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화산지형의 종류♡
①용암대지
②기생화산
③이중화산
④칼데라호
⑤화구호
⑥온천
♡참고문헌♡
①용암대지
②기생화산
③이중화산
④칼데라호
⑤화구호
⑥온천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도 250m에서 300m 사이에 약 45만평의 넓은 삼각형 모양으로 펼쳐진 나리분지는 동남부와 서남부가 500m 안팎의 절벽에 둘러싸여 있으며, 천부리와 추산리 등 북쪽 해안쪽으로는 비고 (比高) 200m 이하의 비교적 낮은 산지로 막혀 있다.
④ 칼데라 호
칼데라호는 화산체가 형성된 뒤 대폭발이나 화산의 중심부분이 함몰되어 2차적으로 더 큰 와지가 된 뒤에 물이 고여서 된 호수다. 형태는 원형, 타원형이 대부분이고, 때에 따라서는 중앙 화구구의 분출 때문에 구옥상으로 되는것과 화산도를 갖는 환상의 것도 있다. 호안이 급사면이고 호저가 평탄한 것은 화구호와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수심이 더 깊다. 수심 100미터 이상의 화산성 호수는 칼데라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칼데라호 형성과정. 칼데라호는 화산폭발후 화산 중심부가 함몰하여 와지 형태의 지형에 물이 고여 형성된 호수를 말한다. 우리 나라의 백두산 천지못이 대표적인 칼데라호에 속한다.
⑤ 화구호
화산의 분화구에 물이 괸 호소를 말하며 백두산 천지 또는 한라산의 백록담이 대표적이다. 형태는 단순하며 원형에 가깝고 소형의 것이 많다.
지반이 안정된 한국에는 한라산의 백록담 외에는 한라산의 기생화산에 소규모의 화
구호가 몇 개 있을 뿐이다. 형태는 단순한데, 원형에 가깝고 소형의 것이 많다. 호안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중앙부는 평탄한 호저를 이루고, 면적에 비하여 심도가 크다. 영양염류가 적은 빈영양호가 보통이고, 백두산의 천지는 온천과 분기의 영향으로 강한 산성이거나 다량의 염분을 포함하는 곳도 있다.
백두산 천지
⑥ 온천
"온천"이 지구 내 땅속에서 어떻게 생성되어 솟아올라 오는지, 최근의 조사 연구에 의하면 온천의 대부분이 눈과 비가 땅속으로 스며들어 몇 년 후에 온도 성분 등이 함유되어 다시 지상으로 나온 「순환수」인 것이 밝혀졌다. 온천은 「화산성 온천」과「비화산성 온천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비화산성 온천은 「심층 지하수형과「화석 해수형」 등으로 분류한다. 지표에 내린 눈,비가 어떻게 해 온천이 되는지, 생성의 메카니즘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 보자.
-화산성 온천-화산 지대에서는 땅밑 수㎞~10수㎞의 부분에, 심부로부터 상승해 온 마그마가 마그마 굄을 만들어 1000℃이상의 고온이 되어 있다. 지표에 내린 눈,비의 일부는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가 된다. 이 지하수가 마그마 굄의 열로 따뜻하게 할 수 있어 단층등의 지하 구조나 인공적인 볼링등에 의해 지표로 솟아 오른 것이 화산성 온천이다. 마그마의 가스 성분이나 열수용액 등이 혼입하거나 유동 중에 암석의 성분 등이 용해되어 온천의 여러 가지 수질이 형성된다고 생각된다.
-비화산성 온천-심층 지하수형-지하에서는, 심도가 깊어질수록 지온이 상승해, 일반적으로 100 m 마다 온도가 약 3℃ 상승한다고 한다. 이것을 지하증온율이라고 부르고 있다. 예를 들면, 지표의 온도가 15℃로 가정하면 지하증온율에 의해 일반적으로는 지하 1000 m의 지온은 45℃, 1500 m에서는 60℃이 됩니다. 또 마그마가 차가워진 고온암대로 불리는 고온의암석이 지하에 있는 케이스가 있다. 빗물의 일부가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가 되어 고온암대나 지하증온율에 의한 지열로 온천수가 된 것이 비화산성 온천의 심층 지하수형이다. 온천이 용출 하는 형태나 수질은, 화산성 온천과 같다.
-비화산성 온천-화석 해수형-태고의 지각변동 등으로 묵은 해수가 땅속에 갇혀진 경우가 있다. 이것을 화석 해수라고 부르고 있다. 화산이나 고온암대가 없는 지역에서, 화석 해수가 지표로부터 수백 미터에 있는 경우에는, 지하증온율로 그만큼 고온으로 되지 않는다. 수온이 25℃이상이면 화석 해수는 염분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온천법으로 규정한 온천에 해당된다. 또 바다에 가까운 지역에 있어서는, 현재의 해수나 지하수가 화석 해수에 혼입해 있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
● http://ssrr.new21.net/frame.htm, 2007년 5월 20일 검색
● http://kr.blog.yahoo.com/odk56/103, 2007년 5월 20일 검색
● http://myhome.hanafos.com/%7Ekym3/reference/spa%20creation..htm, 2007년 5월 21일 검색
● http://user.postown.net/kiyoje/fhasan.htm, 2007년 5월 21일 검색
● 성연욱ㆍ박정일ㆍ구자옥ㆍ이기영, 『하이탑 지구과학Ⅰ』, 두산동아, 2006
④ 칼데라 호
칼데라호는 화산체가 형성된 뒤 대폭발이나 화산의 중심부분이 함몰되어 2차적으로 더 큰 와지가 된 뒤에 물이 고여서 된 호수다. 형태는 원형, 타원형이 대부분이고, 때에 따라서는 중앙 화구구의 분출 때문에 구옥상으로 되는것과 화산도를 갖는 환상의 것도 있다. 호안이 급사면이고 호저가 평탄한 것은 화구호와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수심이 더 깊다. 수심 100미터 이상의 화산성 호수는 칼데라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칼데라호 형성과정. 칼데라호는 화산폭발후 화산 중심부가 함몰하여 와지 형태의 지형에 물이 고여 형성된 호수를 말한다. 우리 나라의 백두산 천지못이 대표적인 칼데라호에 속한다.
⑤ 화구호
화산의 분화구에 물이 괸 호소를 말하며 백두산 천지 또는 한라산의 백록담이 대표적이다. 형태는 단순하며 원형에 가깝고 소형의 것이 많다.
지반이 안정된 한국에는 한라산의 백록담 외에는 한라산의 기생화산에 소규모의 화
구호가 몇 개 있을 뿐이다. 형태는 단순한데, 원형에 가깝고 소형의 것이 많다. 호안은 급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중앙부는 평탄한 호저를 이루고, 면적에 비하여 심도가 크다. 영양염류가 적은 빈영양호가 보통이고, 백두산의 천지는 온천과 분기의 영향으로 강한 산성이거나 다량의 염분을 포함하는 곳도 있다.
백두산 천지
⑥ 온천
"온천"이 지구 내 땅속에서 어떻게 생성되어 솟아올라 오는지, 최근의 조사 연구에 의하면 온천의 대부분이 눈과 비가 땅속으로 스며들어 몇 년 후에 온도 성분 등이 함유되어 다시 지상으로 나온 「순환수」인 것이 밝혀졌다. 온천은 「화산성 온천」과「비화산성 온천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비화산성 온천은 「심층 지하수형과「화석 해수형」 등으로 분류한다. 지표에 내린 눈,비가 어떻게 해 온천이 되는지, 생성의 메카니즘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 보자.
-화산성 온천-화산 지대에서는 땅밑 수㎞~10수㎞의 부분에, 심부로부터 상승해 온 마그마가 마그마 굄을 만들어 1000℃이상의 고온이 되어 있다. 지표에 내린 눈,비의 일부는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가 된다. 이 지하수가 마그마 굄의 열로 따뜻하게 할 수 있어 단층등의 지하 구조나 인공적인 볼링등에 의해 지표로 솟아 오른 것이 화산성 온천이다. 마그마의 가스 성분이나 열수용액 등이 혼입하거나 유동 중에 암석의 성분 등이 용해되어 온천의 여러 가지 수질이 형성된다고 생각된다.
-비화산성 온천-심층 지하수형-지하에서는, 심도가 깊어질수록 지온이 상승해, 일반적으로 100 m 마다 온도가 약 3℃ 상승한다고 한다. 이것을 지하증온율이라고 부르고 있다. 예를 들면, 지표의 온도가 15℃로 가정하면 지하증온율에 의해 일반적으로는 지하 1000 m의 지온은 45℃, 1500 m에서는 60℃이 됩니다. 또 마그마가 차가워진 고온암대로 불리는 고온의암석이 지하에 있는 케이스가 있다. 빗물의 일부가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가 되어 고온암대나 지하증온율에 의한 지열로 온천수가 된 것이 비화산성 온천의 심층 지하수형이다. 온천이 용출 하는 형태나 수질은, 화산성 온천과 같다.
-비화산성 온천-화석 해수형-태고의 지각변동 등으로 묵은 해수가 땅속에 갇혀진 경우가 있다. 이것을 화석 해수라고 부르고 있다. 화산이나 고온암대가 없는 지역에서, 화석 해수가 지표로부터 수백 미터에 있는 경우에는, 지하증온율로 그만큼 고온으로 되지 않는다. 수온이 25℃이상이면 화석 해수는 염분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으므로, 온천법으로 규정한 온천에 해당된다. 또 바다에 가까운 지역에 있어서는, 현재의 해수나 지하수가 화석 해수에 혼입해 있는 경우도 있다.
♡참고문헌♡
● http://ssrr.new21.net/frame.htm, 2007년 5월 20일 검색
● http://kr.blog.yahoo.com/odk56/103, 2007년 5월 20일 검색
● http://myhome.hanafos.com/%7Ekym3/reference/spa%20creation..htm, 2007년 5월 21일 검색
● http://user.postown.net/kiyoje/fhasan.htm, 2007년 5월 21일 검색
● 성연욱ㆍ박정일ㆍ구자옥ㆍ이기영, 『하이탑 지구과학Ⅰ』, 두산동아, 2006
추천자료
관광산업
판구조론
문화와 자연환경
[과외]중학 사회 1-1학기 중간 03 남부지방의 생활
[과외]1-03 남부 지방의 생활 01
[과외]중학 과학 1-1학기 중간 예상문제 05
터키에 대해서
해남에 대해서
일본의 식생활과 음식문화
[지구와 우주] 판구조론(Plate Tectonics)
제주 삼다수 마케팅 전략/자사분석/삼다수의 역사/경영목표와 윤리경영/생수의 정의/국내생수...
일본의 목욕과 온천
일본의 목욕과 온천 - 일본 목욕 문화의 발달 원인, 일본인에게 목욕의 의미, 일본목욕과 온...
필리핀 정수기시장해외시장조사론 필리핀필리핀정수기정수기 해외미케팅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