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프로그램 개요
1. 프로그램명
-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학교적응 프로그램 “학교가자 이얏호!!” -
2. 문제제기
3. 프로그램의 필요성
1) 대상자 특성
2) 지역 환경적 특성
3) 사업과 관련된 지역 복지자원 현황
4. 서비스 지역, 서비스 대상 및 실인원
Ⅱ.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1. 프로그램 목적
2. 프로그램 목표
Ⅲ. 목표체계도
(1)목표
(2)하위목표
(3)성취목표
Ⅳ. 세부내용 및 일정표
1. 활동내용
2. 프로그램 일정표
Ⅴ. 예산
1. 프로그램 총 예산
2. 항목별 예산
Ⅵ. 프로그램 평가
1. 프로그램 과정평가
2. 프로그램 성과평가
3. 사후관리
Ⅶ. 사업기대 효과
1. 프로그램명
-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학교적응 프로그램 “학교가자 이얏호!!” -
2. 문제제기
3. 프로그램의 필요성
1) 대상자 특성
2) 지역 환경적 특성
3) 사업과 관련된 지역 복지자원 현황
4. 서비스 지역, 서비스 대상 및 실인원
Ⅱ.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1. 프로그램 목적
2. 프로그램 목표
Ⅲ. 목표체계도
(1)목표
(2)하위목표
(3)성취목표
Ⅳ. 세부내용 및 일정표
1. 활동내용
2. 프로그램 일정표
Ⅴ. 예산
1. 프로그램 총 예산
2. 항목별 예산
Ⅵ. 프로그램 평가
1. 프로그램 과정평가
2. 프로그램 성과평가
3. 사후관리
Ⅶ. 사업기대 효과
본문내용
700원
2. 항목별 예산
항목
산출근거
비고
직접비
간접비
인건비
청소년상담사
2회×100,000원
=200,000원
총 2주 1회씩
심리검사
강사 초청비
1회×400,000원
=400,000원
소계
400,000원
200,000원
사업비
M·T
교통비
2회×차량3대×기름값 15,000원
=90,000원
수련관 차량 이용
숙박
방 3개×80,000원
=240,000원
도시락
24명×2800원
=67,200원
수련관 식당 제공
식비
24명×4000원
=96,000원
레크레이션
물품
35,000원
구호약품
8,500원
간식
24명×컵라면 1개당1,000원+6×1,5리터 음료 1개당 1,500원+기타 과자 17000원
= 50,000원
문구용품
7,000원
군산보호관찰소 견학
교통비
2회×차량 3대×기름값 3000원
=18,000원
수련관 차량 이용
견학비
50,000원
장애아동 방학교육
프로그램 참가
교통비
총 10회×20명×시내버스비 2,000원
=400,000원
교통비 지급
식비
10회×20명×2,200원
=440,000원
장애인복지관 제공
부모님과 함께
하는 등산
도시락
70명×3000원
=210,000원
레크레이션
물품
30,000원
간식비
15개×1.5리터 음료수 1,500원+30개×생수 1,000원
=52,500원
구호약품
15,000원
일일교사체험
사무용품
20,000원
간식비
과자 15,000원+4×1.5리터 음료수 1,500원+20개×빵 600원
=33,000원
해병대캠프
교통비
2회×차량 2대×기름값 13,000원
=52,000원
수련관 차량 이용
캠프참가비
220,000원
소계
1,321,500원
797,700원
관리비
건물유지비
150,000원
냉방비
200,000원
소계
350,000원
기타
복사비
120장×100원
=12,000원
소계
12,000원
계
1,733,500원
1,347,700원
예비비
1,733,500원(직접비)×0.04=69,340원
총계
1,733,500원+1,347,700원+69,340원
= 3,150,540원
Ⅵ. 프로그램 평가
1. 프로그램 과정평가
평가 회차
1회
2회
3회
평가
지표
- 교칙위반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대한 심리 상태 정도
- 프로그램 참여 의지 정도
- 교칙위한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대한 심리 상태 정도
-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행동 변화 의지 정도
- 가족간의 대화 효과 정도
- 교칙위반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대한 심리 상태 정도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행동 변화 의지 정도
- 교사와의 관계 이해 정도
평가
방법
- 단체소속감 측정 척도
- 자기존중감 측정 척도
- 프로그램 효과 파악 설문지
- 단체소속감 측정 척도
- 자기존중감 측정 척도
- 프로그램 효과 파악 설문지
2. 프로그램 성과평가
성과평가 목표
학교부적응 상태에 처해있는 학생들의 건강한 학교생활 도모
평가지표
- 단체소속감 측정 척도
- 자기존중감 측정 척도
측정방법
- 사전 사후 면접 및 설문 조사
평가방법
- 학교적응도 측정 척도를 이용한 프로그램 사전 사후 면접 및 설문
- 자기존중감 측정 척도를 이용한 프로그램 사전 사후 면접 및 설문
- 프로그램 효과 파악 설문지를 통한 사후 설문
3. 사후관리
사후관리
①학교 생활 실태 변화정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②집단면접을 통한 학생 심리 변화정도 파악
③교사 및 부모 대상 학생 생활변화정도에 대한 면접 실시
Ⅶ. 사업기대 효과
(1) 자신에 대한 이해와 학교에 대한 부정적 시각 감소 효과
☞ 심리검사와 집단면접을 통해 자신과 자신의 주변에 대하여 이해하고 그를 통하여 학교라는 조직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을 감소 내지 의지의 효과를 얻는다.
(2) 새로운 경험을 통한 자기존중감과 자기개발의지의 신장
☞ 장애아동 봉사활동, 보호관찰소 견학, 일일교사체험 등 새롭고 색다른 경험을 통하여 자기를 존중하는 마음을 되새기고 자기계발의지를 돋구는 효과를 얻는다.
(3) 단체활동을 통한 학교생활의 효과적인 적응 행동 유도
☞ 프로그램 전반의 모든 활동을 규칙적이고 어느정도 제한된 영역에서 모두 다함께 하면서 소속감과 정해진 규율 속에서의 즐거움을 찾는다. 그러함으로써 학교라는 단체생활에 순조롭게 적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4) 부모,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 신뢰감 상승 효과
☞ 프로그램 전반적인 활동에서의 대상 학생의 행동변화나 심리변화 상태를 각 가정과 학교의 교사에게 통보하고, 또한 직간접적으로 학생과의 교감을 통하여 서로간의 이해와 상호 신뢰감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2. 항목별 예산
항목
산출근거
비고
직접비
간접비
인건비
청소년상담사
2회×100,000원
=200,000원
총 2주 1회씩
심리검사
강사 초청비
1회×400,000원
=400,000원
소계
400,000원
200,000원
사업비
M·T
교통비
2회×차량3대×기름값 15,000원
=90,000원
수련관 차량 이용
숙박
방 3개×80,000원
=240,000원
도시락
24명×2800원
=67,200원
수련관 식당 제공
식비
24명×4000원
=96,000원
레크레이션
물품
35,000원
구호약품
8,500원
간식
24명×컵라면 1개당1,000원+6×1,5리터 음료 1개당 1,500원+기타 과자 17000원
= 50,000원
문구용품
7,000원
군산보호관찰소 견학
교통비
2회×차량 3대×기름값 3000원
=18,000원
수련관 차량 이용
견학비
50,000원
장애아동 방학교육
프로그램 참가
교통비
총 10회×20명×시내버스비 2,000원
=400,000원
교통비 지급
식비
10회×20명×2,200원
=440,000원
장애인복지관 제공
부모님과 함께
하는 등산
도시락
70명×3000원
=210,000원
레크레이션
물품
30,000원
간식비
15개×1.5리터 음료수 1,500원+30개×생수 1,000원
=52,500원
구호약품
15,000원
일일교사체험
사무용품
20,000원
간식비
과자 15,000원+4×1.5리터 음료수 1,500원+20개×빵 600원
=33,000원
해병대캠프
교통비
2회×차량 2대×기름값 13,000원
=52,000원
수련관 차량 이용
캠프참가비
220,000원
소계
1,321,500원
797,700원
관리비
건물유지비
150,000원
냉방비
200,000원
소계
350,000원
기타
복사비
120장×100원
=12,000원
소계
12,000원
계
1,733,500원
1,347,700원
예비비
1,733,500원(직접비)×0.04=69,340원
총계
1,733,500원+1,347,700원+69,340원
= 3,150,540원
Ⅵ. 프로그램 평가
1. 프로그램 과정평가
평가 회차
1회
2회
3회
평가
지표
- 교칙위반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대한 심리 상태 정도
- 프로그램 참여 의지 정도
- 교칙위한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대한 심리 상태 정도
-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행동 변화 의지 정도
- 가족간의 대화 효과 정도
- 교칙위반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대한 심리 상태 정도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행동 변화 의지 정도
- 교사와의 관계 이해 정도
평가
방법
- 단체소속감 측정 척도
- 자기존중감 측정 척도
- 프로그램 효과 파악 설문지
- 단체소속감 측정 척도
- 자기존중감 측정 척도
- 프로그램 효과 파악 설문지
2. 프로그램 성과평가
성과평가 목표
학교부적응 상태에 처해있는 학생들의 건강한 학교생활 도모
평가지표
- 단체소속감 측정 척도
- 자기존중감 측정 척도
측정방법
- 사전 사후 면접 및 설문 조사
평가방법
- 학교적응도 측정 척도를 이용한 프로그램 사전 사후 면접 및 설문
- 자기존중감 측정 척도를 이용한 프로그램 사전 사후 면접 및 설문
- 프로그램 효과 파악 설문지를 통한 사후 설문
3. 사후관리
사후관리
①학교 생활 실태 변화정도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②집단면접을 통한 학생 심리 변화정도 파악
③교사 및 부모 대상 학생 생활변화정도에 대한 면접 실시
Ⅶ. 사업기대 효과
(1) 자신에 대한 이해와 학교에 대한 부정적 시각 감소 효과
☞ 심리검사와 집단면접을 통해 자신과 자신의 주변에 대하여 이해하고 그를 통하여 학교라는 조직에 대하여 부정적인 시각을 감소 내지 의지의 효과를 얻는다.
(2) 새로운 경험을 통한 자기존중감과 자기개발의지의 신장
☞ 장애아동 봉사활동, 보호관찰소 견학, 일일교사체험 등 새롭고 색다른 경험을 통하여 자기를 존중하는 마음을 되새기고 자기계발의지를 돋구는 효과를 얻는다.
(3) 단체활동을 통한 학교생활의 효과적인 적응 행동 유도
☞ 프로그램 전반의 모든 활동을 규칙적이고 어느정도 제한된 영역에서 모두 다함께 하면서 소속감과 정해진 규율 속에서의 즐거움을 찾는다. 그러함으로써 학교라는 단체생활에 순조롭게 적응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4) 부모,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 신뢰감 상승 효과
☞ 프로그램 전반적인 활동에서의 대상 학생의 행동변화나 심리변화 상태를 각 가정과 학교의 교사에게 통보하고, 또한 직간접적으로 학생과의 교감을 통하여 서로간의 이해와 상호 신뢰감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얻는다.
추천자료
대안교육을 통한 부적응 학생 지도사례 - 두남 대안학교
학교사회사업(청소년 약물남용자를 위한 사회적응 프로그램)
프로포절(일탈청소년 사회적응 프로그램)
(프로포절) 알코올중독자의 사회적응을 위한 자기사랑 프로그램
프로포절(장애아동의 사회적응력향상과 가족기능강화 프로그램-하나래교실)
(공동모금회프로포절)이주여성 가정의 사회적응을 위한 가족기능 강화 프로그램
방문교육을 통한 탈북 청소년 학교 사회 적응 지원 프로그램
동남아 결혼이주여성의 대한민국 사회적응 프로그램 사업계획서(프로포절)
1 청소년기 중요한 발달과업인 자아정체감 설명, 청소년들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하여 가정이...
사회복지 프로그램) 장애아동의 학교, 사회적응 지원과 부모 부양 부담 경감을 위한 방과 ...
사회복지 프로그램) 저소득층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의 학교 적응을 위한 학습, 정서지원 프...
사회복지 프로그램) 저소득층 청소년의 학교, 사회 적응을 돕는 회복탄력성 강화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취약가정 청소년의 바른 성장과 학교, 사회 적응을 돕는 멘토링 프로그램
사회복지 프로그램) 한부모가정 부모의 양육 역량강화와 자녀의 학교, 사회 적응 지원 프로그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