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Ⅱ. 본 론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했다. 그리고 이 증기는 구멍을 통해 배출되어 캔을 회전시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Fig. 1. 수증기의 T-s선도
Ⅲ-2. 고찰
이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캔 속의 물은 버너를 통해 나온 열에너지에 의해 증기를 만들어 캔의 회전에 필요한 에너지원인 동력(기계적에너지)을 만들어 주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처럼 열에서 일로의 에너지 변환의 중계역할을 한 물은 작동유체(working fluid)인 것을 확인했다.
이 실험의 오차는 없었으며, 간단한 실험을 통해 천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인 동력으로 만드는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서 뜻 깊은 실험 이었다.
참고문헌
1) 정태용, ‘열동역학’, 문운당
2) 전철호·장길홍, ‘열동력’, 보성각
3) 이원섭, ‘최신 열·유체역학’, 미전사이언스
Fig. 1. 수증기의 T-s선도
Ⅲ-2. 고찰
이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캔 속의 물은 버너를 통해 나온 열에너지에 의해 증기를 만들어 캔의 회전에 필요한 에너지원인 동력(기계적에너지)을 만들어 주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처럼 열에서 일로의 에너지 변환의 중계역할을 한 물은 작동유체(working fluid)인 것을 확인했다.
이 실험의 오차는 없었으며, 간단한 실험을 통해 천연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인 동력으로 만드는 과정을 직접 확인할 수 있어서 뜻 깊은 실험 이었다.
참고문헌
1) 정태용, ‘열동역학’, 문운당
2) 전철호·장길홍, ‘열동력’, 보성각
3) 이원섭, ‘최신 열·유체역학’, 미전사이언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