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한글사랑의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과 의의,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한글사랑의 시사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우수성

Ⅲ.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의의

Ⅳ. 한글(우리글, 우리말)의 맞춤법

Ⅴ.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초

Ⅵ.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현황

Ⅶ.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실천 사례

Ⅷ. 한글(우리글, 우리말)사랑의 시사점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의 경제를 살리고 우리의 어휘를 두 배 이상으로 풍부하게 만들어 우리 모두를 세계의 문화 국민으로 만들어 줄 것 같은가? 천만의 말씀이다. 한국어와 영어의 싸움이 벌어질 것이고, 이는 계급 간 갈등, 도-농 간 갈등, 세대간 갈등으로 표출될 것이다. 친미주의자와 민족주의자의 싸움이 일어날 것이고, 여기에 중국에 종주권을 돌려주고 싶은 한자 세력이 가세할 것이다. 싸움은 삼파전이 되고 구한말을 연상케 하는 정치적, 문화적, 사회적 갈등이 벌어질 것이다. 세월이 지나면서―지금의 추세가 그대로 지속된다면―결국 영어 세력이 승리를 거둘 것이고, 한국어는 예전에 ‘언문’이 그랬듯이 ‘토속어’로서 농촌, 여자, 어린이, 하층 계급들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가 될 것이다. 중산층 이상, 남자, 도시 주민, 젊은 세대들은 영어를 주로 사용할 것이고, 이들과 한글 사용자와의 갈등은 지금의 지역 갈등 못지 않은 갈등으로 한국을 몰아넣을 것이다. 그러다 몇 백년 지나면 한국어는 사라지고 한국식으로 변형된 영어가 우리 후손들의 국어가 될 것이다.
Ⅸ. 결론
과학과 문화의 발전은 사회의 발전과 떨어질 수 없거니와 그것은 또한 말과 글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다. 글자는 언어와 함께 과학과 문화의 발전에 뿐만 아니라 대중으로 하여금 의식성, 자주성, 창조성을 구유한 사회적 존재로 되게 하는 데서 남다른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기의 민족 글자가 있다는 높은 민족적 긍지와 자부심과는 배치되게, 우리 글에 실지 언어 생활에 불필요한 한자를 섞어 쓰자는 한문자 혼용 주장은〈훈민정음〉창제의 근본적 동기에 어긋나는 일로서 제창할 바가 못 된다. 한글은 글자 수가 많지 않고 글자의 형태도 간단하여 배우기도 쉽고 쓰기도 편리할 뿐만 아니라, 아무리 복잡한 말소리라도 막힘이 없이 마음대로 적어 내려갈 수 있는 완벽한 표음 문자이고, 음성 역할이 아주 큰, 여느 문자와는 달리 정연하면서도 음운 체계가 과학적으로 짜여 있는 우수한 글자이다.
소리를 들으면 뜻을 알 수 있는 낱소리글자인 우리 글에, 구태여 획이 많은 뜻글자 한자를 혼용해서 뭘 하겠는가. 그건 말 바른 대로 우리 글말의 발생 발전 및 그 특성을 기본으로 하지 않은 짓이다. 한자 겸용 이론을 전개하는 것은 부당한 일로서, 단아한 조선 저고리에 옆이 째진 기포와 같은 중국 옷을 받쳐 입는 것 같은 꼴불견이 아니겠는가?
민족의 정기를 흐리우고 글말에 대한 인식을 흐리게 하는 이런 국한문 혼용 주장은 우리들에게 진한 감동을 주기는커녕 심한 거리감을 주고 있다. 우리 글을 갈닦고 바로 키워 나가는 데 걸림돌이 될 뿐이며, 생명과 같은 우리 글을 흐리게 만들고 우리의 앞날을 이끌고 갈 학생들에게도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바, 이것은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낡은 수구적 사고 방식으로 우리 글말을 다듬는 바른 길을 걷지 않고 한글의 순화를 반대하는 것은, 우리의 말글의 꽃이 곱게 핀 말글살이 꽃밭을 쑥밭으로 만들고, 우리 민족의 역사를 떠받치고 있는 가장 크고 가장 소중한 문화의 하얀 기둥에 되는 대로 낙서하는 어지러움을 낳게 된다. 우리 민족의 생각과 마음을 담은 하얀 이팝이 담긴 꽃 그릇에 보기 싫게 생수수쌀을 얹어 놓은 것과 같아, 우리의 민족혼을 일깨우고 우리의 뿌리를 찾는 데도 불리한 것이다.
참고문헌
김미경,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한글, 자우출판사, 2006
김정수, 한글의 역사와 미래, 열화당, 1990
원광호, 이것이 한글이다, 한글바른말 연구원
염종률, 훈민정음에 대하여, 한국문화사, 1982
이익섭, 국어학개설, 학연사, 2006
이익섭이상억채완, 한국의 언어, 신구문화사, 1997
정광, 훈민정음의 사람들, 제이앤씨, 2006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3.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58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