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즉 실재형(R), 탐구형(I), 예술형(A), 사회형(S), 기업형(E), 관습형( C )을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진로유형(성격유형)에 따라 전공학과와 직업을 찾아볼 수 있게 되어있다.
이 검사는 진로탐색검사에 직업가치척도와 능력평정척도를 추가하여 제작된 것으로 주로 고등학교 3학년, 대학생, 성인을 대상으로 구성된 검사로서 자가채점용( A형)과 컴퓨터채점용의 두 가지가 있다.
< Holland의 6각형 모형 >
8. 홀랜드 전공탐색검사
목적: 전공학과 선택 및 대학진학 상담
대상: 고등학생
검사시간: 50분
온라인검사: 가능
* 검사의 특징
이 검사는 미국의 저명한 진로 심리학자인 John L.Holland의 이론에 근거하여 제작된 검사로서 6개의 직업적 성격유형 즉 실재형(R), 탐구형(I), 예술형(A), 사회형(S), 기업형(E), 관습형( C )을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진로유형(성격유형)에 따라 전공학과와 직업을 찾아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검사는 진로탐색검사에 직업가치척도와 능력평정척도를 추가하여 제작된 것으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구성된 검사로서 전공학과에 대한 정보가 추가되어 결과표가 2장이 제공된다.
결 론
진로심리검사의 종류 및 특징들에 대해 심리검사의 각종 문헌과 인터넷자료들을 찾아보니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쉽게 접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검사들 중 몇 가지는 온라인으로도 검사가 가능했다. 이러한 자료들을 구입하여 이용할 수 있는 곳 중 하나는 한국 가이던스로 가장 최근 표준화된 검사물로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쉽게 검사를 실시할 수 있고, 컴퓨터를 이용함으로서 채점과 해석이 객관적인 특징이 있었다. 온라인/오프라인으로, 온라인에서는 유료/무료로 검사할 수 있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진로검사를 적극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있었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진로심리검사에 대해 널리 알려지지 못한 것 같다. 초등학교에서 진로적성검사라는 이름으로 교내에서 단체로 검사하는 것은 단지 가볍게 치러질 수 있는 형식적인 검사에 불과했다. 초, 중, 고등학교 단계에서 진로 상담/검사하는 분야에 관한 교육을 함으로써 이러한 진로심리검사들을 통하여 스스로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다양한 직업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이다.
참고자료
“심리검사“ lisa friedenberg지음 시그마프레스(주) pp.353~391
http://www.guidance.co.kr/
이 검사는 진로탐색검사에 직업가치척도와 능력평정척도를 추가하여 제작된 것으로 주로 고등학교 3학년, 대학생, 성인을 대상으로 구성된 검사로서 자가채점용( A형)과 컴퓨터채점용의 두 가지가 있다.
< Holland의 6각형 모형 >
8. 홀랜드 전공탐색검사
목적: 전공학과 선택 및 대학진학 상담
대상: 고등학생
검사시간: 50분
온라인검사: 가능
* 검사의 특징
이 검사는 미국의 저명한 진로 심리학자인 John L.Holland의 이론에 근거하여 제작된 검사로서 6개의 직업적 성격유형 즉 실재형(R), 탐구형(I), 예술형(A), 사회형(S), 기업형(E), 관습형( C )을 측정하고 이렇게 측정된 진로유형(성격유형)에 따라 전공학과와 직업을 찾아볼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검사는 진로탐색검사에 직업가치척도와 능력평정척도를 추가하여 제작된 것으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구성된 검사로서 전공학과에 대한 정보가 추가되어 결과표가 2장이 제공된다.
결 론
진로심리검사의 종류 및 특징들에 대해 심리검사의 각종 문헌과 인터넷자료들을 찾아보니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쉽게 접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검사들 중 몇 가지는 온라인으로도 검사가 가능했다. 이러한 자료들을 구입하여 이용할 수 있는 곳 중 하나는 한국 가이던스로 가장 최근 표준화된 검사물로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쉽게 검사를 실시할 수 있고, 컴퓨터를 이용함으로서 채점과 해석이 객관적인 특징이 있었다. 온라인/오프라인으로, 온라인에서는 유료/무료로 검사할 수 있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진로검사를 적극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이 있었다. 하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진로심리검사에 대해 널리 알려지지 못한 것 같다. 초등학교에서 진로적성검사라는 이름으로 교내에서 단체로 검사하는 것은 단지 가볍게 치러질 수 있는 형식적인 검사에 불과했다. 초, 중, 고등학교 단계에서 진로 상담/검사하는 분야에 관한 교육을 함으로써 이러한 진로심리검사들을 통하여 스스로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다양한 직업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이다.
참고자료
“심리검사“ lisa friedenberg지음 시그마프레스(주) pp.353~391
http://www.guidance.co.kr/
추천자료
[A+]심리검사
사회 복지 현장에서 심리검사 활용 방안
[성격이론] 심리검사 - MBTI를 중심으로
2012년 2학기 심리검사및측정 기말시험 핵심체크
< 상담과 심리검사 >
아동이 그린 그림 심리검사 분석 및 해석
[유아교육] 아동상담 과정, 접수상담 및 심리검사.pptx
[생활지도와 상담] 심리검사의 의미와 필요성
[생활지도와 상담] 심리검사의 기본 개념 - 표준화와 규준, 신뢰도, 타당도에 대한 이해
2017년 2학기 유아교육과 심리검사및측정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청소년교육과 심리검사및측정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교육학과 심리검사및측정 기말시험 핵심체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