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니아만도주식회사 전략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사례선정의 이유
1. 연구목적
2. 사례선정의 이유

Ⅱ. 회사소개
1. 연혁
2. 경영이념
3. 품질활동

Ⅲ. 딤채의 경쟁전략
1. 딤채의 시장 내 경쟁력 분석
2. 포터의 산업 구조 분석
3. 5 Force를 통한 산업의 특성 분석
4. 포터의 가치 사슬 분석
5. 경쟁기업 분석
6. SWOT 분석
7. 딤채의 성공전략

Ⅳ. 위니아만도의 다각화
1. BCG 포트폴리오
2. 다각화

Ⅴ. 결론

Ⅵ. 참고 자료

본문내용

끝으로 마케팅 전략이 핵심 제품 특히 위니아의 성공 밑거름으로 작용하였다. 딤채는 대기업이 사용하듯 대대적인 광고공세로 인지도를 단기간에 높이는 전략보다는 대규모 평가단을 조직해 입소문을 촉발시키는 장기적인 "구전(口傳)마케팅"을 전개했다. 사용고객의 실증을 통해 제품의 편익과 신뢰를 증언하는 형태로서 제품이미지를 확산시켰으며 이를 통해 광고에 의한 인지보다도 확실한 선호도를 확보하는데 주력했다.
현재 딤채는 상부개폐 2room형/1room형, 복합형, 빌트인형으로 나뉘어 판매한다.
에어컨에는 벽걸이형과 스탠드형 그리고 멀티형, 냉난방기로 구분되어 진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사내 아이디어 개발 부서인 [유레카 팀] 과 30년 동안 공조를 해오면서 축적된 기술력, 그리고 지속적 투자와 차별적 마케팅 전략으로 ‘위니아’와 ‘자동차 공조품’을 핵심으로 다각화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앞으로 기업을 유지하고 성장 발전 시키기 위해서 핵심역량을 기초로 새로운 다각화를 모색하여 하겠다.
요즘 생활이 점자 나아지면서 고객의 필요와 욕구가 점차 세분화 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 냉장고와 와인 냉장고 같은 새로운 제품의 개발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화장품 냉장고는 국내에서 세화의 ‘뷰티 쿨’, 이젠택의 ‘챠빌’ 두개가 생산 판매되고 있으며 와인 냉장고의 경우에는 수입에 의존한 국내 기업의 부재가 현실이다. 아직 도입기 단계로 어느 회사도 확고한 위치를 잡고있지 못하나 그 성장 가능성은 긍정적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온도 유지와 신선도 유지에서 이미 뛰어난 기술력의 핵심 기술을 인정 받아 성공한 이미지를 연계 시켜 화장품 냉장고와 와인 냉장고로의 다각화는 핵심역량과 외부환경을 고려한 이상적 다각화로서 고려해 볼 사항이라 판단 된다. 뿐만 아니라 온도와 관련된 저장장치로서 ‘쌀 저온 저장장치’ 의 개발을 생각해 보았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에서 식사의 기본이자 중요한 것이 밥맛이라 하겠다. 그런 밥맛을 높이기 위해 쌀 벼가 추수되어 정재화 된 순간을 쌀통 형식으로 냉장 유지하여 밥맛의 질을 향상시켜 주는 것은 소비자가 인식하지 못한 시장에 대한 수요를 부축일 수 있는 새로운 제품이라 생각한다. 뿐만 아니라 그 시장의 규모 역시 밥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와 나아가 일본과 중국 등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도 사용 되어 질 수 있는 또 다른 효자상품이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Ⅴ. 결론
딤채는 위니아만도의 오랜 냉각기술과 초기에 기술우위로 인해, 다른 경쟁사들보다 앞설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의 김치냉장고시장은 진입장벽이 그다지 높지 않다.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진출할 수 있고, 또한, 이미 삼성과 LG같은 대기업이 뛰어들었다. 삼성과 LG는 반도체 기술을 이용해, 딤채와의 격차를 줄였다. 이들 대기업은 풍부한 자본력과, 유통망, 브랜드 인지도를 이용해 연구개발을 했고 시장점유율도 딤채를 바짝 추격하고 있다. LG의 경우 리듬발효를 개발해 김장김치를 땅에 묻었을 때와 같은 조건에 맞춰 한여름에 김치를 담가도 김장 맛을 낼 수 있도록 했다. 하우젠도 삼성의 첨단기술을 응용해 숙성 온도를 디지털이 스스로 설정해주는 '2단계 숙성시스템'을 채용한 게 특징이다
그렇다면 여지껏 딤채가 누릴 수 있었던 기술우위의 차별화 전략은 계속될 수 있을까? 앞으로는 힘들 것이다. 김치냉장고는 성숙기로 다가서고 있고, 진입장벽이 높지 않아. 다른 기업들도 뛰어들 것이다. 수익률은 떨어지고 경쟁은 심화된다. 저마다 기술우위를 가지고 나올 것이고, 그들 중에는 대기업도 있을 것이다. 중기업인 위니아만도로서는 브랜드나 기술우위를 지키는데 큰 어려움에 봉착할 것이다. 김치 연구소를 확장하거나, 대학과 연계 연구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김치 제조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도 한 방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딤채는 동원김치와 전략적 제휴를 맺고 있다. 그러나 하우젠이나 디오스도 김치 제조업체와 제휴를 맺었기 때문에, 이를 통한 차별화는 이룰 수 없다.지속적인 연구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두 번째 효과적인 마케팅전략은 어떨까? 지금껏 딤채는 적시적소에 효과적인 마케팅을 해왔다. 새로운 제품에 대한 인식을 위한, 구전마케팅이나 Before서비스경우는 신선한 것이었다. 발효과학이라는 컨셉도 사람들에게 김치냉장고 = 딤채라는 인식을 심어주었다. 그러나 지금 다른 제품들도 독특한 마케팅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더욱 고객 지향적이고, 새로운 마케팅들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딤채는 출시이후로 3년 동안 굳건히 시장점유율 1위와 제품 인지도, 호감도, 신뢰도에서 1위를 차지해왔다. 즉, 선도 브랜드라는 브랜드 이미지가 제품의 신뢰도와 함께 결합해 강한 브랜드 경쟁력을 창출하게 된 것이다. 중소기업이 대기업과의 경쟁에서 이기는 길은 소비자들의 신뢰에 바탕을 둔 높은 브랜드력이다. 따라서 브랜드 경쟁력을 계속적으로 키워 나가야한다.
요즘 김치냉장고는 대형화, 고급화, 세련된 디자인의 바람이 거세게 불고 있다. 하우젠이나 LG는 대형화를 하고 있는 반면 아직 딤채는 소형화 위주이고, 디자인에 대해서도 차별화가 덜 되어있다. 반면 삼성은 오래전 보편화한 다맛과 함께, 백색의 고급화되고 차별화된 '하우젠'이라는 브랜드로, 김치냉장고의 차별화 전략을 펴고 있다. 이런 흐름에 대한. 딤채의 전략적반응이 점점 느려지고 있다. 김치냉장고의 흐름을 읽고, 한발 앞서 대응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이다.
Ⅵ. 참고 자료
위니아만도 http://www.winiamando.co.kr/
딤채홈페이지 http://www.dimchae.co.kr/
한국경제신문 http://www.hankyung.com/
매일경제신문 http://www.mk.co.kr
한국일보 http://www.korealink.co.kr/
한경 비즈니스 http://www.kbizweek.com/
http://www.brandstock.co.kr/
http://www.kcsi.org/result/2002_index02_3.html
http://www.csjournal.or.kr/2001-07-3-3-34.html
기타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2.24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1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