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유능한 상담자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실천기술론]유능한 상담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부 상담의 기초

제1장 상담의 이해
1. 공식적 상담자와 비공식적 상담자
2.상담이란 무엇인가
(1) 문제상황에 놓여있고 기회를 활용하지 못하는 내담자
(2) 상담의 두 가지 주요 목적
3. 상담은 도움이 되는가
4. 상담은 모든 사람에게 다 필요한가
5. 이 책의 특징
6. 영리함에서 지혜로움으로
(1) 상담의 비관적 측면
(2) 상당의 낙관적 측면

제2장 상담 모델 개관
1. 일상적인 문제대처 과정
2. 유능한 상담자 모델
3. 제1기 : 현재의 시나리오
4. 제2기 : 원하는 시나리오
5. 제3기 : 행동 전략
6. 행동 : 목표달성
7. 상담과정의 지속적인 평가
8. 융통성 있는 모델 사용법
9. 단기 상담에서도 전체 과정 반영
10. 상담 모델의 그림자 측면의 이해와 대처

제3장 상담관계 : 가치와 행동
1. 상담관계
2. 작업동맹
3. 상담문화
(1) 상담에서의 가치 반영
(2) 상담에 있어서 가치의 중요성과 실제성
4. 존중의 가치
(1) 존중을 행동으로 표현하는 규범
(2) 차이 및 다문화주의에 관련된 규범
(3) 차이와 다문화주의에 대한 지침
5. 진실함의 가치
6. 내담자의 능력 개발
(1) 사회적 영향 과정으로서의 상담
(2) 능력 개발을 위한 규범과 자기 책임
7. 상담강령
8. 상담관계의 그림자 측면


제2부 상담의 기술, 커뮤니케이션 기술

제 4장 관심, 경청 그리고 이해
1.관심기울이기
(1)관심을 기울이기 위한 미시적 기술
(2) 상담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2. 적극적 경청
(1) 언어적 메시지의 경청과 이해
(2) 내담자의 비언어적 메시지와
그 수정의 경청
(3) 내담자가 처한 상화의 경청과 이해
(4) 공감적 경청
(5) 냉철한 경청
3. 내담자에 대한 경청의 그림자 측면
4. 자신에 대한 경청

제 5장 기본적 공감
1. 반응 기술의 세 차원
2. 기본적 공감
3. 기본적 공감의 핵심요소
(1)기본적 공감의 공식
(2)공감의 요소로서의 경험, 행동, 감정
4. 기본적 공감을 사용하는 원칙
5. 부적절한 공감의 흉내
6. 공감을 전달하는 책략
7. 주의

제6장 탐색과 요약기술
1. 탐색의 원리
2. 요약기술
3.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통합
4.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숙달
5.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그림자 측면



제3부 상담모델의 제1기와 고급 커뮤니케이션 기술

제 7장 단계Ⅰ-A : 내담자의 자기개방
1.단계 Ⅰ-A의 목표
2. 문제 상황 및 활용하지 못한 기회 탐색
(1) 이야기하는 유형을 다루는 방법의 학습
(2) 핵심주제의 명료화
(3) 문제의 심각성 평가
(4) 과거에 대한 생산적 이야기
(5) 이야기를 들으면서 능력 찾기
(6) 활용하지 못한 기회의 탐지와 개발
3. 단계 Ⅰ-A와 행동
4. 단계 Ⅰ-A의 그림자 측면
(1) 이야기를 하는 사람으로서의 내담자
(2) 자유재량에 맡긴 변화의 특성

제 8장 내담자의 주저와 저항
1. 주저
2. 저항
3. 주저와 저항을 다루는 원리
(1) 주저와 저항에 소용없는 반응은 피할것
(2) 주저와 저항에 대한 생산적인 접근방법의 개발

제9장 단계Ⅰ-B : 1. 도전의 특성
1. 도전의 개요
2. 도전의 목표
(1) 새로운 시작의 발전
(2) 새로운 시각을 통한 건설적인 행동의 변화
(3) 자기 제한적 내적 행동에 대한 도전과 변화
(4) 자기 제한적 외적 행동에 대한 도전과 변화
(5) 약점 가운데서 강점 발견하기
3. 도전의 내용
(1) 문제와 활용하지 못한 기회의 인정
(2) 문제에 대한 해결 가능성의 진술
(3) 그릇된 해성의 수정
(4) 예측 가능한 삶의 부정직성에 대한 도전
4. 내담자의 그림자 측면과 도전
5. 상담자의 그림자 측면과 도전




제10 장 단계Ⅰ-B : 2. 구체적인 도전기술
1. 보다 깊은 공감
(1)함축적인 것을 명시적으로
(2) 내담자의 이야기 속에서의 주제탐색
(3) 내담자가 놓치기 쉬운 사항과의 연결
(4) 내담자와 예감을 나누는 보다 깊은 공감
3. 상담자의 자기개방
4. 내담자와 맺고 있는 관계 점검
(1)관계 점검 유형과 사용원리
(2) 관계 점검이 필요한 상황
5. 제안과 권고
6. 직면

제11장 단계 Ⅰ-B : 3. 도전의 지혜
1. 효율적인 도전방법
(1) 도전의 목적
(2) 자기도전의 격려
(3) 도전할 권리의 획득
(4) 옹호가 아닌 시험적인 방법으로서의 도전
(5) 내담자의 약점보다 묻혀있는 강점에 대한 도전
(6) 내담자의 성공을 토대로 한 도전
(7) 구체적인 도전
(8) 내담자의 가치존중
(9) 내담자의 방어에 대한 정직하고 따뜻하고 창조적인 대응
2. 도전과 행동의 연결
(1) 문제

본문내용

델이 가진 한계 뿐 아니라, 상담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담자와 내담자와 환경이 가진 한계까지 볼 줄 알아야 한다.
인생이 곧은 길로만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미궁과 같을 때도 많다. 우리의 인생은 선과 악, 희극과 비극, 비겁과 영웅적 행동이 복잡하게 얽혀 있는 상호 모순적 과정이라 여겨질 때가 많다. 이 책에 나온 상담 관계와 상담과정은 긍정적 측면에서 기술하고 제시하였다. 상담관계나 과정이 이러해야 한다는 뜻에서 그렇게 기술한 것이지, 항상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상담의 그림자 측면은 상담자도 내담자도 알지 못하고 또 알려고 하지 않지만 상담관계, 상담과정, 결과, 효과에 본질적으로 역효과를 불러일으키는 것들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담 모델을 이해하고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학습하면 영리한 상담자가 될 것이다. 그러나 상담 모델을 잘 활용하려면 지혜가 있어야 한다. 상담에 있어서의 그림자 측면은 상담의 효과를 떨어뜨리지만, 이러한 그림자 측면이 상담의 효과를 높이기도 한다.(Kottler, 1992, 1993, 1997).
(1) 상담의 비관적 측면
상담자, 내담자,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및 상담 과정이 어떻게 하면 잘못 진행될 수 있는가를 깨닫는 것은 상담의 그림자 측면에 대처해 나가는 첫 단계이다.
상담자는 자신이 무능하다는 사실을 잘 깨닫지 못한다. 내담자도 자기가 게임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모른다. 대부분의 내담자는 대부분의 시간동안 Schein(1990)이 말한 ‘건설적인 의도’를 가지고 있고, 대부분의 상담자도 자기의 관심사를 제쳐두고 내담자를 돕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 그렇다고 해서 어떤 상담자든 모두 최선을 다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앞으로 살펴보게 되겠지만 내담자도 맹점을 가지고 있고 상담자도 맹점을 가지고 있다.
어떠한 인간적 노력이든 다 그림자 측면을 띠고 있다. 그림자 측면을 알지 못하면 고지식한 상담자가 될 것이고, 그림자 측면을 더 강조하면 냉소적인 상담자가 될 것이다. 상담자는 고지식해서도 냉소적이어서도 안된다. 상담자는 어디까지나 낙관적인 혈실주의적 자세를 지녀야 할 것이다.
(2) 상담의 낙관적 측면
영리한 상담자는 Hanna(1994)가 말했듯이, 내담자를 ‘ 심리치료자가 사용하는 모델이나 도구에 맞추어야 할 임상적 존재’로 보지만, 지혜로운 상담자는 내담자를 이미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지혜와 상식을 통해 도움을 얻고자 하는 ‘활기차고 역동적인 인물’로 본다.
상담을 할 때는 어떤 지혜가 필요한가? 여기에 몇 가지 예를 제시한다(Stermberg. 1990참조)
자기 자신에 대한 지식 및 성숙 : 실수를 인정할 수 있는 용기와 실수를 통해 학습할 수 있는 감각
타인에 대한 심리학적 인간적 이해 : 인간 상호 작용의 통찰
상황을 꿰뚤어 보는 능력 : 사건의 의미를 이해하는 능력
모호한 상황이라도 인내심을 가지고 진행해 나가는 능력 : 혼란스럽고 비구조화된 사례에 대해서도 당황하지 않고, 논리적 전통적 규준에 맞지 않는 사건에 대해 취히게 되는 개방적인 자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조정해 나가는 능력 : 정보를 재구성하는 능력
고정관념으로부터의 탈피
관계를 볼 줄 아는 능력, 추리 과정 중의 잘못을 깨닫는 능력, 직관, 종합할 수 있는 능력
자기 맹점으로 인해 일을 그르치지 않는 능력 : 긴 안목에서 문제를 보는 능력
서로 상반된 것으로 여겨지는 것을 조화시키는 능력
지금까지 언급한 지혜를 가지고 있으면 흔들리지 않고 나아갈 수 있다. 지혜는 실 생활에 활용되는 지능과 상식의 토대로 작용한다. 남을 도울 때는 단순히 아는 것보다 ‘어떻게’ 돕는가를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 사회적지능(social intelligence)이 관계나 사회 환경의 역동을 ‘읽는’ 능력이라면, 사회적 유능감(social competence)란 자기가 발견한 것에 대해 창조적으로 반응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 말을 상담에 응용한다면, 자기가 변화 시킬 수 있는 것과 변화시킬 수 없는 것을 깨닫는 능력이다.
제2장 상담 모델 개관
1. 일상적인 문제 대처 과정
상담은 자연 스로운 과정을 통해 진행되어져 간다, 이러한 과정을 문제대처 및 기회개발에 적용시킬 때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되어 나간다.
① 최초의 자각
내담자가 자신에게 문제, 또는 일단의 문제들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② 절박함
문제를 그냥 방치해서는 안 되겠다는 어떤 ‘절박한 심정’을 느낀다.
③ 최초의 개선책 강구
확고하게 마음먹은 것은 아니지만, 문제상황에 대처해 보려는 개선책을 찾기 시작한다.
④ 치러야 할 대가 고려
“나 하고 싶은 대로 밀고 나간다면 어떻게 될까?”, “아이들을 어떻게 될까?”하고 해결책에 대한 대가를 생각하게 된다. 취할 있는 방법은 수 없이 만지만 어떤 방법이든 대가를 치러야 하기 때문에 시 원점으로 되돌아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⑤ 심사숙고
예를 들어 문제상황에 정면으로 부딪쳐 보는 것이 나을지, 아니면 그냥 덮어두고 넘어가는 것이 나을지 따져본다. 이렇게 심각한 마음으로 어떤 방도를 취해야 할지를 골몰하게 된다. 4단계와 5단계 사이를 왔다 갔다 한다.
⑥ 합리적 결정
머릿속에 한 가지 방법을 정해 놓고 앞으로 취해 나갈 행동을 그려본다. 그라나 단순히 머릿속으로 결정했다고 해서 행동으로 잘 옮겨지지는 않는다.
⑦ 합리적 정서적 결정
머리로 내린 결정에 마음도 동하여 ‘충분히 생각할 만큼 했다’ 하고 마음으로 결심을 굳힌다.
여기서 두 가지 사항을 명심할 필요가 있다. 첫째, 이러한 단계들이 논리적인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지만, 실생활에서의 문제처리 과정에서는 여러 단계들이 일정한 순서대로 진행되지 않고 서로 뒤섞이는 경우가 많다. 둘째, 이러한 일상적인 과정은 어는 단계에서든 그 궤도를 벗어날 수 있다. 이상적인 무제 대처 과정은 사람마다 다르게 진행되기 때문에 개인차고 고려해야 한다.
2. 유능한 상담자 모델
가치있는 상담 모델(또는 기본틀이나 과정)이라면 어떤 모델이든 내담자로 하여금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근본적인 물음에 묻고 답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현재의 시나리오 : 지금 내가 다루어야 할 문제(주제, 관심,
  • 가격3,000
  • 페이지수71페이지
  • 등록일2010.02.04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09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