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본측정 및 액체 및 고체물질의 밀도 측정
introduction ,
실험방법,
실험결과,
discussion
참고자료
introduction ,
실험방법,
실험결과,
discussion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실험제목 기본측정 및 액체 및 고체물질의 밀도 측정
2. 실험일시 2009년 6월 23일 월요일
3. 실험목적 적절한 측량기구를 사용하여 물질의 길이, 질량, 부피,밀도를 측정해 보고, 측정치의 실험차와 유효숫자의 처리에 대해 알아보며, 실험을 통해 직접 유효숫자와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해 본다.
4. 실험원리 1.유효숫자 계산법
1) 덧셈과 뺄셈 : 측정치들을 연산하여 얻은 결과의 유효숫자는 측정치 중 유효숫자의 끝자
리가 가장 큰 자릿수를 가지고 있는 것에 맞춘다.
예) 1.22
120.1
0.954
──────
122.274 → 122.3
2) 곱셈과 나눗셈 : 측정치의 연산 결과의 유효숫자는 가장 유효숫자의 개수가 적은 측정치
의 것에 맞춘다.
예) 1.445 *0.23/1.5369 = 0.2162469 → 0.22
2. 측정기구
아날로그 식과 디지털 식으로 구분
① 아날로그 방식의 측정은 이미 눈금이 매겨져 있는 기구와 측정 대상 물체를 비교하므로써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눈금보다 한 자릿수를 더 어림짐작으로 읽는다. 예를 들어, 0.1 g 의 단위로 눈금이 매겨져 있는 아날로그 저울의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실제 질량을 가리키는 바늘이 2.1 g 과 2.2 g 사이에 놓이게 되며, 그 사이를 눈대중으로 10등분하여 한자리를 더 읽어, 가령 2.14g 으로 기록하여야 한다. 이때 측정한 자릿수 즉 유효숫자는 세자리가 된다. 물론 끝자리의 4는 측정자에 따라 오차를 내포하게 됨
② 디지털방식의 측정은 숫자로 값을 주므로 측정치의 자릿수가 정해진다. 예를 들어 0.1 g 까지 읽을 수 있는 디지털 저울의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실제 질량이 2.14 g 이면, 끝자리 4를 반올림하여 2.1g 으로 저울릐 화면에 나타나므로, 이때 측정된 질량 값은 ± 0.05 g 의 오차의 범위를 갖게 됨
2. SI 단위
1) 기본단위
구분 명칭 기호
길이 미터 M
질량 킬로그램 ㎏
시간 초 s
전류 암페어 A
열역학온도 켈빈 K
물질량 몰 Mol
광도 칸델라 Cd
2) 유도단위
넓이 ㎡
부피 ㎥
밀도 kg/L
3) SI 접두어
giga 109 micro 10-6
mega 106 nano 10-9
kilo 103 milli 10-3
pico 10-12
3. 비중과 밀도의 차이점
1) 밀도: 단위부피당 질량 즉, 두 크기성질(질량과 부피) 의 비를 취하여 물질의 양과 무관한
물질의 고유의 성질 중의 하나가 된 것이다(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온도표기도
해야함)
단위는 g/mL, g/cm3 등
2) 비중 : 물의 밀도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밀도를 나타냄
비중 = 물질의 밀도 (d substance) / 물의 밀도 (d water)
단위는 없음
2. 실험일시 2009년 6월 23일 월요일
3. 실험목적 적절한 측량기구를 사용하여 물질의 길이, 질량, 부피,밀도를 측정해 보고, 측정치의 실험차와 유효숫자의 처리에 대해 알아보며, 실험을 통해 직접 유효숫자와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해 본다.
4. 실험원리 1.유효숫자 계산법
1) 덧셈과 뺄셈 : 측정치들을 연산하여 얻은 결과의 유효숫자는 측정치 중 유효숫자의 끝자
리가 가장 큰 자릿수를 가지고 있는 것에 맞춘다.
예) 1.22
120.1
0.954
──────
122.274 → 122.3
2) 곱셈과 나눗셈 : 측정치의 연산 결과의 유효숫자는 가장 유효숫자의 개수가 적은 측정치
의 것에 맞춘다.
예) 1.445 *0.23/1.5369 = 0.2162469 → 0.22
2. 측정기구
아날로그 식과 디지털 식으로 구분
① 아날로그 방식의 측정은 이미 눈금이 매겨져 있는 기구와 측정 대상 물체를 비교하므로써 양을 측정하는 것으로 눈금보다 한 자릿수를 더 어림짐작으로 읽는다. 예를 들어, 0.1 g 의 단위로 눈금이 매겨져 있는 아날로그 저울의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실제 질량을 가리키는 바늘이 2.1 g 과 2.2 g 사이에 놓이게 되며, 그 사이를 눈대중으로 10등분하여 한자리를 더 읽어, 가령 2.14g 으로 기록하여야 한다. 이때 측정한 자릿수 즉 유효숫자는 세자리가 된다. 물론 끝자리의 4는 측정자에 따라 오차를 내포하게 됨
② 디지털방식의 측정은 숫자로 값을 주므로 측정치의 자릿수가 정해진다. 예를 들어 0.1 g 까지 읽을 수 있는 디지털 저울의 경우,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실제 질량이 2.14 g 이면, 끝자리 4를 반올림하여 2.1g 으로 저울릐 화면에 나타나므로, 이때 측정된 질량 값은 ± 0.05 g 의 오차의 범위를 갖게 됨
2. SI 단위
1) 기본단위
구분 명칭 기호
길이 미터 M
질량 킬로그램 ㎏
시간 초 s
전류 암페어 A
열역학온도 켈빈 K
물질량 몰 Mol
광도 칸델라 Cd
2) 유도단위
넓이 ㎡
부피 ㎥
밀도 kg/L
3) SI 접두어
giga 109 micro 10-6
mega 106 nano 10-9
kilo 103 milli 10-3
pico 10-12
3. 비중과 밀도의 차이점
1) 밀도: 단위부피당 질량 즉, 두 크기성질(질량과 부피) 의 비를 취하여 물질의 양과 무관한
물질의 고유의 성질 중의 하나가 된 것이다(온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온도표기도
해야함)
단위는 g/mL, g/cm3 등
2) 비중 : 물의 밀도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밀도를 나타냄
비중 = 물질의 밀도 (d substance) / 물의 밀도 (d water)
단위는 없음
키워드
추천자료
약품취급(실험시 필요한 기본조작) 정리
음주 측정의 화학적 검사원리 탐구 및 알콜 분석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의 개념,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의 실험목적과 실험도구, 생물학...
[화학공학][화학양론][화학공학양론][화학공학기술자][생물화학공학][화공약품]화학공학 발전...
[과학실험실][안전수칙][응급처치]과학실험실의 안전수칙, 과학실험실의 사고원인, 과학실험...
[실험] 탄산염의 분석 - 탄산염이 염산과 반응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해서 탄산...
[증기압, 증기압 정의, 증기압 측정, 헨리상수, 에탄올실험, 비활성 기체]증기압의 정의, 증...
[화공 기초 실험] 과산화수소의 농도 측정 [예비] : 습식정량분석법 중의 하나인 적정법을 사...
[화공 기초 실험] 과산화수소의 농도 측정 [예비] : 습식 정량분석법 중의 하나인 적정법을 ...
[일반화학 실험] 02- 순수한 물질과 혼합물의 녹는점 ; 녹는점을 측정함으로 물질이 무엇인지...
화학공학 실험 -미지물질 정량 분석
방사선계측실험 (결과) - 다중파고분석기 에너지 교정, 에너지 분해능 측정
[화학공학 기초 실험] 완충용액 실험 : 약산에 강염기를 조금씩 첨가하며 pH를 변화를 측정해...
[화공실험] 유체마찰 손실 및 유량측정 결과 : 교축유량계의 작동 및 측정원리, 유량 측정 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