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작품 소개
1) 작가, 손톤 와일더 소개
2) 등장인물 소개
3) 구성별 간략 줄거리

3. 작품 분석
1) 『우리읍내』를 통한 작가분석
2) 『우리읍내』구조분석
① 삽화적구조와 일상의 반복
3) 『우리읍내』인물분석
① 시ㆍ공을 초월한 영원성 - 무대감독
② 죽음의 재인식 - 에밀리
4) 『우리읍내』형식분석

4. 맺음말.

본문내용

c staging)과 비사실주의적 연극(nonrealistic staging)에 있다. 사실주의적 연극은 벽을 통해 들여다보는 것처럼, 실제 삶의 연속을 통해서 연극의 내용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인생을 재현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비사실주의적 연극은 ‘연극은 연극’이라는 기초위에 연극을 전개하는 형태를 취한다.
으로 선택한 선택적 사실주의(selecrive realism)와 연극주의(theatricalism)적 기법 시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비사실적인 연극주의 수법을 사용하였다고 보는 논문도 있었음.(참고논문, p.16~17)
의 의미를 살펴보기로 한다.
선택적 사실주의(selecrive realism)는 현실의 환영을 창조하기 위해서 필요한 최적의 요소를 선택하여 표현하는 수정된 현대 사실주의의 연극양식으로서, 지나친 세부묘사로 인하여 본질이 가려지는 사실주의의 맹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중요한 것만을 선택하고 덜 중요한 것은 생략한다는 입장을 가진다. ‘있는 그대로의 삶(life as it is)'의 복사가 아닌 일상에서의 고도로 정제된 선택적 표현이 요구된다. 이러한 선택들은 관객들의 상상력을 자극하여 적극적인 극적 참여를 유발시키는데 기여한다. 연극주의(theatricalism) 연극주의를 극장주의라고 표현한 논문들도 있다.
는 무대는 무대로서 솔직하게 사용되거나 받아들여지는데, 표현하는 느낌의 어떤 약속적인 방법들은 공동의 합의에 의해 허용된다. 연극주의는 무대에서 현실의 환영을 배제하는 한편 연극의 본질을 회복하려는 와일더의 연극관과 일치하는 양식인 것이다. 『우리읍내』에 나타난 연극주의적인 무대기법은 삽화적 구족, 극 중 무대감독 활용, 빈 무대, 중단되는 연기, 마임, 광활한 시공간에서 연기의 위치 등을 들 수 있겠다.
4. 결론
손톤 와일더의 『우리읍내』가 1938년 브로드웨이 헨리 밀러(Henry Miler)극장에서 상연되었을 때, 뉴욕 타임즈를 비롯한 많은 언론과 평론가들은 “현 시대 연극에서 가장 뛰어난 성과중의 하나”라고 격찬하였다. 그 이후 이 작품은 저명한 퓰리쳐상을 수상한 뒤 전 세계에서 하루도 공연되지 않는 날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현대의 고전이 되었고, 최근까지도 프로드웨이, 오프 브로드웨이에서 활발하게 공연되는 등 많은 전문가들과 관객들의 사랑을 받아 오고 있다. 부룩스 앳킨스(Brooks Atkinson)은『우리읍내』를 ‘아름답게 환기시키는 연극’, ‘잊혀지지 않는 아름다움’이라며 극찬하면서, 연기와 상상력과 사색에 있어 현대연극의 형식적인 장벽에서 벗어난 작품이라고 하였다. 또한 코리건 (Robert W. Corrigan)은 의 혁신적인 연극적 기법들이 전 세계의 모든 관객들과 소통을 가능케 했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와일더의 공적은 무엇보다도 우리가 잊고 지냈던 일상과 연극의 본질을 회복하고 무대와 관객의 관계를 새로이 찾아내려는 움직임을 이끌어냈다는 데 있다.
……제 친구한테 정초석에다 뭘 넣었으면 좋겠느냐고 묻더랍니다.……한 천 년쯤 있다 파낸다고 가정하고요.……물론 뉴욕타임지하고 웹 선생이 내는 센티널이야 들어가죠.……성경도 넣고……헌법도 넣고, 또 셰익스피어 전집도 넣고요. 어떻습니까? 어떻게들 생각하십니까? ……그래 저는 이 연극의 대본 한 구너을 정초석에 넣을까 합니다. 천년 후의 사람들이 우리의 평범한 삶을 알도록 말입니다. 전 그게 베르사이유조약이나 린드버그의 대서양 횡단비행보다 더 중요하다고 보거든요. 아시겠죠?『우리읍내(Our Town)』손톤 와일더 작, 오세곤 역, 1999. p. 44 무대감독의 대사 (교본으로 삼은 대본, 페이지, 230~231 원본 희곡과 의미적 차이가 없어 원본을 인용함)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3.02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64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