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아 에너지 소모가 많이 됩니다....하지만 지금은 제가 심하다 싶을 땐 컨트롤을 할 수 있어서 그리 걱정은 안 합니다......이 정도....제가 컨트롤할 수 있을 정도면 다 치료가 된셈이져.......^^
그래도 힘들면 제게 힘이 되는 성경구절을 계속 암송합니다.....(참고로 로마서 8장 6절 이하)
그러면 맘이 편해지져.......그리고 감사한 것은 이 카페에 어제 가입해서 제가 강박증이란 걸(그렇게 고통받았음에도) 첨 알았다는거져.....
그리구 알구나니 더 잘 이겨낼수있을것 같고....맘이 더 편해졌다는 것입니다....정말 좋습니다.......^^
여러분 정말 힘내시구여......좋은 소식 기다릴께여..........
꼭 이기실 수 있을거예여.........화이팅..............^^
(2) 사례 # 2. 인터넷을 통한 상담
-고통 상담-
저의 하루 일과에 맞추어 함 말씀드리겠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저는 늘 머리를 빗습니다..근데 빗고나선 왠지 옷에 비듬이나 먼지가 떨어질 것 같아 탁탁 털며 나옵니다..참고로 전 비듬이 없습니다..그래도 왠지 찝찝해서...ㅠㅠ
그리고 침대 이불을 아주 반듯하게 접어서 올려둡니다..
또한 아침에 세수하고 나서 화장하기 전에 다른 물건은 손도 안됩니다.
먼지가 손에 묻을 것 같아서여...블록을 걸을 때 맨홀있져....그거 밟으면 왠지 재수가 없을 것 같아서 절대 안밟구여..
재가 아이들을 가르치는 데여..전 사마귀를 무지 싫어하거덩여...
사마귀있는애들 손 만지면 바로 비누로 씻구여..ㅠㅠ
비둘기한마리에 3천마리 벼룩이 있다는 얘기들은 후부터는 비둘기근처엔 얼씬도 안 합니다.....
잠자리에 들 때는 침대 위를 손으로 탁탁 털어 냅니다..왠지 먼지가 많을 것 같아서요....말하기 뭐하지만 화장실 결벽증도 있구여..
저 어떡하죠? 그러구보니 심한 것 같네여..........
여러분들의 판단 부탁드립니다.....그럼..존 하루 되세여....
-답변-
깨끗한 느낌이란 정말 좋지요*^^
무엇을 하든 기분두 좋구요 하지만.. 곧 그 무엇인가를 하면서 무엇이든 손으로 만져야 하고.. 잠시후에 이런 기분은 사라져 버리고 다시 깨끗해져야 하니깐(물론 먼지로 부터두 벗어나야 하구요) 기분이 불쾌해지기 시작하지요.. 그래서 씻든지 털든지 다시 반복하게 되구요..
님의 마음 110%이해 합니다. 저두 이와 비슷하니까요.
하지만 이런 강박행동 때문에 우리 자신들에게 일상 생활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면에서 손해가 너무 크지 않은가요? 저는 그렇거든요..
저는 김선인님의 책에 나오는 '존재하지 않는 길'이라는 소설을 읽고 저 자신에 대해 다시 돌아보는 좋은 기회를 얻었습니다. 우리가 하는 행동들이 '존재하지 않는 길' 이라는 것을 새삼 확인하였으나 그래두 아직은 예전처럼 고통스러울 정도는 아닐지라두 완전히 청결 행동들을 멈추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청결 강박증은 스스로 조금씩이라도 강도를 줄여가며 노력한다면 금새 좋아질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저 역시 저 이름대루 Improving하구 있구요~~
님두 이름처럼 청결 생각에 고통받지 않구 항상 푸르게
사셨으면 좋겠습니다~~
씻고 터는데 시간을 보내구 오염에 불쾌감을 느끼며 소중한 시간을 보내기엔 너무 아깝자나요.. 저두 완전하게 난 것은 아니지만 그래두 우리 계속 노력하자구요
Good luck~~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 생활에서의 강박 장애는 의학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심각한 것부터 단지 일상 생활에서의 작은 의식 개선만으로 해결되는 것까지 존재한다. 실재로 우리 주변의 강박장애 사례를 보면 대부분의 경우에는 그 증세가 경미하고 자신도 그다지 불편이나 고통을 못 느끼기 때문에 좀 더 유연한 사고와 여유 있는 생활태도를 가짐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좀 더 심각한 강박 장애의 증상이 있거나 그러한 증상으로의 발전이 염려되는 경우에는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Ⅲ.결 론
지금까지의 내용들을 계속 전개해 오면서 우리는 강박 장애의 의미와 이론적 정의, 그리고 우리 주위에 얼마나 가까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알게 되었다. 몇 번이나 반복하여 언급하였듯이 우리는 누구나 어느 정도의 경미한 강박증적 행위를 보이고 있다. 물론 이러한 성격은 규율과 원칙 등을 중시하는 군대와 같은 곳이나, 단 1㎕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는 기초과학을 연구하는 분야에서는 어느 정도 필요로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질서, 정확성, 완벽함에 집착하게 된다면, 나무만을 지나치게 보느라 숲을 보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경험하게 될 것이며, 이는 인생을 살아가며 안전망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사회적지지 획득에 어려움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성향은 언제든지 우리를 ‘살아있는 죽음, 강박증’으로 몰고 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우연적이고 타의적인 이유로 인해, 어느 순간부터 우리 스스로가 사소한 일에 집착하고 이상행위를 보이는 강박장애의 단계가 발생하기를 가만히 기다리고 있어야만 하는가. 그때가 되어서야 몇몇 의학적 방법을 통해 치료해야 하는가. 물론 그렇지 않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우리의 경미한 증상들은 일상생활에서의 작은 의식 변화를 통해서도 얼마든지 치유될 수 있는 것이다. 우선 어떤 문제든지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능동적인 태도, 강박증적인 사고에서 나오는 걱정들이 너무나 비합리적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이성, 무언가 불편하고 고통스러운 것이 있다면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그러한 불편성을 극복하고자 노력 할 수 있는 실험정신과 극복의지 끝으로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성숙하고 준비성 있는 의식, 그것이 바로 우리를 강박에서 자유롭게 해줄 수 있는 작은 의식의 변화인 것이다. 이러한 의식변화에 대한 개인적인 노력과 가족으로써, 친구로써 나눌 수 있는 주변에의 관심이 있다면 우리사회에서 우리의 건전한 의식세계를 갉아먹는 강박증의 흔적들을 완전히 씻어버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20대초중반 대학생이 대학이라는 사회에 적응하는데, 또한 앞으로 새로 만나야 할 사회에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할 것이다.
그래도 힘들면 제게 힘이 되는 성경구절을 계속 암송합니다.....(참고로 로마서 8장 6절 이하)
그러면 맘이 편해지져.......그리고 감사한 것은 이 카페에 어제 가입해서 제가 강박증이란 걸(그렇게 고통받았음에도) 첨 알았다는거져.....
그리구 알구나니 더 잘 이겨낼수있을것 같고....맘이 더 편해졌다는 것입니다....정말 좋습니다.......^^
여러분 정말 힘내시구여......좋은 소식 기다릴께여..........
꼭 이기실 수 있을거예여.........화이팅..............^^
(2) 사례 # 2. 인터넷을 통한 상담
-고통 상담-
저의 하루 일과에 맞추어 함 말씀드리겠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저는 늘 머리를 빗습니다..근데 빗고나선 왠지 옷에 비듬이나 먼지가 떨어질 것 같아 탁탁 털며 나옵니다..참고로 전 비듬이 없습니다..그래도 왠지 찝찝해서...ㅠㅠ
그리고 침대 이불을 아주 반듯하게 접어서 올려둡니다..
또한 아침에 세수하고 나서 화장하기 전에 다른 물건은 손도 안됩니다.
먼지가 손에 묻을 것 같아서여...블록을 걸을 때 맨홀있져....그거 밟으면 왠지 재수가 없을 것 같아서 절대 안밟구여..
재가 아이들을 가르치는 데여..전 사마귀를 무지 싫어하거덩여...
사마귀있는애들 손 만지면 바로 비누로 씻구여..ㅠㅠ
비둘기한마리에 3천마리 벼룩이 있다는 얘기들은 후부터는 비둘기근처엔 얼씬도 안 합니다.....
잠자리에 들 때는 침대 위를 손으로 탁탁 털어 냅니다..왠지 먼지가 많을 것 같아서요....말하기 뭐하지만 화장실 결벽증도 있구여..
저 어떡하죠? 그러구보니 심한 것 같네여..........
여러분들의 판단 부탁드립니다.....그럼..존 하루 되세여....
-답변-
깨끗한 느낌이란 정말 좋지요*^^
무엇을 하든 기분두 좋구요 하지만.. 곧 그 무엇인가를 하면서 무엇이든 손으로 만져야 하고.. 잠시후에 이런 기분은 사라져 버리고 다시 깨끗해져야 하니깐(물론 먼지로 부터두 벗어나야 하구요) 기분이 불쾌해지기 시작하지요.. 그래서 씻든지 털든지 다시 반복하게 되구요..
님의 마음 110%이해 합니다. 저두 이와 비슷하니까요.
하지만 이런 강박행동 때문에 우리 자신들에게 일상 생활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면에서 손해가 너무 크지 않은가요? 저는 그렇거든요..
저는 김선인님의 책에 나오는 '존재하지 않는 길'이라는 소설을 읽고 저 자신에 대해 다시 돌아보는 좋은 기회를 얻었습니다. 우리가 하는 행동들이 '존재하지 않는 길' 이라는 것을 새삼 확인하였으나 그래두 아직은 예전처럼 고통스러울 정도는 아닐지라두 완전히 청결 행동들을 멈추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청결 강박증은 스스로 조금씩이라도 강도를 줄여가며 노력한다면 금새 좋아질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저 역시 저 이름대루 Improving하구 있구요~~
님두 이름처럼 청결 생각에 고통받지 않구 항상 푸르게
사셨으면 좋겠습니다~~
씻고 터는데 시간을 보내구 오염에 불쾌감을 느끼며 소중한 시간을 보내기엔 너무 아깝자나요.. 저두 완전하게 난 것은 아니지만 그래두 우리 계속 노력하자구요
Good luck~~
위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 생활에서의 강박 장애는 의학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심각한 것부터 단지 일상 생활에서의 작은 의식 개선만으로 해결되는 것까지 존재한다. 실재로 우리 주변의 강박장애 사례를 보면 대부분의 경우에는 그 증세가 경미하고 자신도 그다지 불편이나 고통을 못 느끼기 때문에 좀 더 유연한 사고와 여유 있는 생활태도를 가짐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좀 더 심각한 강박 장애의 증상이 있거나 그러한 증상으로의 발전이 염려되는 경우에는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Ⅲ.결 론
지금까지의 내용들을 계속 전개해 오면서 우리는 강박 장애의 의미와 이론적 정의, 그리고 우리 주위에 얼마나 가까이 존재하고 있는지를 알게 되었다. 몇 번이나 반복하여 언급하였듯이 우리는 누구나 어느 정도의 경미한 강박증적 행위를 보이고 있다. 물론 이러한 성격은 규율과 원칙 등을 중시하는 군대와 같은 곳이나, 단 1㎕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는 기초과학을 연구하는 분야에서는 어느 정도 필요로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질서, 정확성, 완벽함에 집착하게 된다면, 나무만을 지나치게 보느라 숲을 보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경험하게 될 것이며, 이는 인생을 살아가며 안전망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사회적지지 획득에 어려움을 줄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성향은 언제든지 우리를 ‘살아있는 죽음, 강박증’으로 몰고 갈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우연적이고 타의적인 이유로 인해, 어느 순간부터 우리 스스로가 사소한 일에 집착하고 이상행위를 보이는 강박장애의 단계가 발생하기를 가만히 기다리고 있어야만 하는가. 그때가 되어서야 몇몇 의학적 방법을 통해 치료해야 하는가. 물론 그렇지 않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우리의 경미한 증상들은 일상생활에서의 작은 의식 변화를 통해서도 얼마든지 치유될 수 있는 것이다. 우선 어떤 문제든지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능동적인 태도, 강박증적인 사고에서 나오는 걱정들이 너무나 비합리적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이성, 무언가 불편하고 고통스러운 것이 있다면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그러한 불편성을 극복하고자 노력 할 수 있는 실험정신과 극복의지 끝으로 현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는 성숙하고 준비성 있는 의식, 그것이 바로 우리를 강박에서 자유롭게 해줄 수 있는 작은 의식의 변화인 것이다. 이러한 의식변화에 대한 개인적인 노력과 가족으로써, 친구로써 나눌 수 있는 주변에의 관심이 있다면 우리사회에서 우리의 건전한 의식세계를 갉아먹는 강박증의 흔적들을 완전히 씻어버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20대초중반 대학생이 대학이라는 사회에 적응하는데, 또한 앞으로 새로 만나야 할 사회에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원동력을 제공할 것이다.
추천자료
강박증 수동 공격형
강박장애
노인의 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그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의 성에 대해 여러 심리적 이...
강박성 성격장애
obsessive compulsive personality disorder-강박성인격장애 case study
강박장애란
학습장애, 정의, 유형, 특성, 원인, 치료, 아동발달심리
불안장애 (공포증, 공황, 강박증, 외상후스트레스 ) 정신생리 장애
[독후감/서평/요약/줄거리] 나는 까칠하게 살기로 했다 - 상처받지 않고 사람을 움직이는 관...
사회공포증, 강박장애 - 정신과 case study
뇌의 이상요인(뇌의 구조적 이상, 신경전달물질의 이상, 기능적 이상, 심경심리검사에서 나타...
영유아기 정신장애(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반항성 장애, 불안장애, 분리불안장애, 강박장애...
임상사례보고서 (영화 주인공) 영화 샤인을 보고 주인공의 임상적 문제, 문제에 대한 진단(임...
[C군 성격장애] 군집C의 성격장애 - 회피적 성격장애 의존적 성격장애 강박적 성격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