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의 필요성
3. 적용 범위
4. 각종 실험기구
5. 배합표 sheet
6. 실험방법
7. 슬럼프 테스트시 주의사항
8. 고찰
2. 실험의 필요성
3. 적용 범위
4. 각종 실험기구
5. 배합표 sheet
6. 실험방법
7. 슬럼프 테스트시 주의사항
8. 고찰
본문내용
건조를 막고 표건상태를 유지한다.
<표면 물기 제거 중> <표건상태 굵은골재> <표건상태 유지 중>
5. 우리조의 실험인자인 염화나트륨을 혼합한 물을 계량한다.
<염화나트륨 9.0g 계량> <물 15750g 계량>
<염화나트륨이 완전히 녹도록 물과 잘 혼합한다.>
6. 팬 믹서에 잔골재와 굵은골재를 넣어서 충분히 섞은 후 시멘트, 물 순으로 차례대로
혼합한다.
<먼저 잔골재+굵은골재만 혼합 중> <시멘트+물 혼합>
*참고) 60초 비빔, 60초 휴식, 2분 비빔 하였음.
7. 혼합이 끝난 시료를 빼낸다.
8. 슬럼프콘을 젖은 걸레로 닦은 후 평평하고 습한 비 흡수성의 단단한 평판 위에 놓는다.
발판을 발로 눌러 슬럼프 콘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 한다.
9. 시료는 슬럼프 콘 용적의 1/3씩 3층으로 나누어 채운다.
1/3지점(콘의 저면으로부터 약 6 cm)까지 채우고, 다짐대로 고른 후 25회 균등하게 다진다. 2/3까지(콘크리트 저면으로부터 약 15cm) 채우고, 제1층과 같은 방법으로 다짐대로 다지고 최후에 콘의 상부까지 시료를 가득 채우고 전과 같은 요령으로 다진다.
*참고) 다짐대의 다짐 깊이는 바로 전 층에 닿지 않을 정도로 한다.
10.상부면을 흙손으로 상단에 맞추어 평탄하게 고른다.
11.슬럼프 콘을 연직으로 끌어 올린다.
12.콘크리트의 상부면에서 낙하한 거리를 측정한다.
우리조의 슬럼프 치는 6.2cm의 결과 값이 나왔다.
7. 슬럼프 테스트시 주의사항
1. 수밀성 평판은 수평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한다.
2. 시료를 콘에 넣을 경우 스코프를 콘의 상단에 따라서 이동시켜 가면서 채우고 콘크리트가
콘 속에서 일하게 채워지도록 채운다.
3. 제 1층의 콘크리트를 다질 때에 수밀성 평판이 다치지 않도록 한다.
4. 슬럼프 콘을 끌어 올릴 때 수밀성 평판위로 올라가서는 안 된다.
5. 슬럼프된 콘크리트가 현저하게 기울어졌을 때에는 시험을 다시 한다.
6. 슬럼프는 온도에 의해서 많이 변화하고 또한 비빔완료에서 시험까지의 시간 동안에도
수화반응의 변화 및 수분증발 등에 의한 영향을 받으므로 콘크리트의 온도 및 비빔완료에서 시험까지의 기간 등을 기록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8. 고찰
시험번호 2005-05-001 시방의 슬럼프값은 12cm이고, 우리조의 이번 배합설계 후 슬럼프값 결과는 6.2cm가 나왔다. 표준값보다 우리조의 실험값이 더 작게나왔다. 즉, 워커빌리티가 작아 시공연도가 좋지 못하다고 판단된다.
염화물은 작은 농도에서는 영향이 작으나 10,000ppm을 넘으면 응결이 촉진되어 초기강도는 증가하지만 장기강도의 신장은 작다. 여기서 초기강도가 높다는 말은 다시 해석하면 ‘경화가 빠르다’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워커빌리티가 좋지 못해 슬럼프값이 작게나왔다고 판단된다.
또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은 농도가 증가하면 수축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슬럼프값의 저하에 따른 시공연도의 저하가 우려되며 시공의 난이도를 높게 하여 현장 시공시 단점이 있으므로 배합 설계을 통한 보정을 필요로 하겠다.
<표면 물기 제거 중> <표건상태 굵은골재> <표건상태 유지 중>
5. 우리조의 실험인자인 염화나트륨을 혼합한 물을 계량한다.
<염화나트륨 9.0g 계량> <물 15750g 계량>
<염화나트륨이 완전히 녹도록 물과 잘 혼합한다.>
6. 팬 믹서에 잔골재와 굵은골재를 넣어서 충분히 섞은 후 시멘트, 물 순으로 차례대로
혼합한다.
<먼저 잔골재+굵은골재만 혼합 중> <시멘트+물 혼합>
*참고) 60초 비빔, 60초 휴식, 2분 비빔 하였음.
7. 혼합이 끝난 시료를 빼낸다.
8. 슬럼프콘을 젖은 걸레로 닦은 후 평평하고 습한 비 흡수성의 단단한 평판 위에 놓는다.
발판을 발로 눌러 슬럼프 콘이 움직이지 않게 고정 한다.
9. 시료는 슬럼프 콘 용적의 1/3씩 3층으로 나누어 채운다.
1/3지점(콘의 저면으로부터 약 6 cm)까지 채우고, 다짐대로 고른 후 25회 균등하게 다진다. 2/3까지(콘크리트 저면으로부터 약 15cm) 채우고, 제1층과 같은 방법으로 다짐대로 다지고 최후에 콘의 상부까지 시료를 가득 채우고 전과 같은 요령으로 다진다.
*참고) 다짐대의 다짐 깊이는 바로 전 층에 닿지 않을 정도로 한다.
10.상부면을 흙손으로 상단에 맞추어 평탄하게 고른다.
11.슬럼프 콘을 연직으로 끌어 올린다.
12.콘크리트의 상부면에서 낙하한 거리를 측정한다.
우리조의 슬럼프 치는 6.2cm의 결과 값이 나왔다.
7. 슬럼프 테스트시 주의사항
1. 수밀성 평판은 수평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설치한다.
2. 시료를 콘에 넣을 경우 스코프를 콘의 상단에 따라서 이동시켜 가면서 채우고 콘크리트가
콘 속에서 일하게 채워지도록 채운다.
3. 제 1층의 콘크리트를 다질 때에 수밀성 평판이 다치지 않도록 한다.
4. 슬럼프 콘을 끌어 올릴 때 수밀성 평판위로 올라가서는 안 된다.
5. 슬럼프된 콘크리트가 현저하게 기울어졌을 때에는 시험을 다시 한다.
6. 슬럼프는 온도에 의해서 많이 변화하고 또한 비빔완료에서 시험까지의 시간 동안에도
수화반응의 변화 및 수분증발 등에 의한 영향을 받으므로 콘크리트의 온도 및 비빔완료에서 시험까지의 기간 등을 기록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8. 고찰
시험번호 2005-05-001 시방의 슬럼프값은 12cm이고, 우리조의 이번 배합설계 후 슬럼프값 결과는 6.2cm가 나왔다. 표준값보다 우리조의 실험값이 더 작게나왔다. 즉, 워커빌리티가 작아 시공연도가 좋지 못하다고 판단된다.
염화물은 작은 농도에서는 영향이 작으나 10,000ppm을 넘으면 응결이 촉진되어 초기강도는 증가하지만 장기강도의 신장은 작다. 여기서 초기강도가 높다는 말은 다시 해석하면 ‘경화가 빠르다’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므로 워커빌리티가 좋지 못해 슬럼프값이 작게나왔다고 판단된다.
또 염화나트륨과 염화칼슘은 농도가 증가하면 수축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다.
슬럼프값의 저하에 따른 시공연도의 저하가 우려되며 시공의 난이도를 높게 하여 현장 시공시 단점이 있으므로 배합 설계을 통한 보정을 필요로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