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술 여행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 술 여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상
15 년 이상
25 년 이상
50 년 이상
등급
숙성연도
Star 급
V.S.O.P.
Napoleon
X.O.
EXTRA
3 년 이상
10 년 이상
15 년 이상
20 년 이상
30 년 이상
S : Superior(우수한), O : Old(오래된), P: Pale(맑은), X: Extra(특별한), V: Very(매우)
☞ 헤네시사에서는 Three Star급을 브라 자르(Bras Arme)라고 표시하고,
레미 마르텡사에서는 Extra 대신에 Age Unknown이라 표시한다.
마르텔사에서는 V.S.O.P.에 해당하는 것을 메다이옹(Medaillion)이라 한다.
꼬냑의 경우 별셋만이 법적으로 보증되는 연수(5년)이고, 그 외는 법적 구속력이 전혀 없다.
7. 진
1. 진의 어원 : Gin의 어원은 Juniper Berry(杜松實, 노간주나무 열매)의 프랑스어 Genievre에서 유래한다. Genievre는 네델란드 선원들에 의해서 Genever라 불리고, 영국에 건너가 Gin이라 불리게 되었다.
2. 진의 탄생 배경 : Gin은 1640년경에 네덜란드의 Leyden대학의 의학교수였던 Franciscus de Le Boe (일명, Sylvius) 박사가 열대성 열병 치료약을 개발할 목적으로 순수 알코올에 이뇨효과가 있다는 Juniper Berry의 精油 외에 Coriander(미나리과의 초본식물), Angerica 등의 즙액을 동시에 증류시켜 개발 된 이뇨제와 해열제의 효과가 있는 약용주로 태어났다.
원래 술로 판매된 것이 아니었으며 약으로 약국에서 판매되었다. 그 후 영국 에서 향긋한 두송실(杜松實)향기를 지닌 ‘드라이 진’으로 발전하였고, 칵테일의 본 고장인 미국에 건너가 칵테일의 기본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게 되었다.
☞ 진은 “네델란드 사람이 만들었고, 영국인이 꽃을 피웠으며, 미국인이 영광을 주었다”는 말이 있다.
3. 진의 제조 및 유명 상표 : 진은 곡물(대맥, 옥수수, 호밀 등)을 원료로 하여 발효, 증류 시켜 제조한다.
① 네델란드 진 : 곡류의 발효액 속에 生 노간주 열매나 향료식믈을 넣어 단식 증류기로만 2~3회 증류하여 55%의 주정을 얻는다. 이를 술 통에 단기간 저장하고 45%까지 정도까지 증류수로 묽게하여 병입, 시판.
(유명 상표) Genever(쥬네바), Silver Top Gin,
② 영국 진 : 곡류의 발효액을 연속식증류기로 증류하여 알코올 90~95%의 주 정을 얻고, 여기에 2~3년 건조시킨 노간주 열매나 향료식믈을 넣어 다시 단식증류기로 증류한 다음 증류수로 알코올 농도를 37~47.5%까지 조정하여 병입, 시판.
(유명 상표) Beefeater, Tanqueray, Bombay, Gordons Dry Gin, Gilbeys Gin
8. 럼
1, 럼의 역사 : 럼(Rum)은 사탕수수의 즙을 농축시켜 즙을 농축시켜 사탕(砂糖)의 결정을 분리하고 남은 당밀(sugar cane)이나 시럽 등을 주정발효시킨 후 증류하여 만든다.
럼의 발생지는 카리브해의 서인도제도이다. 17세기경 발바도스(Barbados) 섬에 영국에서 증류기술을 가진 영국인이 정착함으로써 사탕수수의 제당공 정에서 설탕을 만들고 난 당분을 발효시켜 증류했다.
이것이 럼의 시초인데, 이 술을 마신 원주민이 취해서 흥분(원주민의 말, Rumbullion)하였는데 이 말이 줄어서 Rum으로 부르게 되었다는 설과 라틴어로 설탕을 의미하는 사카럼(Saccharum)의 어미인 럼에서 유래되었 다는 설이 있는데, 후자가 유력하다.
2. 유명상표 : Bacardi(쿠바에서 출발했으나 혁명후 생산기지를 푸에르토리코멕시코 등 으로 이동), Myers's(자마이카), Ron Merite(푸에르토리코), Ronrico(푸에르 토리코), Havana Clib(쿠바) 등
9. 보드카
1. 보드카 : 보드카의 어원은 12세기경 러시아 문헌에서 즈에즈니즈 보타(Zhiezenniz Voda: Water of Life)란 말로 기록된 데서 유래한다.
보드카는 여러 가지의 곡물과 감자(50% 이상)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한 술로 서 증류 후에 자작나무의 활성탄을 이용하여 여과를 하고, 마무리 단계로 모래 층에 여과시켜 냄새가 무색(Colorless)무미(Tasteless)무취 (Odorless)한 특성 때문에 칵테일의 기본주(Base)로 각광을 받고 있다.
또한, 슬라브 민족의 국민주라고 할 수 있으며 병째로 차게 해서 食前酒 (Aperitif)로 마시며 특히 Caviar(철갑상어의 알)과 잘 어울린다.
2. 유명상표 : Stolichnaya(러시아), Gilbey's(영국), Smirnoff(미국), Absolut(스웨덴), Bolskyya(네덜란드), Gordon's(영국) 등이 있다.
10. 데킬라
1. 데킬라 : 사막의 술 데킬라(Tequila)는 멕시코의 特産酒로서 1968년 멕시코올림픽을 계 기로 전세계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데킬라의 원료는 용설란의 일종인 아가베(Agave)로서 아가베가 8-10년 정도 자란 용설란의 잎을 잘라내고 지름 50cm 정도의 줄기를 반으로 쪼개어 증기솥 에 넣고 가열하면 줄기 속의 다당류(이눌린)가 당화되고 이를 발효시켜 풀케 (Pulque)라는 술을 만든다. 이것을 증류하여 오크통 속에서 숙성한 것이 데킬 라이다.
이 술의 원산지는 멕시코의 중앙고원지대에 위치한 데킬라라는 마을에서 인디 언들에 의하여 처음 생산된 술로서 멕시코 데킬라의 대부분은 하리스코 (Jalisco)주에서 생산되고 있다. 데
멕시코 원주민들은 데킬라를 마실 때, 레몬이나 라임을 반으로 잘라서 왼쪽 손 가락 사이에 끼고 손등을 적셔서 소금을 묻힌 후에 찬 데킬라를 스트레이트로 마신 후 레몬이나 라임의 즙을 빨고 손등의 소금을 핥으면서 즐긴다. 이는 멕 시코가 열대지방이라는 자연조건상 건조하므로 몸에 필요한 염분과 신맛의 과 즙을 섭취하기 위한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2. 유명상표 : Jose Cuervo(호세 쿠에르보), Mariachi(마리아치), Two Fingers, Pepe Lopez(페페로즈), Sierra(시에라), Agabero(아가베로) 등.
  • 가격5,5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10.02.10
  • 저작시기2010.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23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