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며
어떤 조명은 우리를 불안하게 만들거나 무섭게 하기도 한다.
분위기를 조성하는 조명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조명의 기능
1) low key : 이 조명 기법은 하이키 조명보다 적은 광량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falloff를 빠르게 하는 기법이며, 배경과 장면의 일부를 완전히 어둡게 처리한다. 중세의 감옥, 잠수함 내부, 동굴 속, 야경과 같은 장면
2) high key : 하이키 조명이나 로키 조명은 key light라고 하는 주광원의 위치나 조도와는 관계가 없다. 이 조명은 key light 가 하이앵글로 비추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밝고 falloff를 느리게 하는 조명기법을 말한다.
하이 앵글 조명과 로 앵글 조명
1) 하이앵글 조명과 로 앵글 조명은 기 라이트의 높이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자연스런 조명은 대개 피사체 보다 높은 위치에서 비추어 표면 그림자가 돌출 부위의 아래쪽에 나타나게 한다. 이러한 정상적인 조명은 키 라이트를 사람의 눈높이 혹은 물체의 중간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서 비추는 것이다.
2) 로 앵글 조명은 그림자를 반전시켜 비정상적인 그림자를 만든다.
암시조명
암시조명이라는 것은 앞으로 스토리가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조명기법이다. 하이키에서 로키로 하이앵글에서 로 앵글로 조명을 변화시키는 것은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지 암시하는 효과가 있다.
극적인 요소로서의 광원이나 조명기구의 사용
우리는 광원 그 자체를 극적인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역서 극적인 요소 라고 하는 것은 조명이 한 장면 내에서 미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ㅇ 것이다.
질주하는 경찰차의 경광등, 록 콘서트에서의 강력한 빔 조명, 포로수용소에서 비추는 서치라이트, 깜빡이는 모텔간판 등과 같은 것이 있다.
조명의 입사 방향에 의한 분류
1) 평면의 조명 배치
(1) 정면광 : 카메라 뒤쪽에서 피사체를 향하여 정면으로 비추는 광선이다.
(2) 사광 : 카메라 좌우측에서 피사체를 향해 45도 각도에서 비추는 광선으로 입체감, 질감 등이 좋게 표현되는 광선이다.
(3) 측면광 :카메라 좌. 우측에서 90도 정도로 피사체를 향해 비추는 강한 콘트라스트를 유발시키기도 하지만, 표면의 질감을 나타내는데 효과적이다. 불안, 불쾌한 감정을 나타낸다.
(4) 반역광 : 피사체 뒤쪽에서 좌우 45도로 비추는 빛으로 입체감 깊이감 등이 잘 처리된다
(5) 역광 : 피사체 뒤쪽에서 비추는 광선이라 윤곽이 선명해 보이고 강렬하다. 리어 라이트라고도 한다.
2) 높이의 조명배치
1. 플레인 조명 : 피사체의 경사, 전방 카메라 방향을 중심으로 45도 정도의 각도에서 비추는 빛이다
2. 톱 조명 : 피사체의 맨 위에서 비추는 빛이다.
3. 아이레벨 조명 : 카메라 방향과 거의 같은 각도
4. 언더 조명 : 카메라 방향과 같은 각도의 밑 부분에서 피사체를 비추는 빛이다. 황당하고 공포스러운 감정을 둔다.
5. 리어조명 :
조명의 용도에 따른 분류
1. 키라이트는 주광원이다. 키라이트는 한 물체나 한 장면의 기복적인 형태를 나태난다.
2. 백라이트는 피사체의 배경과 분리시켜 두드러지게 한다.
3. 필라이트는 falloff를 조절한다
4. 사이드 라이트
5. 키커 라이트는 피사체의 뒤쪽 측면에서 비추어 준다. 키커 라이트는 백 라이트의 일종으로 백라이트가 나타낼 수 없는 아래쪽으로부터 피사체의 윤곽을 표현해준다.
1. 표준 조명 기법
표준 조명 기법은 사진조명기법이라고도 하는데, 키라이트, 필라이트 백라이트 등을 삼각형으로 배치하는 조명기법이다. 이때 백라이트를 카메라의 반대편, 피사체의 바로 뒤쪽에 두고 키 라이트와 필라이트를 측면 앞에 위치시킨다. 그래서 이 표준 조명 기법을 삼각 조명 기법이라고도 한다.
2. 명암대비 조명
명암대비 조명이랑 falloff가 빠르고 명암비가 큰 조명을 말하는데 이 조명방식의 기본적인 목적은 공간을 표현하고 물체의 3차원적 특성을 강조하여 그 장면의 이미지를 강렬하게 나타내는 데 있다. 이 조명의 심리적 기능은 주제기능(스토리의 주제를 강조하는 기능) 이다
1) 명암대비 조명의 기능
구조적 기능 : 구조적 기능이란 실체 화면에 나타난 테이블, 전등, 촛불, 태양 등과 같은 광원을 최대한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말한다.
관심유도 기능 : 관심 유도 기능이란, 조명을 사용하여 시청자들의 관심을 화면의 특정 부분에 집중 시킬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공간 구성 기능 : 화면 내에서
주제 기능 : 조명은 화면의 주제와 스토리를 강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감성 기능 : 감성 기능은 주제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명압대비 조명의 감성기능은 화면의 실체 피사체와는 관계없이 우리의 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대게 주제 기능과 감성기능의 서로 상호 보완작용을 한다.
특수 명암대비 조명방식
램브랜트 조명방식과 카메오 조명방식은 명암대비 조명방식이 가장 독특하다
램브란트 조명 방식 : 램브랜트 조명방식의 특징은 선택 조명에 있다.
카메오 조명 방식 : 카메오 조명방식은 극단적은 명암대비 조명방식이다. 이 조명방식은 밝은 피사체와 어두운 배경과 뚜렷이 구분되는 카메오 스톤의 조명 방식을 그대로 모방하여 전경의 인물에만 조명을 준다
평면 조명
평면 조명은 명암배비 조명방식과 정반대의 조명방식이다. 평면 조명에서는 확산 조명을 사용하여 모든 방향에서 빛이 비치는 것 같이 느껴진다. 따라서 FALLOFF가 느리고 표면 그림자와 표면 그림자를 거의 느낄 수 없다 평면 조명의 심리적 기능은 감성기능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강조하는 기능)이다
평면 조명의 기능
가시성 : 평면 조명은 하이키로 처리하여 보기가 쉬우며 짙은 그림자로 화면의 디테일을 의도적으로 나타내지 않은..
주제 기능과 감성기능
평면 조명은 능력, 청결, 진실, 행복감, 즐거움 등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뉴스 세트를 평면 조명방식으로 조명하는 것은 뉴스 캐스터의 주름살을 감추기 위해서가 아니라 뉴스의 공정성을 표현하기 위해서다.
평면 조명은 기계화, 몰개성화, 그리고 방향감각 상실 등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역동적인 힘과 즐거움을 표현한다.
실루엣 조명
어떤 조명은 우리를 불안하게 만들거나 무섭게 하기도 한다.
분위기를 조성하는 조명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조명의 기능
1) low key : 이 조명 기법은 하이키 조명보다 적은 광량을 사용하여 선택적으로 falloff를 빠르게 하는 기법이며, 배경과 장면의 일부를 완전히 어둡게 처리한다. 중세의 감옥, 잠수함 내부, 동굴 속, 야경과 같은 장면
2) high key : 하이키 조명이나 로키 조명은 key light라고 하는 주광원의 위치나 조도와는 관계가 없다. 이 조명은 key light 가 하이앵글로 비추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밝고 falloff를 느리게 하는 조명기법을 말한다.
하이 앵글 조명과 로 앵글 조명
1) 하이앵글 조명과 로 앵글 조명은 기 라이트의 높이를 기준으로 구분한다. 자연스런 조명은 대개 피사체 보다 높은 위치에서 비추어 표면 그림자가 돌출 부위의 아래쪽에 나타나게 한다. 이러한 정상적인 조명은 키 라이트를 사람의 눈높이 혹은 물체의 중간 부분보다 높은 위치에서 비추는 것이다.
2) 로 앵글 조명은 그림자를 반전시켜 비정상적인 그림자를 만든다.
암시조명
암시조명이라는 것은 앞으로 스토리가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조명기법이다. 하이키에서 로키로 하이앵글에서 로 앵글로 조명을 변화시키는 것은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지 암시하는 효과가 있다.
극적인 요소로서의 광원이나 조명기구의 사용
우리는 광원 그 자체를 극적인 요소로 사용할 수 있다. 역서 극적인 요소 라고 하는 것은 조명이 한 장면 내에서 미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ㅇ 것이다.
질주하는 경찰차의 경광등, 록 콘서트에서의 강력한 빔 조명, 포로수용소에서 비추는 서치라이트, 깜빡이는 모텔간판 등과 같은 것이 있다.
조명의 입사 방향에 의한 분류
1) 평면의 조명 배치
(1) 정면광 : 카메라 뒤쪽에서 피사체를 향하여 정면으로 비추는 광선이다.
(2) 사광 : 카메라 좌우측에서 피사체를 향해 45도 각도에서 비추는 광선으로 입체감, 질감 등이 좋게 표현되는 광선이다.
(3) 측면광 :카메라 좌. 우측에서 90도 정도로 피사체를 향해 비추는 강한 콘트라스트를 유발시키기도 하지만, 표면의 질감을 나타내는데 효과적이다. 불안, 불쾌한 감정을 나타낸다.
(4) 반역광 : 피사체 뒤쪽에서 좌우 45도로 비추는 빛으로 입체감 깊이감 등이 잘 처리된다
(5) 역광 : 피사체 뒤쪽에서 비추는 광선이라 윤곽이 선명해 보이고 강렬하다. 리어 라이트라고도 한다.
2) 높이의 조명배치
1. 플레인 조명 : 피사체의 경사, 전방 카메라 방향을 중심으로 45도 정도의 각도에서 비추는 빛이다
2. 톱 조명 : 피사체의 맨 위에서 비추는 빛이다.
3. 아이레벨 조명 : 카메라 방향과 거의 같은 각도
4. 언더 조명 : 카메라 방향과 같은 각도의 밑 부분에서 피사체를 비추는 빛이다. 황당하고 공포스러운 감정을 둔다.
5. 리어조명 :
조명의 용도에 따른 분류
1. 키라이트는 주광원이다. 키라이트는 한 물체나 한 장면의 기복적인 형태를 나태난다.
2. 백라이트는 피사체의 배경과 분리시켜 두드러지게 한다.
3. 필라이트는 falloff를 조절한다
4. 사이드 라이트
5. 키커 라이트는 피사체의 뒤쪽 측면에서 비추어 준다. 키커 라이트는 백 라이트의 일종으로 백라이트가 나타낼 수 없는 아래쪽으로부터 피사체의 윤곽을 표현해준다.
1. 표준 조명 기법
표준 조명 기법은 사진조명기법이라고도 하는데, 키라이트, 필라이트 백라이트 등을 삼각형으로 배치하는 조명기법이다. 이때 백라이트를 카메라의 반대편, 피사체의 바로 뒤쪽에 두고 키 라이트와 필라이트를 측면 앞에 위치시킨다. 그래서 이 표준 조명 기법을 삼각 조명 기법이라고도 한다.
2. 명암대비 조명
명암대비 조명이랑 falloff가 빠르고 명암비가 큰 조명을 말하는데 이 조명방식의 기본적인 목적은 공간을 표현하고 물체의 3차원적 특성을 강조하여 그 장면의 이미지를 강렬하게 나타내는 데 있다. 이 조명의 심리적 기능은 주제기능(스토리의 주제를 강조하는 기능) 이다
1) 명암대비 조명의 기능
구조적 기능 : 구조적 기능이란 실체 화면에 나타난 테이블, 전등, 촛불, 태양 등과 같은 광원을 최대한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기능을 말한다.
관심유도 기능 : 관심 유도 기능이란, 조명을 사용하여 시청자들의 관심을 화면의 특정 부분에 집중 시킬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공간 구성 기능 : 화면 내에서
주제 기능 : 조명은 화면의 주제와 스토리를 강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감성 기능 : 감성 기능은 주제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명압대비 조명의 감성기능은 화면의 실체 피사체와는 관계없이 우리의 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대게 주제 기능과 감성기능의 서로 상호 보완작용을 한다.
특수 명암대비 조명방식
램브랜트 조명방식과 카메오 조명방식은 명암대비 조명방식이 가장 독특하다
램브란트 조명 방식 : 램브랜트 조명방식의 특징은 선택 조명에 있다.
카메오 조명 방식 : 카메오 조명방식은 극단적은 명암대비 조명방식이다. 이 조명방식은 밝은 피사체와 어두운 배경과 뚜렷이 구분되는 카메오 스톤의 조명 방식을 그대로 모방하여 전경의 인물에만 조명을 준다
평면 조명
평면 조명은 명암배비 조명방식과 정반대의 조명방식이다. 평면 조명에서는 확산 조명을 사용하여 모든 방향에서 빛이 비치는 것 같이 느껴진다. 따라서 FALLOFF가 느리고 표면 그림자와 표면 그림자를 거의 느낄 수 없다 평면 조명의 심리적 기능은 감성기능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강조하는 기능)이다
평면 조명의 기능
가시성 : 평면 조명은 하이키로 처리하여 보기가 쉬우며 짙은 그림자로 화면의 디테일을 의도적으로 나타내지 않은..
주제 기능과 감성기능
평면 조명은 능력, 청결, 진실, 행복감, 즐거움 등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뉴스 세트를 평면 조명방식으로 조명하는 것은 뉴스 캐스터의 주름살을 감추기 위해서가 아니라 뉴스의 공정성을 표현하기 위해서다.
평면 조명은 기계화, 몰개성화, 그리고 방향감각 상실 등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역동적인 힘과 즐거움을 표현한다.
실루엣 조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