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기획 마케팅 전략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주제선정이유

2. (주)S.M. ENTERTAINMENT

3. (주)S.M. ENTERTAINMENT 소속 가수들
1) H.O.T
2) S.E.S
3) SHINHWA
4) BOA

4. Segmentation

5. Targeting

6. Positioning

7. MARKETING MIX (4P)

8. 해외 음반시장 진출 전략
1) 기존사업의 확대 (Licencing and Publish)
2) Global Business

9. 고객 서비스

10. 마케팅 성과

11. 향후 개선 방향

본문내용

우리가 미국과 경쟁할 수 있는 여건이 되는가? 저는 그렇지 못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일단 아시아 시장에 눈을 돌려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세계에서 미국 다음으로 큰 음반 시장이 일본입니다. 우리나라와 대만 , 중국 다 합쳐도 일본 음반 시장의 10%밖에 안되거든요. 따라서 아시아에서의 위상 정립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2)와 동일
이 역시 이수만이 문화토론에서 한 말이다. 이렇듯 SM기획은 자신들의 모든 역략을 일본 시장을 비롯한 아시아에 집중시키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1) 기존사업의 확대 (Licencing and Publish)
국내 음반사업에 비해 낮은 Risk
해외음반 시장 공략을 통한 사업영역 확대
에스엠엔터테인먼트의 해외에서의 Name Value
에스엠엔터테인먼트의 국내 Marketing 능력
※ SM Licencing 현황
회 사 명
회사 내력
계약 사항
(주)AVEX
98년 시장점유율 15.5%
음반 Licensing 및 한국
가수의 아시아권
일본TV-ASAHI MUSIC
일본 공중파 방송국 TV-ASAHI를
모체로 하는 일본 대표 음악출판사
하청 출판 (독점) 및 음반
Licensing 계약
Victor
Entertainment
95년 시장 점유율 6%
음반 Licensing 계약체결
일본음악 개방에 따라 한국 음반 시장 4~8% 증가 예상
개방 후 국내 시장 10~15% 점유예상 (현 일본음악 대만 시장 약 10% 점유)
(자료 : 삼성경제 연구소)
※ 2000년 12장 앨범 매출
회 사 명
2000(E)
비 고
CD 매출액
1,566
Licensing 음반의 경우 MC보다 CD의 매출 비율 높음.
(대우 증권사 추정)
MC 매출액
783
합계
2,349
2) Global Business
9. 고객 서비스
HOME PAGE를 통한 INTERNET MARKETING
SM의 홈페이지(http : // smtown.com)는 회사소개, 회원등록, 소속 가수소개, 펜클럽 관리, 고객의 소리, 자료실, 게시판등 다른 기획사의 홈페이지에서도 볼 수 있는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투자정보(주가 실시간 조회, 주주 구성 및 자본금 변동 내역)와 재무정보(주요 재무제표, 대차 대조표, 손익 계산서, 추정 재무제표, 주요 재무비율 분석)등 주식 상장 기업으로서의 차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공모전
1,200,000,000원
발행주식수 : 2,400,000주 (액면가 500원)
공모후
1,500,000,000원
발행주식수 : 3,000,000주 (액면가 500원)
주당 공모가액(예정) : 6,000원 (액면가 500원)
총 공모금액 (예정) : 36억원
10. 마케팅 성과
SM은 음반 엔터테인 업계에 독보적이고 전설적인 성공신화를 이룩하였다. 이전까지와의 기획사의 개념을 뛰어넘어, 단순한 음반 기획과 가수 메니지 먼트가 아닌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사업분야를 개척한 것이다. 오늘날 수많은 음반 기획사들이 SM의 마케팅 전략을 모방하고 있지만 그 어느곳도 SM이 이룩해논 이미지를 따라갈 수 는 없었다. 사람들은 달나라에 처음간 암스트롱은 기억 하지만 그 이후의 더욱 발전된 우주 개발은 기억하지 못 하듯이 '마케팅 선도자의 법칙'에 따라 최초의 사업 개척자인 SM만을 기억하고 그것이 가장 좋은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아무리 유명한 가수라도 그 가수의 소속 기획사가 어디이며 어떠한 기획을 통해 우리 앞에 나타나는지 잘 알지 못한다. 하지만 SM소속 가수들은 누가 있으며 그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태어났는지 훤히 알고 있다. 또한 SM사단의 소속 가수라 하면 일단 기대감과 호기심, 그리고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SM의 음반시장 점유율은 가희 독보적이라 하겠다. 이렇듯 고객들의 의식속에 SM이라는 이미지를 심어준 것은 커다란 마케팅 성과라 하겠다.
※ 음반기획사 국내 시장 점유율
(단위 : 백만원, %)
구 분
SM엔터
테인먼트
신나라
뮤직
도레미
미디어
예당엔터
테인먼트
대영A
서울음반
기타
총 계
제 품
매출액
61,190
15,716
14,740
5,503
9,043
12,905
64,473
183,570
점유율
(%)
30
8.56
8.03
3
4.93
7.03
38.46
100
11. 향후 개선 방향
ROYAL CUSTOMER들은 SM자체가 아닌 그들의 상품(소속가수)들을 보고 열광, 지지하며 또한 소비하는 계층이므로 기업자체에 대한 충성도는 대부분의 경우 없다고 할 수 있다.(위의 SM자체에 대한 이미지 개념과는 차이가 있음.) 최근에 불거져 나온 H.O.T. 해체설, 소속사와의 불화설로 인해 펜들이 항의하는 모습은 SM이 내부고객(소속가수)들에 대한 관리와 대우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SM자체에 대한 신뢰도는 추락하고 결국에는 고객들에게 외면 당하는 현상이 벌어질 것이다. 따라서 내부고객(소속가수)과의 관계 유지, 처우 개선 등은 맹목적인 열광을 보이는 10대들 위주의 연예사업 특수성 때문에 매우 중요한 마케팅 관리가 될 수 있다.
SM의 가장 큰 무기인 철저한 기획에 의한 가수들의 상품화가 오히려 다수의 (비 10대층) 비판을 받고 있는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들은 SM이 너무 상업성만을 중시해 아직 가치 정체성이 확립되지 않은 10대 들을 사회 전면에 내놓아 사회적으로 (특히 청소년들에게)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인한 10대 주류의 음반 판매 시장이 독점의 폐해인 공멸의 상황에 빠질 수 도 있다고 경고한다. 따라서 현재까지의 마케팅 전략과 더불어 여러 세대의 대중들이 모두 공감할 수 있고 참여할 수 있는 장르의 음반제작과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참 고 자 료
(주)S.M. ENTERTAINMENT
한국영상음반협회
삼성경제연구소
중앙일보
Ad Power Index
Ad Power korea
communications Research & Consulting 발간
(주)S.M. ENTERTAINMENT HomePage ( http://www.smtown.com )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2.10.22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76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