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시 W.S.Merwin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어려운 일이다. 이것은 작가가 자신의 의도를 독자들에게 전하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독자들로 하여금 어렵다, 난해 하다, 라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Merwin의 시를 통해서 중심 주제를 찾고 상징성을 찾기보다는 시의 결을 따라 읽어나가는 것 또한 독자의 몫이라고 본다.
Ⅲ. 결 론
이제껏 본론에서 W.S. Merwin의 시 네 편을 정하여 그 시들의 포스트 모더니즘적인 특징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아래와 같이 네 가지로 그 특징을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이제껏 시라고 규정되어온 시의 외형적인 길이나 소재 선택에 있어서, 즉 그 형식의 새로움을 보여준다. 한 문장밖에 되지 않는 [DEAD HAND]는 과연 시일까 하는 의구심을 들게 하고, 또한 작가의 일상에서 느끼는 감상을 표현함에 있어 새로운 소재를 등장 시켜 연결시킴으로써 모호한 해석을 하게하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나타낸다.
둘째, 이 시들에서는 주체와 객체의 차이를 두지 않는다. [HOW WE ARE SPARED]에서 새벽이 오는 순간을 느끼고 감사하는 작은 새가 등장함으로써 자연과 일치된 새, 자아가 나타나는데 이는 포스트 모더니즘에서 동양적인 정서-자연과 자아와의 일치-를 받아들임으로 나타난다.
셋째, 이 시들에서는 자아가 현실과 무의식의 사이를 넘나들고 있다. [FOR THE ANNIVERSARY OF MY DEATH]에서 보면 화자는 분명 죽은 자신인데, 자신이 죽은 날을 기억하지 못함으로 시작하여 그 죽은 자신이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고 있다. 즉, 현실과 비현실간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는데, 이 또한 모더니즘에 대한 하나의 도전이고 실험이다.
넷째, Merwin은 시의 상징을 통하여 어떤 교훈이나 자신의 메시지를 독자에게 전하려고 하지 않는다.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둠으로써 이 시를 접하게 되는 독자로 하여금 독자 개개인의 독자적인 상상의 날개를 펼 여지를 남겨둔다.
Ⅳ. 참고 문헌
1. W.S.Merwin 초기시의 신화적 감수성: 동서 창조 신화비교를 통한 The Bones"해석, 한태호, 관동대, 1997
2. Understanding W.S Merwin,H.L.Hix,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3. 시와 시론 미국 현대시, 최병현, 한신문화사
4. 영미시의 포스트모던적 읽기, 이정호, 서울대학교출판부
5. 언어나침반의 황금가지, 한태호, 동인출판사
6. 일그러진 근대, 박지향, 푸른역사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3.07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80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