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개화사상의 발생과 개화파의 형성
2. 1884년(갑신)년의 정변
1) 개화파 형성 후의 활동
2) 갑신정변의 구체적 계획과 실행
3. 1894(갑오)년의 개혁
1) 전제
2) 갑오개혁의 문제점
Ⅲ. 결론
Ⅱ. 본론
1. 개화사상의 발생과 개화파의 형성
2. 1884년(갑신)년의 정변
1) 개화파 형성 후의 활동
2) 갑신정변의 구체적 계획과 실행
3. 1894(갑오)년의 개혁
1) 전제
2) 갑오개혁의 문제점
Ⅲ. 결론
본문내용
목처럼 갑신정변을 부정적으로 보는 시선이 팽배하고 나조차도 그러한 생각을 계속 가지고 있었는데 여러 논문들을 읽으면서 다시 한번 개화파들의 자주적이고 진보적인 개혁 사상들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갑오개혁에 있어서도 다양한 시각들이 있는데 이는 식민사관에서 출발하여 근대화론, 내재적 발전론, 민중사관, 사회구성체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로를 거쳐왔다. 다양한 연국방법론만큼 갑오개혁연구에서는 기초적인 문제에서조차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많다. 우선 갑오경장 혹은 갑오개혁이라는 용서사용에 대한 의견정리나 갑오개혁의 시기를 언제까지로 보아야하는 가에 대한 문제, 그리고 마찬가지로 자율론과 타율론의 문제등이 그것이다.
갑오개혁은 아래로부터의 변혁주체가 성숙해 있지 못했던 상황에서 지배계급의 일부였던 관료들이 일본의 지원을 받아 진행시킨 위로부터의 부르주아 개혁운동으로 긍정적이든 부정적으로 평가되든 간에 우리시대의 개혁에 여러 시사점들을 던져주고 있다. 역사는 오늘의 교훈이라는 말이 있듯이 주진오의 논문에서는 현재에 대조하여 갑오개혁의 시사점을 살펴보고 있는데 간략히 언급하고자 한다.
첫째의 시사점은, 개혁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조직의 구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개혁을 지향했던 농민군과 개화파의 상호대립에서 가져왔던 공멸(共滅)에서 알수 있다.
둘째, 개혁이념을 확고히 세우는 일이 중요하다. 갑오개혁의 개혁이념은 안으로 자유민주주의이고 밖으로는 국가경쟁력 강화인 것으로 보이는 데 국가경쟁력 강화라는 이념은 국가목표가 상위개념이므로 자유민주주의와는 양립하기 어려운 것이다.
셋째, 개혁의 제도화가 요구된다. 갑오개혁 당시에는 아직 개혁입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제도를 폐지하여 혼란을 가져온 경우를 여러 번 볼 수 있고 과거의 실정에 책임이 있었던 세력의 인적 청산에도 실패하여 왕권은 개혁을 통해 이룩한 성과들을 결과적으로 군주권 강화에 이용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권력의 핵심이 바뀌어도 개혁의 흐름은 바뀌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개혁의 제도화는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넷째, 민족문제의 국제화를 피하는 일이 중요하다. 당시 민족내적인 갈등을 외세에 의존하는 결정적인 오류를 범함으로 결과적으로 갈등을 증폭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자주성의 침해를 가져왔다. 오늘날 우리는 남북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남북한 정권 담당자 모두 국제화에 매달리고 있다는 인상을 받고 있는데 다시 한번 상고해 봐야할 문제이다.
이상은 여러 논문들 속에서 인상깊게 보았던 내용들이다. 마지막으로 결론을 맺자면, 갑신정변이나 갑오개혁을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즉 일본의 앞잡이로 규정하여 개혁으로서의 의미까지도 부인하거나 혹은 그 한계를 애써 축소하여 조선의 개화파 관료들에 의한 근대화정책으로 보는 것은 모두 별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중요한 것은 용어문제, 시기문제 등 의견을 정리하고 그 개혁들이 이룩한 성과가 무엇이고 한계가 무엇인지를 총체적으로 인식하여 한국근대사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신용하, 1984, <갑신정변의 개혁사상>,<<한국학보36>>, p.82~115
하원호, 2000, <갑신정변, 근대변혁운동의 서막인가 민중의 적의 정변인가>, <<통일시론 통권 6호>>, p.159~171
주진오, 1994, <갑오개혁의 새로운 이해>,<<갑오개혁청일전쟁 100년>>, p.18~56
조정규, 1999, <갑오개혁의 개혁내용과 주체 세력의 분석>,<<한국동북아논총>>.
김한종 외 다수, 2003, <<고등학교 한국근 · 현대사>>, (주)금성출판사, p.67
국사편찬위원회, 2007, <<국사 교사용지도서>>, 교육인적자원부.
갑오개혁에 있어서도 다양한 시각들이 있는데 이는 식민사관에서 출발하여 근대화론, 내재적 발전론, 민중사관, 사회구성체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경로를 거쳐왔다. 다양한 연국방법론만큼 갑오개혁연구에서는 기초적인 문제에서조차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문제가 많다. 우선 갑오경장 혹은 갑오개혁이라는 용서사용에 대한 의견정리나 갑오개혁의 시기를 언제까지로 보아야하는 가에 대한 문제, 그리고 마찬가지로 자율론과 타율론의 문제등이 그것이다.
갑오개혁은 아래로부터의 변혁주체가 성숙해 있지 못했던 상황에서 지배계급의 일부였던 관료들이 일본의 지원을 받아 진행시킨 위로부터의 부르주아 개혁운동으로 긍정적이든 부정적으로 평가되든 간에 우리시대의 개혁에 여러 시사점들을 던져주고 있다. 역사는 오늘의 교훈이라는 말이 있듯이 주진오의 논문에서는 현재에 대조하여 갑오개혁의 시사점을 살펴보고 있는데 간략히 언급하고자 한다.
첫째의 시사점은, 개혁의 주체가 될 수 있는 조직의 구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개혁을 지향했던 농민군과 개화파의 상호대립에서 가져왔던 공멸(共滅)에서 알수 있다.
둘째, 개혁이념을 확고히 세우는 일이 중요하다. 갑오개혁의 개혁이념은 안으로 자유민주주의이고 밖으로는 국가경쟁력 강화인 것으로 보이는 데 국가경쟁력 강화라는 이념은 국가목표가 상위개념이므로 자유민주주의와는 양립하기 어려운 것이다.
셋째, 개혁의 제도화가 요구된다. 갑오개혁 당시에는 아직 개혁입법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제도를 폐지하여 혼란을 가져온 경우를 여러 번 볼 수 있고 과거의 실정에 책임이 있었던 세력의 인적 청산에도 실패하여 왕권은 개혁을 통해 이룩한 성과들을 결과적으로 군주권 강화에 이용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권력의 핵심이 바뀌어도 개혁의 흐름은 바뀌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개혁의 제도화는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넷째, 민족문제의 국제화를 피하는 일이 중요하다. 당시 민족내적인 갈등을 외세에 의존하는 결정적인 오류를 범함으로 결과적으로 갈등을 증폭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자주성의 침해를 가져왔다. 오늘날 우리는 남북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남북한 정권 담당자 모두 국제화에 매달리고 있다는 인상을 받고 있는데 다시 한번 상고해 봐야할 문제이다.
이상은 여러 논문들 속에서 인상깊게 보았던 내용들이다. 마지막으로 결론을 맺자면, 갑신정변이나 갑오개혁을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즉 일본의 앞잡이로 규정하여 개혁으로서의 의미까지도 부인하거나 혹은 그 한계를 애써 축소하여 조선의 개화파 관료들에 의한 근대화정책으로 보는 것은 모두 별 의미를 지니지 못한다. 중요한 것은 용어문제, 시기문제 등 의견을 정리하고 그 개혁들이 이룩한 성과가 무엇이고 한계가 무엇인지를 총체적으로 인식하여 한국근대사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자료>
신용하, 1984, <갑신정변의 개혁사상>,<<한국학보36>>, p.82~115
하원호, 2000, <갑신정변, 근대변혁운동의 서막인가 민중의 적의 정변인가>, <<통일시론 통권 6호>>, p.159~171
주진오, 1994, <갑오개혁의 새로운 이해>,<<갑오개혁청일전쟁 100년>>, p.18~56
조정규, 1999, <갑오개혁의 개혁내용과 주체 세력의 분석>,<<한국동북아논총>>.
김한종 외 다수, 2003, <<고등학교 한국근 · 현대사>>, (주)금성출판사, p.67
국사편찬위원회, 2007, <<국사 교사용지도서>>, 교육인적자원부.
추천자료
한국 근현대사
한국 근현대사의 이해
한국 근현대사의 역사성격과 정치폭력
한국의 근현대사 (서양 문물의 수용과 변화)
한국 근현대사
한국 현대사에 가장 영향력 있던 인물 - 박정희
[정치발전][정치문화][정치기능][정당정치][정치생명][한국정치][한국정치개혁]정치발전, 정...
한국 근현대사 인식의 쟁점
[한국 현대사 이해] 할매꽃 감상평
현행『한국 근현대사』교과서 수정 파동과 <교과서 포럼>
『한국 근현대사』 독후감입니다. 제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한국 근현대사를 통해보는 나의 가족사 - 우리 할머니의 잠재워지지 않는 어릴 적 아픈 기억 ...
[한국 근현대사] 박정희 전 대통령(다카키 마사오)의 비 정당성
친일파의 한국 현대사 정운현 독후감 감상문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