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본문내용
른 절차
시행 후 간호
② 구강대 구강 호흡법
앙와위로 눕히고 시술자는 아동의 한쪽에 무릎을 꿇고 그 한 쪽의 손을 목 아래에, 다른 쪽의 손을 머리 위에 두고 경부를 충분히 신장시킨다. 시술자는 목 아래에 있는 손을 떼어 턱 아래로 가지고 가서 입을 가볍게 닫는다. 시술자는 크게 심호흡을 하여 넓게 연 입을 아동의 흉곽이 가볍게 부풀 때까지 숨을 불어넣는다. 이어서 입을 떼면 자연스럽게 호기가 일어나서 흉복 벽이 가라앉는 것이 입으로부터 입으로 호기를 불어넣는 인공호흡법이다.
3) 순환유지
① 외흉부압박법
마루에 눕혀서 실시한다. 체위는 머리를 수평으로 하고 다리 밑에 베개를 넣어서 약간 높게 한다. 시술자의 아동과 마주보고 흉골 아래 1/3되는 곳에 시술자의 오른쪽 손바닥을 놓고 오른쪽손등에 왼쪽 손바닥을 겹쳐서 손꿈치에 시술자의 체중을 실어서 2~3㎝움푹 들어가도록 1분 동안 80~100회 율동적으로 압박한다.
② 인공호흡과 외흉부압박법
시술자가 2인 이상 또는 소생기를 사용할 때에 는 외흉부압박법과 인공호흡을 5:1의 비율로 번갈아 실시한다. 시술자가 한 사람일 때는 외흉부압박법 5회에 인공호흡 2회로 5:2의 비율로 실시한다. 일반적으로 영아인 경우는 1인 소생술이 간편하다.
예방 접종
기본접종
종류별 접종시기 및 접종방법
종류별 접종의 주의사항
① B형간염
영유아 접종부위: 대퇴부전외측근 용량은 신생아, 10세 이하 아동 0.5㎖
연장아, 성인접종부위: 삼각근 근육주사, 용량은 11세 이상의 연령 1.0㎖
접종시기: 12시간이내
② BCG (결핵)
1-2개월 접종, 0.05-0.1㎖를 삼각근 부위에 피내주사(5-7mm평진)하며 추가접종은 결핵 예방에 대한 국가 예방의 효과가 없으므로 시행하지 않는다.
*주의사항: 심한 피부질환, 영양장애, 발열 및 면역기능 저하 등이 동반 될 때는 접종은 피한다.
③ DTP, TOPV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
2, 4, 6개월 접종, 추가접종 15-18개월
0.5㎖를 영아에서는 대퇴전외측, 연장아 에게는 삼각근에 근육주사
* 소아마비: 2, 4, 6개월 접종, 접종방법 0.2㎖경구투여
* 주위사항: 백일해 접종 후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절대금기 접종 후 7일 이내에 의식장애, 신경학적 이상등의 급성 뇌종 소견이 있는 경우
④ MMR (홍역, 볼거리, 풍진)
12-15개월 접종, 0.5㎖를 피하주사
⑤ 일본뇌염
접종시기 3세 이후 아동(유행 시 6개월 이후 아동)
3세 이상은 1.0㎖ 3세 이하는 0.5㎖ 피하주사
⑥ 수두
급성 백혈병, 악성종양 등으로 면역 억제 화학요법 치료를 받은 아동이며 0.5㎖ 피하주사
⑦ 장티푸스
접종대상 6세 이상의 연련층에서 식품위생접객업소종사자, 집단급식소 종사자, 급수시설종사자
⑧ 인플루엔자
접종대상은 6개월 이상의 만성 질환자 (폐기종, 만성기관지염등의 만성 폐질환, 울혈성 심부전 등의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등의 대사질환, 신부전 면역 기능 저하) 요양원 및 치료 소에 장기 거주 의료인 및 고용인 6개월에서 18세 사이의 아스피린 장기 복용자, 고위험자의 가족이다.
* 주의사항- 6개월 미만의 영아는 접종 후 고열 등의 전신 증상의 부작용이 많아 금기한다.
추가접종
종류별 접종시기 및 접종방법
종류별 접종의 주의사항
14개월-6세 이하 아동
7세 이상 아동
시기
종류
시기
종류
처음 방문시
처음 방문후
1개월 후
2개월 후
4개월 후
마지막접종한지
10-16개월수
입학직전
14-16세
매 10년마다
DTP, TOPV
MMR
DTP. TOPV
DTP, TOPV
DTP, TOPV
DTP, TOPV
Td
Td
처음 방문시
처음 방문후
1개월 후
2개월 후
8-14개월 후
14-16세
매 10년마다
Td, TOPV
MMR
Td, TOPV
Td, TOPV
Td
Td
놀이
목적
놀이란 아동의 전부라도 의미를 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놀이는 내적으로 동기유발되어 발생된다. 즉 놀이는 자발적으로 주도하는 활동이다.
연령별 놀이 종류
1. 인지적 놀이
① 영유아의 놀이 (감각운동기의 놀이)
출생하여 2세 경까지는 연습놀이 또는 기능놀이를 주로 한다.
② 학령전기 아동의 놀이 ( 전 조작기의 놀이)
2세가 지나면 기능적 활동 수준을 넘어서 스스로 무엇을 창조하는 놀이인 구성놀이 와 상상력이 작용되는 상징놀이를 한다.
③ 학령기 아동의 놀이 (구체적 조작기의 놀이)
규칙있는 게임 즉 축구나 농구와 같은 경기장 게임을 비롯하여 공기놀이, 윷놀이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규칙 또는 새롭게 정해진 규칙에 따라하는 놀이활용이다.
2. 사회적 놀이
① 무의미한 행동 - 2세 이전의 어린이에게 많이 볼 수 있는 것으로 흥미있는 것을 바라본다거나, 만진다든가 하며 사람의 뒤를 그냥 따라 가는 것과 같은 동작이다.
②방관자 행동 - 다른 어린이의 놀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가만히 보고 있기도 하고 때로는 얘기를 걸기도 한다.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지 않는다.
③ 단독놀이 - 주위에 다른 어린이가 있어도 무관심하게 혼자서 노는 것으로 2-3세의 어린이에게 많이 볼 수 있다.
④ 평행놀이 - 다른 어린이의 놀이를 보고 있다가 자연적으로 몰입되어 자신도 그 놀이를 하기 시작한다. 같은 장소에서 같은 도구로 같은 놀이를 하고 있지만 함께 놀지는 않는다. 서로 관계없이 놀고 혼자서 얘기를 한다.
⑤ 연합놀이 - 다른 어린이와 함께 놀고 있지만 역할 분담은 분명하지 않다.
⑥ 협동놀이 - 게임을 하기도 하고 무엇을 만들기도 하여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노는 조작적인 놀이로 역할분담을 하거나 규칙을 가지고 논다. 3세 이하의 어린이에게는 볼 수 없고 3세를 지나면 갑자기 증가한다.
참고문헌
문헌
아동간호학I, 이자형 외, 신광출판사:서울, 2003년.
발달단계별 아동간호학, 이화자 외, 정담미디어:서울, 2003년.
아동간호학 총론, 김영혜 외, 현문사:서울, 2003년.
아동간호학 참고교재, 김화중, 대한간호협회, 1999년.
간호사국시대비 아동간호학, 퍼시픽출판사, 2005년.
건강사정, 이강이 외, 현문사:서울, 2005년.
최신임상간호메뉴얼, 퍼시픽출판사, 2005년.
시행 후 간호
② 구강대 구강 호흡법
앙와위로 눕히고 시술자는 아동의 한쪽에 무릎을 꿇고 그 한 쪽의 손을 목 아래에, 다른 쪽의 손을 머리 위에 두고 경부를 충분히 신장시킨다. 시술자는 목 아래에 있는 손을 떼어 턱 아래로 가지고 가서 입을 가볍게 닫는다. 시술자는 크게 심호흡을 하여 넓게 연 입을 아동의 흉곽이 가볍게 부풀 때까지 숨을 불어넣는다. 이어서 입을 떼면 자연스럽게 호기가 일어나서 흉복 벽이 가라앉는 것이 입으로부터 입으로 호기를 불어넣는 인공호흡법이다.
3) 순환유지
① 외흉부압박법
마루에 눕혀서 실시한다. 체위는 머리를 수평으로 하고 다리 밑에 베개를 넣어서 약간 높게 한다. 시술자의 아동과 마주보고 흉골 아래 1/3되는 곳에 시술자의 오른쪽 손바닥을 놓고 오른쪽손등에 왼쪽 손바닥을 겹쳐서 손꿈치에 시술자의 체중을 실어서 2~3㎝움푹 들어가도록 1분 동안 80~100회 율동적으로 압박한다.
② 인공호흡과 외흉부압박법
시술자가 2인 이상 또는 소생기를 사용할 때에 는 외흉부압박법과 인공호흡을 5:1의 비율로 번갈아 실시한다. 시술자가 한 사람일 때는 외흉부압박법 5회에 인공호흡 2회로 5:2의 비율로 실시한다. 일반적으로 영아인 경우는 1인 소생술이 간편하다.
예방 접종
기본접종
종류별 접종시기 및 접종방법
종류별 접종의 주의사항
① B형간염
영유아 접종부위: 대퇴부전외측근 용량은 신생아, 10세 이하 아동 0.5㎖
연장아, 성인접종부위: 삼각근 근육주사, 용량은 11세 이상의 연령 1.0㎖
접종시기: 12시간이내
② BCG (결핵)
1-2개월 접종, 0.05-0.1㎖를 삼각근 부위에 피내주사(5-7mm평진)하며 추가접종은 결핵 예방에 대한 국가 예방의 효과가 없으므로 시행하지 않는다.
*주의사항: 심한 피부질환, 영양장애, 발열 및 면역기능 저하 등이 동반 될 때는 접종은 피한다.
③ DTP, TOPV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
2, 4, 6개월 접종, 추가접종 15-18개월
0.5㎖를 영아에서는 대퇴전외측, 연장아 에게는 삼각근에 근육주사
* 소아마비: 2, 4, 6개월 접종, 접종방법 0.2㎖경구투여
* 주위사항: 백일해 접종 후 다음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절대금기 접종 후 7일 이내에 의식장애, 신경학적 이상등의 급성 뇌종 소견이 있는 경우
④ MMR (홍역, 볼거리, 풍진)
12-15개월 접종, 0.5㎖를 피하주사
⑤ 일본뇌염
접종시기 3세 이후 아동(유행 시 6개월 이후 아동)
3세 이상은 1.0㎖ 3세 이하는 0.5㎖ 피하주사
⑥ 수두
급성 백혈병, 악성종양 등으로 면역 억제 화학요법 치료를 받은 아동이며 0.5㎖ 피하주사
⑦ 장티푸스
접종대상 6세 이상의 연련층에서 식품위생접객업소종사자, 집단급식소 종사자, 급수시설종사자
⑧ 인플루엔자
접종대상은 6개월 이상의 만성 질환자 (폐기종, 만성기관지염등의 만성 폐질환, 울혈성 심부전 등의 심혈관계질환, 당뇨병 등의 대사질환, 신부전 면역 기능 저하) 요양원 및 치료 소에 장기 거주 의료인 및 고용인 6개월에서 18세 사이의 아스피린 장기 복용자, 고위험자의 가족이다.
* 주의사항- 6개월 미만의 영아는 접종 후 고열 등의 전신 증상의 부작용이 많아 금기한다.
추가접종
종류별 접종시기 및 접종방법
종류별 접종의 주의사항
14개월-6세 이하 아동
7세 이상 아동
시기
종류
시기
종류
처음 방문시
처음 방문후
1개월 후
2개월 후
4개월 후
마지막접종한지
10-16개월수
입학직전
14-16세
매 10년마다
DTP, TOPV
MMR
DTP. TOPV
DTP, TOPV
DTP, TOPV
DTP, TOPV
Td
Td
처음 방문시
처음 방문후
1개월 후
2개월 후
8-14개월 후
14-16세
매 10년마다
Td, TOPV
MMR
Td, TOPV
Td, TOPV
Td
Td
놀이
목적
놀이란 아동의 전부라도 의미를 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놀이는 내적으로 동기유발되어 발생된다. 즉 놀이는 자발적으로 주도하는 활동이다.
연령별 놀이 종류
1. 인지적 놀이
① 영유아의 놀이 (감각운동기의 놀이)
출생하여 2세 경까지는 연습놀이 또는 기능놀이를 주로 한다.
② 학령전기 아동의 놀이 ( 전 조작기의 놀이)
2세가 지나면 기능적 활동 수준을 넘어서 스스로 무엇을 창조하는 놀이인 구성놀이 와 상상력이 작용되는 상징놀이를 한다.
③ 학령기 아동의 놀이 (구체적 조작기의 놀이)
규칙있는 게임 즉 축구나 농구와 같은 경기장 게임을 비롯하여 공기놀이, 윷놀이 등과 같이 미리 정해진 규칙 또는 새롭게 정해진 규칙에 따라하는 놀이활용이다.
2. 사회적 놀이
① 무의미한 행동 - 2세 이전의 어린이에게 많이 볼 수 있는 것으로 흥미있는 것을 바라본다거나, 만진다든가 하며 사람의 뒤를 그냥 따라 가는 것과 같은 동작이다.
②방관자 행동 - 다른 어린이의 놀이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여 가만히 보고 있기도 하고 때로는 얘기를 걸기도 한다. 놀이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지 않는다.
③ 단독놀이 - 주위에 다른 어린이가 있어도 무관심하게 혼자서 노는 것으로 2-3세의 어린이에게 많이 볼 수 있다.
④ 평행놀이 - 다른 어린이의 놀이를 보고 있다가 자연적으로 몰입되어 자신도 그 놀이를 하기 시작한다. 같은 장소에서 같은 도구로 같은 놀이를 하고 있지만 함께 놀지는 않는다. 서로 관계없이 놀고 혼자서 얘기를 한다.
⑤ 연합놀이 - 다른 어린이와 함께 놀고 있지만 역할 분담은 분명하지 않다.
⑥ 협동놀이 - 게임을 하기도 하고 무엇을 만들기도 하여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노는 조작적인 놀이로 역할분담을 하거나 규칙을 가지고 논다. 3세 이하의 어린이에게는 볼 수 없고 3세를 지나면 갑자기 증가한다.
참고문헌
문헌
아동간호학I, 이자형 외, 신광출판사:서울, 2003년.
발달단계별 아동간호학, 이화자 외, 정담미디어:서울, 2003년.
아동간호학 총론, 김영혜 외, 현문사:서울, 2003년.
아동간호학 참고교재, 김화중, 대한간호협회, 1999년.
간호사국시대비 아동간호학, 퍼시픽출판사, 2005년.
건강사정, 이강이 외, 현문사:서울, 2005년.
최신임상간호메뉴얼, 퍼시픽출판사, 200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