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Options의 정의
재무비율분석
재무비율분석
본문내용
고자산은 10억원인데, 금년 말에는 내년초에 출하되어야 할 특별주문품 15억원이 포함되어 총 재고가 20억원에 달한다.
이 경우 전년도 재고자산 회전율은 10회 인데 반해, 금년도는 5회로 줄어들어 실질적인 상황은 오히려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회사 상황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난다.
재무비율 분석은 앞에서 살펴 본 대로 특정회사의 재무 상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이다. 그러나 계량적 분석이 갖는 많은 한계점을 정확히 인식하고 제한된 범위내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특히 계량화할 수 없는 기업의 노사관계, 업계에서의 위치, 경쟁자 분석과 같은 재무제표에 나타나 있지 않는 질적요소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는 것이 올바른 재무분석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Debt ratio=
Debt-to-equity ratio(부채비율)=
Equity multiplier=1+부채비율
지속가능 성장률
EPS는 DPS의 중장기적 성장을 예측하는 출발점이 된다.
배당성장모형에서...P = D/(r-g) 에서 g는 지속가능 성장률이 된다.
ROE=세후당기순이익/기초자기자본으로 정의하자.
이익처분 중 사외유출은 배당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고
기중에 증자와 같은 재무적 현금흐름에 의한 자기자본 증가가
없다고 가정할 때 기초부터 기말까지의 자기자본 성장률은
당기 내부유보/기초자기자본이 된다. 즉, d(배당성향)와 ROE가 일정하다면
지속가능 성장률은 ROE*(1-d)이 되며 DPS의 성장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d가 일정할 때 DPS성장률 = EPS성장률
ROE가 일정할 때 = BPS증가율
유상증자가 없을 때 = 당기사내유보/기초자기자본
= 세후순이익*(1-d)/기초자기자본
= ROE*(1-d)
ROE가 10% 인 경우
d 1-d SGR(지속가능성장률)
0 100 10%(성장률 최대치)
30 70 7%
50 50 5%
70 30 3%
100 0 0%(제로성장)
그러나 ROE가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서 BPS에만 영향을 주는 것일까?
다음 식에서 ROE는 ROA(총자산 사업이익률), 차입금리, 부채비율, 세율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업이익이란 영업이익 + 이자수입 + 수입배당금이다.
ROE = [ROA + (ROA-i)*D/E]*(1-T) 라는 식에서 ROA, i, T 가 일정해도 D/E가 변한다면
ROE는 변하게 된다. 따라서 ROE가 일정하다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사내유보가 증가함에 따라 D/E도 같이 증가해야 하므로 E의 증가분만큼 D를 증가시켜야 한다.
즉, 가능성장률은 ROA(사업의 수익성), 차입금리, 자본구성(D/E), 배당정책(d), 세율(T) 등
모든 변수들이 얼정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실제로 ROA, i는 매회기년도마다 변하고 자본구성과 배당성향도 엄격하게 지키는 기업은 없다.
따라서 지속가능성장률은 중장기적인 평균치로서 파악해야 한다.
다만, 기업들이 합병, 유상증자, CB, Warrants 발행등으로 신규주주를 참여시켜 발행주식수가
증가할 경우 이익증가율과 신규주주 참여로 인한 이익이 잠식당하는 정도를 항상 고려해야 한다.
지속가능성장률은 개선하기 위한 조건은 앞에서 본 변수들에 달려있다.
1. 사업의 수익성(ROA) 증가
2. 차입금리 하락
3. 재무레버리지 상승(D/E)-ROA가 차입금리를 상회할 경우
4. 배당보다 내부유보 우선하는 정책- 이로 인해 배당성향은 하락한다.
5. 세율(T) 하락
6. Equity Financing의 자제
이중에서 우리가 상식적으로 알 수 있듯이 가장 중요한 변수는 1번 사업의 수익성 증가라고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년도 재고자산 회전율은 10회 인데 반해, 금년도는 5회로 줄어들어 실질적인 상황은 오히려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회사 상황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난다.
재무비율 분석은 앞에서 살펴 본 대로 특정회사의 재무 상황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이다. 그러나 계량적 분석이 갖는 많은 한계점을 정확히 인식하고 제한된 범위내에서 이를 적절히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특히 계량화할 수 없는 기업의 노사관계, 업계에서의 위치, 경쟁자 분석과 같은 재무제표에 나타나 있지 않는 질적요소에 대한 분석을 병행하는 것이 올바른 재무분석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Debt ratio=
Debt-to-equity ratio(부채비율)=
Equity multiplier=1+부채비율
지속가능 성장률
EPS는 DPS의 중장기적 성장을 예측하는 출발점이 된다.
배당성장모형에서...P = D/(r-g) 에서 g는 지속가능 성장률이 된다.
ROE=세후당기순이익/기초자기자본으로 정의하자.
이익처분 중 사외유출은 배당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고
기중에 증자와 같은 재무적 현금흐름에 의한 자기자본 증가가
없다고 가정할 때 기초부터 기말까지의 자기자본 성장률은
당기 내부유보/기초자기자본이 된다. 즉, d(배당성향)와 ROE가 일정하다면
지속가능 성장률은 ROE*(1-d)이 되며 DPS의 성장률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d가 일정할 때 DPS성장률 = EPS성장률
ROE가 일정할 때 = BPS증가율
유상증자가 없을 때 = 당기사내유보/기초자기자본
= 세후순이익*(1-d)/기초자기자본
= ROE*(1-d)
ROE가 10% 인 경우
d 1-d SGR(지속가능성장률)
0 100 10%(성장률 최대치)
30 70 7%
50 50 5%
70 30 3%
100 0 0%(제로성장)
그러나 ROE가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서 BPS에만 영향을 주는 것일까?
다음 식에서 ROE는 ROA(총자산 사업이익률), 차입금리, 부채비율, 세율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사업이익이란 영업이익 + 이자수입 + 수입배당금이다.
ROE = [ROA + (ROA-i)*D/E]*(1-T) 라는 식에서 ROA, i, T 가 일정해도 D/E가 변한다면
ROE는 변하게 된다. 따라서 ROE가 일정하다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사내유보가 증가함에 따라 D/E도 같이 증가해야 하므로 E의 증가분만큼 D를 증가시켜야 한다.
즉, 가능성장률은 ROA(사업의 수익성), 차입금리, 자본구성(D/E), 배당정책(d), 세율(T) 등
모든 변수들이 얼정수준을 유지해야 한다.
실제로 ROA, i는 매회기년도마다 변하고 자본구성과 배당성향도 엄격하게 지키는 기업은 없다.
따라서 지속가능성장률은 중장기적인 평균치로서 파악해야 한다.
다만, 기업들이 합병, 유상증자, CB, Warrants 발행등으로 신규주주를 참여시켜 발행주식수가
증가할 경우 이익증가율과 신규주주 참여로 인한 이익이 잠식당하는 정도를 항상 고려해야 한다.
지속가능성장률은 개선하기 위한 조건은 앞에서 본 변수들에 달려있다.
1. 사업의 수익성(ROA) 증가
2. 차입금리 하락
3. 재무레버리지 상승(D/E)-ROA가 차입금리를 상회할 경우
4. 배당보다 내부유보 우선하는 정책- 이로 인해 배당성향은 하락한다.
5. 세율(T) 하락
6. Equity Financing의 자제
이중에서 우리가 상식적으로 알 수 있듯이 가장 중요한 변수는 1번 사업의 수익성 증가라고 할 수 있다.
추천자료
스톡옵션의개요
글로벌경영
스톡옵션에 대한 정의 및 사례와 방안연구
삼성 그룹의 성과급(스톡옵션)시스템의 고찰 및 개선 방안
신재생에너지 산업과 세계 초우량 에너지 기업 경영전략
[스톡옵션]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의 개념, 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의 종류, 도입목적과 ...
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의 개념, 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종류, 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
스타벅스(STARBUCKS)의 경영전략분석
[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주식][증권][주주]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의 정의, 스톡옵션(...
[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 정의, 스톡옵션(주식매입선택권) 분류,...
[미국기업의 유형][미국기업의 인센티브제도][미국기업의 인사][미국기업의 교육][미국기업의...
[기술가치평가, 기술가치평가 개념, 기술가치평가 요소, 기술가치평가 목적]기술가치평가의 ...
<하나 투어 연구 보고서 HANA TOUR Research Report> 기업 개요, 기업문화와 조직구조, 관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