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Common의 C가 CC, CA로 표현 되어 있다.
크게 Common Cathode와 Common Anode 두 종류가 있는데,
이는 LED의 위치에 따른 차이이다.
Common Cathode는 Common 포트에 GND를 주고 A ~ G, DP 포트에 VCC (High)를 주면 불이 켜진다.
반대로 Common Anode는 Common 포트에 VCC를 주고 A ~ G, DP 포트에 GND (Low)를 주면 불이 켜진다.
이때 AVR 포트와 A ~ G, DP 포트 사이에는 5V 출력인 경우 330옴 짜리 저항을 반드시 달아 줘야 한다.
따라서 제어 코드는 Common Anode 코드에 NOT을 붙이면 Common Cathode 코드가 된다.
아래는 7-Segment로 표현 할 수 있는 문자와 그때 건들여 줘야 하는 포트를 나타내고 있다. Common Anode 타입에서는 여기 적힌 포트에 GND를 주면 된다.
나. 실습 결과
(1) 7-Segment Display
<표 1 The Pin configurations of the 7-Segment LED Display>
핀번호
1
2
3
4
5
LED display
g
f
+5VDC
e
d
핀번호
6
7
8
9
10
LED display
DP
c
+5VDC
b
a
(2) 종합검토 및 논의
이번 실습은 74LS47, 74LS90 IC를 사용하여 7-Segment LED를 작동시키는 실습이었다.
예전에 했던 실습들도 모두 실생활에 유용하게 쓰이긴 하겠지만, 이번 실습은 우리가 생활하면서 자주 접할 수 있는 7-Segment에 관련된 실습이라 실습 전 부터 어려울 것 같다는 걱정도 많이 했고, 또한 기대감도 있었다. 또 Function Generator라는 새로운 기자재도 사용함으로써 사용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
실습회로도 1에서는 어려움 없이 7-Segment의 핀구성을 알아낼 수 있었다. 문제는 두 번째 실습이었다.
회로도를 처음에 딱 보고나서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다. 그래서 일단 알 것 같은 부분부터 차근차근 시작하기로 했다. 74LS47과 7-Segment 연결 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74LS90과 74LS47도 나름대로 연결을 시켰다. Function Generator와 연결시키고 Breadboard 전원을 켜보니 7-Segment가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 나중에 안 사실은 문제가 여러 가지였다는 것이다. 맨먼저 74LS47과 74LS90 IC각각에 전원공급을 해주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전원을 연결시키고 작동을 시켜보니 7-Segment 숫자가 이상하게 나오는 것이다. 알고보니 회로도 2번을 잘못 해석하여 74LS47과 7-Segment를 연결한 것이다. 회로도 2의 74LS47왼쪽 부분에서 13번 핀을 예로 들자면 13번 핀을 a로(우리가1번 실험에서 찾아낸 a) 즉10번 핀에 연결해야 하는데 우리는 13번 핀을 b로 즉 9번에 연결한 것이다.
그 문제점을 해결하니 7-Segment LED가 바르게 작동 되어 실습을 마칠 수 있었다.
실습을 마치니 대략 1시간정도 소요된 것 같다.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우리가 생활하면서 흔히 보고있는 7-Segment에 대해 전혀 몰랐던 나로서는 이번 실습이 아주 뜻깊고 기억에 남는 실습이었다. 이런 실습을 할수 있게끔 기회를 제공해 주신 교수님과 실습에 도움을 주신 조교님, 공동실습자에게 감사드린다. 그리고 실험 횟수가 늘어나면서 조금은 어렵고 복잡해지고 있지만 그에 대한 흥미는 그 배만큼 생기는 것 같아 디지털 회로 및 실습이라는 과목이 점점 재미있어 진다.
참고자료
http://blog.naver.com/ds5pnz
교재 Digital Electronics
크게 Common Cathode와 Common Anode 두 종류가 있는데,
이는 LED의 위치에 따른 차이이다.
Common Cathode는 Common 포트에 GND를 주고 A ~ G, DP 포트에 VCC (High)를 주면 불이 켜진다.
반대로 Common Anode는 Common 포트에 VCC를 주고 A ~ G, DP 포트에 GND (Low)를 주면 불이 켜진다.
이때 AVR 포트와 A ~ G, DP 포트 사이에는 5V 출력인 경우 330옴 짜리 저항을 반드시 달아 줘야 한다.
따라서 제어 코드는 Common Anode 코드에 NOT을 붙이면 Common Cathode 코드가 된다.
아래는 7-Segment로 표현 할 수 있는 문자와 그때 건들여 줘야 하는 포트를 나타내고 있다. Common Anode 타입에서는 여기 적힌 포트에 GND를 주면 된다.
나. 실습 결과
(1) 7-Segment Display
<표 1 The Pin configurations of the 7-Segment LED Display>
핀번호
1
2
3
4
5
LED display
g
f
+5VDC
e
d
핀번호
6
7
8
9
10
LED display
DP
c
+5VDC
b
a
(2) 종합검토 및 논의
이번 실습은 74LS47, 74LS90 IC를 사용하여 7-Segment LED를 작동시키는 실습이었다.
예전에 했던 실습들도 모두 실생활에 유용하게 쓰이긴 하겠지만, 이번 실습은 우리가 생활하면서 자주 접할 수 있는 7-Segment에 관련된 실습이라 실습 전 부터 어려울 것 같다는 걱정도 많이 했고, 또한 기대감도 있었다. 또 Function Generator라는 새로운 기자재도 사용함으로써 사용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
실습회로도 1에서는 어려움 없이 7-Segment의 핀구성을 알아낼 수 있었다. 문제는 두 번째 실습이었다.
회로도를 처음에 딱 보고나서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했다. 그래서 일단 알 것 같은 부분부터 차근차근 시작하기로 했다. 74LS47과 7-Segment 연결 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74LS90과 74LS47도 나름대로 연결을 시켰다. Function Generator와 연결시키고 Breadboard 전원을 켜보니 7-Segment가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 나중에 안 사실은 문제가 여러 가지였다는 것이다. 맨먼저 74LS47과 74LS90 IC각각에 전원공급을 해주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서 전원을 연결시키고 작동을 시켜보니 7-Segment 숫자가 이상하게 나오는 것이다. 알고보니 회로도 2번을 잘못 해석하여 74LS47과 7-Segment를 연결한 것이다. 회로도 2의 74LS47왼쪽 부분에서 13번 핀을 예로 들자면 13번 핀을 a로(우리가1번 실험에서 찾아낸 a) 즉10번 핀에 연결해야 하는데 우리는 13번 핀을 b로 즉 9번에 연결한 것이다.
그 문제점을 해결하니 7-Segment LED가 바르게 작동 되어 실습을 마칠 수 있었다.
실습을 마치니 대략 1시간정도 소요된 것 같다.
부끄러운 이야기지만 우리가 생활하면서 흔히 보고있는 7-Segment에 대해 전혀 몰랐던 나로서는 이번 실습이 아주 뜻깊고 기억에 남는 실습이었다. 이런 실습을 할수 있게끔 기회를 제공해 주신 교수님과 실습에 도움을 주신 조교님, 공동실습자에게 감사드린다. 그리고 실험 횟수가 늘어나면서 조금은 어렵고 복잡해지고 있지만 그에 대한 흥미는 그 배만큼 생기는 것 같아 디지털 회로 및 실습이라는 과목이 점점 재미있어 진다.
참고자료
http://blog.naver.com/ds5pnz
교재 Digital Electronics
키워드
추천자료
VHDL을 이용한 디지탈 시계만들기
[중소기업창업론]와인바(Wine Bar) 창업계획서
지하철공법
GPS(위성항법장치)의 개념, GPS(위성항법장치)의 역사, GPS(위성항법장치)의 구성, GPS(위성...
세계를 휩쓴 휘센의 마케팅 전략
삼성전자 애니콜(Anycall)의 마케팅 전략분석
계산기 설계 결과
브레드보드에 디지털 시계 구현
유니클로 마케팅전략분석과 전략제안 (SWOT,STP,4P) - 내부환경 분석, 기업상황 분석, 마케팅...
베릴로그 자판기(FPGA) / Vending Machine
≪ 해지스 (HAZZYS) ≫ 해지스 브랜드분석과 마케팅 SWOT, STP, 4P전략분석 및 해지스의 문제점...
전자회로실험II - 실험 9. DC 모터 속도 제어 및 측정 제 2주 예비보고서
디지털실험 - 설계 1 예비 보고서
디지털실험 - 설계 1 결과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