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안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를 상당부분 줄일 수 있다”고 조언한다.
욕실에서는 항상 물기가 남아있는 바닥이 큰 문제.
물기때문에 넘어지기 쉽다. 욕실바닥은 표면이 거칠게 처리된 타일로 마무리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또 변비에 시달리는 노인들은 변기에 앉아있는 시간이 길기때문에 몸을 일으키는 것도 간단치 않다. 변기 옆 벽에 L자형 손잡이를 설치하면, 몸을 의지할 곳이 생겨 일어서기가 수월해진다. 욕조도 불편하기는 마찬가지. 욕조 부근에도 손잡이를 설치해준다.
■ 출입문에 변화를 준다
우선 단차(문턱)을 과감하게 제거한다.
높낮이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 단차에도 노인들은 발이 걸려서 넘어지기 일쑤다. 방음효과가 있다고 하지만 사실 쓰임새가 명확치 않으므로 단차는 없애는 편이 바람직하다.
문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닫이보다는 미닫이로 바꾼다. 여닫이는 반드시 한 손으로 붙잡고 있어야하는 불편이 따르지만, 미닫이는 자유자재로 출입할 수 있다. 특히 실내에서도 휠체어를 사용해야할 정도로 거동이 불편하다면 미닫이가 편리하다.
위험한 곳은 포인트를 준다.
실내분위기는 밝고 부드럽게 연출될수록 심리적 안정을 취하는데 도움이 된다.
시력이 약해지므로 조명은 밝게 유지하고, 벽지등은 파스텔톤처럼 부드러운 색조로 선택한다. 하지만 바닥이나 벽의 돌출 부분은 걸리거나 부딪치지 않도록 강렬한 원색을 사용해 눈에 띠기 쉽도록 강조해준다. 이때 청색 황색은 피하고 붉은 계통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안에서는 청색이나 황색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높이가 달라진다거나 마감재가 달라지는 곳도 강조해주면 좋다.
■ 소품을 적극 활용한다
매끄러운 바닥재는 청소하기에는 편하다. 하지만 노인들의 활동을 제약하기때문에 매끄러운 바닥재보다는 까끌까끌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은 필수
노인들은 보행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벽이나 난간에의 의존도가 높다. 걸어다닐 때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집안 벽 곳곳에 부착하는 것도 좋다.
침실에 센서등을 달아주는 것도 쓸만한 아이디어다.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해 작동하는 전등은 노인들이 전등스위치를 찾느라 캄캄한 방안에서 헤매다 부상당할 우려를 덜어준다.
가스렌지나 수도를 틀어놓고 깜빡 잊어버리는 경우에 대비, 핫플레이트와 센서가 장착된 수도꼭지를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다.
출처
노인이 살기좋은집만들기
한국일보
http://blog.daum.net/hanriver119
욕실에서는 항상 물기가 남아있는 바닥이 큰 문제.
물기때문에 넘어지기 쉽다. 욕실바닥은 표면이 거칠게 처리된 타일로 마무리함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또 변비에 시달리는 노인들은 변기에 앉아있는 시간이 길기때문에 몸을 일으키는 것도 간단치 않다. 변기 옆 벽에 L자형 손잡이를 설치하면, 몸을 의지할 곳이 생겨 일어서기가 수월해진다. 욕조도 불편하기는 마찬가지. 욕조 부근에도 손잡이를 설치해준다.
■ 출입문에 변화를 준다
우선 단차(문턱)을 과감하게 제거한다.
높낮이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 단차에도 노인들은 발이 걸려서 넘어지기 일쑤다. 방음효과가 있다고 하지만 사실 쓰임새가 명확치 않으므로 단차는 없애는 편이 바람직하다.
문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여닫이보다는 미닫이로 바꾼다. 여닫이는 반드시 한 손으로 붙잡고 있어야하는 불편이 따르지만, 미닫이는 자유자재로 출입할 수 있다. 특히 실내에서도 휠체어를 사용해야할 정도로 거동이 불편하다면 미닫이가 편리하다.
위험한 곳은 포인트를 준다.
실내분위기는 밝고 부드럽게 연출될수록 심리적 안정을 취하는데 도움이 된다.
시력이 약해지므로 조명은 밝게 유지하고, 벽지등은 파스텔톤처럼 부드러운 색조로 선택한다. 하지만 바닥이나 벽의 돌출 부분은 걸리거나 부딪치지 않도록 강렬한 원색을 사용해 눈에 띠기 쉽도록 강조해준다. 이때 청색 황색은 피하고 붉은 계통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안에서는 청색이나 황색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을 겪기 때문이다. 높이가 달라진다거나 마감재가 달라지는 곳도 강조해주면 좋다.
■ 소품을 적극 활용한다
매끄러운 바닥재는 청소하기에는 편하다. 하지만 노인들의 활동을 제약하기때문에 매끄러운 바닥재보다는 까끌까끌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은 필수
노인들은 보행이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에 벽이나 난간에의 의존도가 높다. 걸어다닐 때 붙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집안 벽 곳곳에 부착하는 것도 좋다.
침실에 센서등을 달아주는 것도 쓸만한 아이디어다.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해 작동하는 전등은 노인들이 전등스위치를 찾느라 캄캄한 방안에서 헤매다 부상당할 우려를 덜어준다.
가스렌지나 수도를 틀어놓고 깜빡 잊어버리는 경우에 대비, 핫플레이트와 센서가 장착된 수도꼭지를 설치하는 것도 방법이다.
출처
노인이 살기좋은집만들기
한국일보
http://blog.daum.net/hanriver119
추천자료
어린이의 안전사고 예방 및 관리
화상에 의한 안전사고의 예방 및 대처방안(아동에 관해)
식품안전사고의 현황과 원인
안전사고의 유형과 예방법
아동들의 안전사고 유형과 예방대책
보건교육-초/중/고등학생의 학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보건교육
가정안전사고의 실태
아동의 안전사고에 대한 사례를 조사하고 해결방안 모색
어린이집 안전사고의 문제에 대해 여러분을 생각을 피력하십시오.
영유아 안전사고의 원인과 그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서술
보육시설 안전사고 실태 및 대처법에 대해 논하시오.
어린이 안전사고와 관련한 신문기사를 5개 이상 검색하여 내용을 정리하고 그에 대한 본인의 ...
아동의 다양한 안전사고의 통계치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 적절한 대책은 무엇...
어린이집 안전사고의 실태를 들고 이에 대한 대처법을 3가지 이상 제시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