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갑골문자(甲骨文字)
2. 금문(金文)
3. 간독(簡牘)과 백서(帛書)
2. 금문(金文)
3. 간독(簡牘)과 백서(帛書)
본문내용
러 행의 문자를 쓸 수가 있다. 긴 문장을 쓸 경우에는 간을 추가하면서 쓸 수 있기 때문에 간이 사용된다. 하지만 몇 행 안되는 짧은 문장의 경우, 특히 편지 등은 1매의 독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독이 사용된다. 편지 같은 것을 서독(書牘)이라 하는 것은 여기에서 기원한다.
간과 독은 봉인 방법이 다르다. 죽간·목간을 봉인할 때는 끈으로 묶은 간을 포대에 넣고 그 입구를 끈으로 묶고 그 묶은 매듭을 점토로 둘러싼 다음 그 위에 인장(印章)을 누른다. 이에 대해 독은 글씨를 쓴 독과 같은 모양으로 목편을 준비하여 이를 독의 글씨 쓴 면 위에 밀착시킨 다음, 양자를 끈으로 묶고 그 묶은 매듭을 점토로 싼 뒤 여기에 날인한다.
[ 전한 감숙성 거연출토 한간(漢簡)]
[ 전국시대 금자(金字) 죽간(竹簡)]
간과 독은 봉인 방법이 다르다. 죽간·목간을 봉인할 때는 끈으로 묶은 간을 포대에 넣고 그 입구를 끈으로 묶고 그 묶은 매듭을 점토로 둘러싼 다음 그 위에 인장(印章)을 누른다. 이에 대해 독은 글씨를 쓴 독과 같은 모양으로 목편을 준비하여 이를 독의 글씨 쓴 면 위에 밀착시킨 다음, 양자를 끈으로 묶고 그 묶은 매듭을 점토로 싼 뒤 여기에 날인한다.
[ 전한 감숙성 거연출토 한간(漢簡)]
[ 전국시대 금자(金字) 죽간(竹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