금일 때에는 밀착된 부분과 밀착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 이 때문에 사용할때의 가열, 냉각의 되풀이와 외부로부터 압력의 되풀이 등에 의하여 상당히 두꺼운 도금이라도 갈라짐이 소재에 까지 관통되어 부식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도금두께는 충분하더라도 두께에 관계없이 소재가 전기화학적으로 급속하게 부식 당하는 경우가 가끔씩 나타나게 된다.
6) 부식성 분위기에서의 사용부품과 부식양상 :
내마열성과 내식성이 요구되는 부품에 대해서 크롬도금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가끔 부식으로 인한 클레임이 있을 경우가 있다. 크롬도금은 크랙(갈라짐)이 있는층이 몇중으로 겹쳐져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두꺼운 도금이라도 소지까지 통하는 세공(細孔)이 존재한다. 실용상으로서는 꽤 큰 내식성을 기대할 수도 있지만, 그것은 사용중에 다른 개재물로 인해서 아워지든가 또는 구불구불한 세공이기 때문에 부식성인자가 소지까지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 이다.그러나 수용액 등에 접하는 경우에는, 이것이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서 소지까지 도달 하므로써 소지의 부식을 가져다 주는것이며, 펌프축류에서 흔히 볼수 있는 현상이다

키워드

wh,   dml,   ghks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2.03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02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