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기독교의 믿음과 신앙
1. 기도하며 생각하는 사람이다
2. 어린 아이 같은 믿음을 기진 사람이다
3. 말씀에 입각한 낙관주의를 가진 사람이다
4. 경외심과 감사한 마음이 있는 사람이다
5. 자기를 제어할 줄 아는 사람이다
6. 남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이다
Ⅲ. 기독교의 믿음과 청소년
Ⅳ. 기독교의 믿음과 비전
Ⅴ. 기독교의 믿음과 구원
Ⅵ. 기독교의 믿음과 창조론
Ⅶ. 믿음의 아버지 아브라함
참고문헌
Ⅱ. 기독교의 믿음과 신앙
1. 기도하며 생각하는 사람이다
2. 어린 아이 같은 믿음을 기진 사람이다
3. 말씀에 입각한 낙관주의를 가진 사람이다
4. 경외심과 감사한 마음이 있는 사람이다
5. 자기를 제어할 줄 아는 사람이다
6. 남에게 도움을 주는 사람이다
Ⅲ. 기독교의 믿음과 청소년
Ⅳ. 기독교의 믿음과 비전
Ⅴ. 기독교의 믿음과 구원
Ⅵ. 기독교의 믿음과 창조론
Ⅶ. 믿음의 아버지 아브라함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다\'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히브리어 아브라함은 \'많은 무리의 아버지\'를 의미한다. 전자는 창 11:26-17:4에 나타나며, 후자는 대상 1:27; 느 9:7을 제외한 구약성경의 다른 곳에서 나타난다. 대상 1:27과 느 9:7에는 아브람과 아브라함이 함께 나타난다.
아브람이란 이름은 창 17:5에서 계약의 갱신과 함께 하나님에 의해 \"열국의 아버지\"로 설명되는 아브라함으로 개명되었다(, βραμ, Abraham, 아브라함).
주의 벗(대하 20:7; 사 41:8), 믿음의 사람(창 15:6), 기도의 사람(창 12:8; 창 13:4; 창 20:7, 17), 선지자(창 20:7), 순종의 사람(창 22:1-3; 22:1-18), 비이기적임(창 13:8, 9; 창 21:25-27), 용감함(창 14:13-16). 독립심이 강함(창 14:21-23; 창 23:11-13, 16), 경건함(창 18:19; 창 22:12; 22:3-13; 창 26:5; 느 9:7, 8), 부유함(창 13:2; 창 24:35), 하나님의 방백(창 23:56).
아브라함에게서 시작되는 축복의 결과는 광범위하다: 홍해에서의 이스라엘의 구원은 아브라함의 믿음, 또는 이삭을 희생제물로 기꺼이 바침에서 기인한다(Mek. Exod. 14:15에). 아브라함의 혈통은 영원한 왕국에 있는 처소를 보장한다(Justin Dial. 140). 이삭의 결박을 기초로하여 아브라함은 이스라엘을 위한 중재자로 나타난다(y. Ta\'an. 2:65d). 아브라함의 선택으로 말미암아 스스로를 아브라함의 자손으로 고백하는 모든 자들은 비록 그들의 죄가 많을지 라도 도래할 하나님의 나라에 참예한다고 한다(SB1 마 3:9에 대해).
아브라함은 신약성경에서 73회 나타난다. 신약성경에서 이스라엘의 구원의 역사에 있어서 아브라함의 중요성은 인정하지만 아브라함의 혈통의 어떤 필연적 효력에 대하여는 인정하지 않는다. 아브라함이 이스라엘의 조상이었기 때문에, 예수님이 아브라함의 후예라는 사실은 예수님을 메시야로 선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자신의 백성과 세상을 위한 하나님의 구원 행위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마태복음에서 예수님의 계보는 아브라함으로 시작하고(마 1:2), 그로부터 다윗까지 14대를 나아간다(마 1:17). 이스라엘의 메시야이신 예수님은 다윗의 자손일 뿐만 아니라 아브라함의 자손이기도 하다(마 1:1; 참조: 마 1:21). 누가는 아브라함을 단지 예수님의 계보의 한 일원으로 언급하고 그 계보는 아담에게까지 이른다(눅 3:34).
참고문헌
- 기독교문사편찬위원회(1996), 기독교대백과사전 제16권, 서울 기독교문사
- 박형룡(1974), 교의신학:구원론, 서울 은성문화사
- 오토베츠(1992), 신약성서해석의 열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이한수(1996), 바울신학연구, 서울 총신대학 출판부
- 전경연 외(1986), 신약성서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C.H.패터슨(1994), 중세 철학 입문, 이문출판사
- F.코플스톤(1988), 중세철학사, 서광사
아브람이란 이름은 창 17:5에서 계약의 갱신과 함께 하나님에 의해 \"열국의 아버지\"로 설명되는 아브라함으로 개명되었다(, βραμ, Abraham, 아브라함).
주의 벗(대하 20:7; 사 41:8), 믿음의 사람(창 15:6), 기도의 사람(창 12:8; 창 13:4; 창 20:7, 17), 선지자(창 20:7), 순종의 사람(창 22:1-3; 22:1-18), 비이기적임(창 13:8, 9; 창 21:25-27), 용감함(창 14:13-16). 독립심이 강함(창 14:21-23; 창 23:11-13, 16), 경건함(창 18:19; 창 22:12; 22:3-13; 창 26:5; 느 9:7, 8), 부유함(창 13:2; 창 24:35), 하나님의 방백(창 23:56).
아브라함에게서 시작되는 축복의 결과는 광범위하다: 홍해에서의 이스라엘의 구원은 아브라함의 믿음, 또는 이삭을 희생제물로 기꺼이 바침에서 기인한다(Mek. Exod. 14:15에). 아브라함의 혈통은 영원한 왕국에 있는 처소를 보장한다(Justin Dial. 140). 이삭의 결박을 기초로하여 아브라함은 이스라엘을 위한 중재자로 나타난다(y. Ta\'an. 2:65d). 아브라함의 선택으로 말미암아 스스로를 아브라함의 자손으로 고백하는 모든 자들은 비록 그들의 죄가 많을지 라도 도래할 하나님의 나라에 참예한다고 한다(SB1 마 3:9에 대해).
아브라함은 신약성경에서 73회 나타난다. 신약성경에서 이스라엘의 구원의 역사에 있어서 아브라함의 중요성은 인정하지만 아브라함의 혈통의 어떤 필연적 효력에 대하여는 인정하지 않는다. 아브라함이 이스라엘의 조상이었기 때문에, 예수님이 아브라함의 후예라는 사실은 예수님을 메시야로 선포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자신의 백성과 세상을 위한 하나님의 구원 행위의 연속성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마태복음에서 예수님의 계보는 아브라함으로 시작하고(마 1:2), 그로부터 다윗까지 14대를 나아간다(마 1:17). 이스라엘의 메시야이신 예수님은 다윗의 자손일 뿐만 아니라 아브라함의 자손이기도 하다(마 1:1; 참조: 마 1:21). 누가는 아브라함을 단지 예수님의 계보의 한 일원으로 언급하고 그 계보는 아담에게까지 이른다(눅 3:34).
참고문헌
- 기독교문사편찬위원회(1996), 기독교대백과사전 제16권, 서울 기독교문사
- 박형룡(1974), 교의신학:구원론, 서울 은성문화사
- 오토베츠(1992), 신약성서해석의 열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이한수(1996), 바울신학연구, 서울 총신대학 출판부
- 전경연 외(1986), 신약성서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 C.H.패터슨(1994), 중세 철학 입문, 이문출판사
- F.코플스톤(1988), 중세철학사, 서광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