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줄거리-느낌
본문내용
애틋함이 진정으로 느껴졌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 왠지모를 감동과 섬뜩함을 느꼈던 부분이 두 군데 있다. 하나는 금은보화에 눈이 먼 황제와 신하에게 메피스토펠레스가 남긴 마지막 말인‘행복에는 공로가 따라야 한다는 것을, 바보들은 언제까지나 깨닫지 못하는구나. 현인의 돌을 손에 넣었다고 해도 돌은 있어도 현인은 없을 것이다’라는 것이다. 나의 평소 가치관이 ‘노력하는 자만이 보상받는 세상이 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노력하는 사람이 되자는 것’이기 때문에 이 말이 좀 남달리 느껴졌다. 또 하나는 부분이라기보다는 파우스트 전반에 걸친 ‘순간적인 악마의 유혹에 넘어가는 인간 모습’을 보면서 나 자신이 한없이 부끄럽고 후회가 된다. 매일매일 각종 불순한 유혹들에 종속되어 헤어나오지 못하는 것 같기 때문이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 왠지모를 감동과 섬뜩함을 느꼈던 부분이 두 군데 있다. 하나는 금은보화에 눈이 먼 황제와 신하에게 메피스토펠레스가 남긴 마지막 말인‘행복에는 공로가 따라야 한다는 것을, 바보들은 언제까지나 깨닫지 못하는구나. 현인의 돌을 손에 넣었다고 해도 돌은 있어도 현인은 없을 것이다’라는 것이다. 나의 평소 가치관이 ‘노력하는 자만이 보상받는 세상이 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노력하는 사람이 되자는 것’이기 때문에 이 말이 좀 남달리 느껴졌다. 또 하나는 부분이라기보다는 파우스트 전반에 걸친 ‘순간적인 악마의 유혹에 넘어가는 인간 모습’을 보면서 나 자신이 한없이 부끄럽고 후회가 된다. 매일매일 각종 불순한 유혹들에 종속되어 헤어나오지 못하는 것 같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