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하락이 미치는 영향과 전망 조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최근 환율하락의 영향과 전망 조사

<원/달러 환율하락 업종별 영향>

플러스(+)일까? 마이너스(-)일까? : 환율하락의 ‘득’ 과 ‘실’

환율하락의 원인, ‘달러화 약세’

환율하락 경상수지를 악화시켜

환율하락 주가에도 악영향

환율이 하락하면 외채 부담도 줄어

환율하락에 대비하는 방법은…

본문내용

또 환율이 하락하면 우리나라가 달러로 외국에 지고 있는 빚이 저절로 줄어드는 효과도 발생합니다. 그래서 환율이 하락할 때 발을 동동 구르는 기업들이 많지만 어떤 기업들은 쾌재를 부르기도 합니다. 바로 외국으로부터 자금을 빌린 기업들이나 금융기관들입니다.
예를 들어 환율이 1달러 당 1,000원일 때 어느 기업이 외국에서 1억 달러를 빌려 썼다면 1,000억원의 빚을 진 것입니다. 하지만 환율이 500원으로 하락하면, 이 기업의 빚은 500억 원이 됩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날아갈 것 같은 기분이겠지요. 환율이 떨어지면서 500억원의 빚이 줄어든 것이니까요. 이처럼 빚이 감소하면 기업 입장에서는 생산원가가 줄어드는 셈이므로 소비자들에게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됩니다. 하나 더 있습니다. 급격한 원화 강세로 달러화로 표시되는 국민소득이 빠르게 늘어나게 됐습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연평균 환율이 920원 밑으로 떨어질 경우 올 해안에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 시대가 열릴 수도 있다고 합니다.
환율하락에 대비하는 방법은…
이렇게 환율하락은 동전의 양면처럼 우리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가져옵니다. 그렇다면 우리경제 전체적으로 득과 실 중에서 어느 쪽이 더 클까요? 안타깝게도 경제성장의 절반 이상을 수출에 의존하는 수출 주도형인 우리경제의 구조상으로는 환율이 떨어지면 플러스(+)요인 보다는 마이너스(-)요인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즉 물가안정이나 내수 증대 등에 따른 긍정적 영향보다는 수출이 줄어들면서 발생하는 부정적 영향이 더 클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하지만 환율하락은 달러화 약세라는 외부적인 요인에서 비롯된 결과이기에 우리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따라서 환율하락의 긍정적인 효과는 최대화하고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비를 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원화상승을 이용해 꼭 필요한 해외자산에 투자하는 기회로 활용하는 것 등입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기업들이 환율하락으로 가격이 비싸져도 해외시장에서 팔릴 수 있는 월등한 품질의 상품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우리 기업들이 세계시장에서 언제나 환영 받을 수 있는 우수한 품질의 상품을 쏟아 낸다면 환율하락으로 인한 걱정이 훨씬 덜할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 기업들이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늘려 환율하락에도 끄덕 없는 체질을 갖추어야 하겠습니다.
우리 기업들은 분명 그만한 저력이 있습니다. 실제2003년~2005년에도 환율은 꾸준히 하락했지만 우리나라 수출은 3년 연속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인 적이 있으니까요. ‘하이! 경제’친구들, 한동안 월드컵 응원 때문에 정신없이 바빴죠. 하지만 월드컵 응원만큼이나 우리 기업들이 환율하락으로 인한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도록 응원하는데도 관심을 아끼지 않아야 하겠습니다. 월드컵 4강을 위해 그라운드에서 최선을 다한 국가대표 축구팀처럼 우리 기업들도 한국의 위상을 세계에 떨치기 위해 세계시장에서 다른 나라의 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니까요.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2.2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4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