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일반적인 배경
2. 사회복지와 아동복지제도
3. 아동복지와 아동복지서비스
4. 아동복지의 동향
2. 사회복지와 아동복지제도
3. 아동복지와 아동복지서비스
4. 아동복지의 동향
본문내용
의 장애인상담법(Act on Counselling for Disabled Persons)에 의해 장애아의 보호와 특수교육 및 직업훈련이 실시되며 각종 수당이 지급된다.
1989년 7월 10일의 교육관련지침법(Guideline Law on Education)은 장애아의 일반학교 통합교육을 권장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모든 레크리에이션센터는 휴일에 정기적으로 장애아들을 받아들이도록 개방하고 있다.
4. 아동복지의 동향
최근 프랑스의 아동복지는 입법화를 통해 중앙정부에 집중되어 있던 행정력을 지방정부로 분산시키고 있다. 지난 10년간 맞벌이부부 자녀들을 위한 시설은 2배로 증가되었다. 1992년 7월 12일 법은 일반가정에서 유자격 보모들의 아동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며 아동의 모집, 보육비, 직원훈련 등에 있어 괄목할 진전을 가져왔다.
1992년 8월 6일 법은 산모의 산전 산후 신체검사를 의무화하였으며 1993년 1월 27일 법은 고용주가 임산부를 해고하거나 근로계약을 변경시킬 수 없도록 규정함으로서 취업모의 가정생활과 직장생활의 조화를 증진시켰다. 1991년 1월 3일 법에 따라 임산부의 근로시간이 최근 신축성을 갖게 되었으며 직장의 규정된 출퇴근시간에 관계없이 임산부 스스로 근무시간을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1999년 출산휴가는 제1子와 제2子까지 각각 산전 6주 산후 10주의 총 16주(112일)의 출산휴가를 받을 수 있다. 제3子부터는 산전 8주, 산후 18주의 총 26주(182일)의 출산휴가를 받으며 쌍둥이의 경우에는 휴가일수가 더 늘어난다.
이와같은 임산부 보호에 관련된 법이 제정되고 출산휴가일수가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프랑스 근로여성 4명 가운데 3명이 25∼49세에 해당하고 있으며 이는 프랑스 전체의 1명의 자녀를 가진 어머니들의 77%, 2명의 자녀를 가진 어머니들의 70%, 3명의 자녀를 가진 어머니의 47%가 25∼49세의 연령집단에 속해있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안전한 출산을 위한 제도적 지원은 지난 20년간 1세 이하 영아 천명 당 영아사망률을 1960년 1천명당 34명,1970년 18.2명,1990년에 7.3명에서 1999년 5명으로 급속히 감소시켰으며 출산 후 1년 미만의 신생아 1천명 당 사망률을 1960년 29, 1970년 12.2,1990년 3.6명에서 1999년 5명으로 감소시켰다.37)
모자보건에 대한 정부차원의 직접적인 개입이 1989년 12월 18일 법에 의해 강화되었다. 약 만여명의 의사와 간호원이 모자보건 분야에 종사하고 있으며 결혼 전 상담, 산전산후 상담, 임산부와 탁아소, 유아학교, 가정보육을 받는 6세 이하의 아동들을 위한 의료사회적 예방조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요보호아동들에 대한 아동복지정책은 1945년부터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보호를 목적으로 아동을 가정 밖으로 분리배치 하던 종래의 정책 대신에 가정에 대한 각종 재정적 지원의 강화와 비행소년에 대한 시설보호 대신에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활성화함으로써 아동을 가능한 부모나 가정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
1989년 7월 10일의 교육관련지침법(Guideline Law on Education)은 장애아의 일반학교 통합교육을 권장하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모든 레크리에이션센터는 휴일에 정기적으로 장애아들을 받아들이도록 개방하고 있다.
4. 아동복지의 동향
최근 프랑스의 아동복지는 입법화를 통해 중앙정부에 집중되어 있던 행정력을 지방정부로 분산시키고 있다. 지난 10년간 맞벌이부부 자녀들을 위한 시설은 2배로 증가되었다. 1992년 7월 12일 법은 일반가정에서 유자격 보모들의 아동보육의 질을 향상시키며 아동의 모집, 보육비, 직원훈련 등에 있어 괄목할 진전을 가져왔다.
1992년 8월 6일 법은 산모의 산전 산후 신체검사를 의무화하였으며 1993년 1월 27일 법은 고용주가 임산부를 해고하거나 근로계약을 변경시킬 수 없도록 규정함으로서 취업모의 가정생활과 직장생활의 조화를 증진시켰다. 1991년 1월 3일 법에 따라 임산부의 근로시간이 최근 신축성을 갖게 되었으며 직장의 규정된 출퇴근시간에 관계없이 임산부 스스로 근무시간을 조정할 수 있게 하였다. 1999년 출산휴가는 제1子와 제2子까지 각각 산전 6주 산후 10주의 총 16주(112일)의 출산휴가를 받을 수 있다. 제3子부터는 산전 8주, 산후 18주의 총 26주(182일)의 출산휴가를 받으며 쌍둥이의 경우에는 휴가일수가 더 늘어난다.
이와같은 임산부 보호에 관련된 법이 제정되고 출산휴가일수가 확대되고 있는 이유는 프랑스 근로여성 4명 가운데 3명이 25∼49세에 해당하고 있으며 이는 프랑스 전체의 1명의 자녀를 가진 어머니들의 77%, 2명의 자녀를 가진 어머니들의 70%, 3명의 자녀를 가진 어머니의 47%가 25∼49세의 연령집단에 속해있기 때문이다.
프랑스의 안전한 출산을 위한 제도적 지원은 지난 20년간 1세 이하 영아 천명 당 영아사망률을 1960년 1천명당 34명,1970년 18.2명,1990년에 7.3명에서 1999년 5명으로 급속히 감소시켰으며 출산 후 1년 미만의 신생아 1천명 당 사망률을 1960년 29, 1970년 12.2,1990년 3.6명에서 1999년 5명으로 감소시켰다.37)
모자보건에 대한 정부차원의 직접적인 개입이 1989년 12월 18일 법에 의해 강화되었다. 약 만여명의 의사와 간호원이 모자보건 분야에 종사하고 있으며 결혼 전 상담, 산전산후 상담, 임산부와 탁아소, 유아학교, 가정보육을 받는 6세 이하의 아동들을 위한 의료사회적 예방조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요보호아동들에 대한 아동복지정책은 1945년부터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보호를 목적으로 아동을 가정 밖으로 분리배치 하던 종래의 정책 대신에 가정에 대한 각종 재정적 지원의 강화와 비행소년에 대한 시설보호 대신에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활성화함으로써 아동을 가능한 부모나 가정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다.
추천자료
사회보장제도와 사회복지제도
사회복지제도와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실태 및 문제점
[북한][북한의 노동정책][북한의 환경정책][북한의 화폐][북한의 금융제도][북한의 사회복지...
[현대사회][현대사회문제]현대사회의 변화, 현대사회의 컴퓨터, 현대사회의 매스컴, 현대사회...
비에스텍의 7대원칙, 공적연금제도의 연계제도 내용과 문제점, 사회복지제도, 정책 중 문제점...
사회복지실천과정과 비에스텍의 7대원칙(3매), 우리나라 공적연금제도의 연계제도 내용과 문...
사회복지제도 중 1개를 선택하여 제도 분석
[북한 사회복지] 북한의 사회복지 전개과정과 사회복지제도
사회복지제도 발달관련 이론과 에스핑 앤더슨의 복지국가모형을 정리하시오
전문직으로써의 사회복지사를 서술하고, 사회복지제도의 의의와 미래전망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복지공동모금회(필요성, 목적, 사회적기능, 사회복지공동모금제도, 배분, 장단점) 요약정리
사회복지제도 역사 :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정책의 역사,영국의 구빈정책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조직의 책임성과 평가5- 사회복지시설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