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연구주제
-음주가 대학생활에 끼치는 영향
연구의 효용성
주제 관련 기존 연구 자료 정리․ 요약
주제 관련 주요 가설
-음주가 대학생활에 끼치는 영향
연구의 효용성
주제 관련 기존 연구 자료 정리․ 요약
주제 관련 주요 가설
본문내용
음주자-2.0미만 1명(1.4%), 2.0~2.6 사이2명(2.9%), 2.6~3.1 사이 11명(15.9%)
3.1~3.6 41명(59.4%) 3.6 이상 14명(20.3%)
중음주자-2.0~2.6 4명(6.1%), 2.6~3.1 16명(24.2%), 3.1~3.6 37명(56.1%)
3.6 이상 9명(13.6%)
⑥거주지
4. 기타 연구 정리
①서울 수도권 소재 4개 대학 재학생 1,0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음주실태 조사, 조선일 보, 2001.2.27
국내 대학생의 월간 음주율(월간 1회 이상 음주자 비율)은 92.2%로 미국대학생의 86%(96년기준)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② 한성열, 신행우, 최일호, 1997
우리나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음주 집단별 빈도를 보면 월 1회 미만의 비 음주 집단은 13%이며, 사교성 음주 집단은 71.4%, 문제성 음주 집단은 15.5%로 보고하고 있다. 이렇게 사교적 음주집단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음에도 불구하고 김정우의 연구에서 술로 인한 대인관계가 악화된 경우가 10%나 차지했다.
③허성욱/정봉주/박성진- 대학생들의 음주문화에 관한 조사(2000)
성별로 술을 마시는가에 대해서 아래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마신다고 응답한 264명중에서 군필자는 69명(90.8%), 미필자는 70명(83.3%), 여자는 125명(75.3%)으로 군필자 미필자 그리고 여자 순서로 술을 마시는 비율이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특히 마신다고 응답한 남자 군필자에 비해 여자는 그 응답 비율이 15.5%나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 술을 마시는 것에 성별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여자
계
군필
미필
마신다
69(90.8)
70(83.3)
125(75.3)
264( 81.0)
마시지 않는다
7( 9.2)
14(16.7)
41(24.7)
62( 19.0)
계
76(23.3)
84(25.8)
166(50.9)
326(100.0)
<성별에 따른 음주 비율> (단위):%
<5> 주요가설
1. 술자리가 많은 학생(음주 횟수가 많은)은 대인관계의 폭이 넓을 것이다.
변수: 주당 술자리 횟수
술자리 후 대인관계의 폭이 넓어졌다고 생각하는가?
자신이 사교성이 좋다고 생각하는가?
혼자 마시는 중독성의 술이 아니라면 음주공동체는 일정한 사회적 범주―유유상종의 음주 스타일 ―을 형성한다.인류학적 보고에 따르면 원시인드레에게 음식물을 나누어 먹는 행위는 친절호의존경의 도덕을적 규정을 강화하는 것이며, 공동식사는 곧 절대적인 신용을 의미하는 사회적 결합으로서의 의미를 가졌다. 즉 같은 음식물을 먹음으로써 두 사람 혹은 집단간들은 서로 타의없는 행동을 보장하는 인질을 교환하는 행위와 동등한 의미를 지닌 것이며 그것은 서로가 상대를 향해 서 위해를 가하지 않는다는 진심을 보증하는 방식이었다.(Frazer, 1996, 황금의 가지,김상일 역) ……… “술의 사회학 ” 박상희 외, 1999,한울 아카데미
대학에 처음 입학했을 때에는 아는 사람도 없고 모든 것이 낯설다. 조금 지난 학교 수업을 받으면서 자주 보면서도 잘 친하게 지내지는 않는다. 하지만 입학식,동아리 모집, 기타 행사의 뒷풀이에 갔다오면 점점 나와 아는 사람이 생겨나고 얼굴만 알고 있던 사람들도 친해지기 시작한다. 또한 항상 같이 붙어다는 사람들을 보자면 커플이 아니면 술친구들이다. 이와 같이 “음주가 대인관계 형성에 도움이 된다”라는 암시적이고 관습적으로 인정하고 있지만 과학적인 증명이 미흡하기에 과연 이 사회적 상식이 옳은가에 대해 검증해보고자 한다.
2. 음주가 흡연량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변수: 흡연을 하는가?(흡연의 유/무)
흡연량 ① 평상시의 흡연량 ② 술자리에서의 흡연량
평상시보다 술자리에서 흡연량이 많다고 생각하십니까?(흡연자에 한해)
술과 담배는 항상 건강에 대한 공공의 적으로 간주되고, 늘 건강 악화의 원인이라는 불명예를 가지고 있다. 또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도 이 둘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표현하고 있고, 술을 마시는 장면에 담배도 피고 있고, 담배피면 술마시는 등 술와 담배를 동전의 앞면과 뒷면으로 보는 관점에 대해서 술이 미치는 흡연량과 흡연자의 음주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3. 개인 인적 사항이 음주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변수: 술자리 횟수는 남자가 여자보다 많을 것이다. (성별- 군미필 남, 군필 남, 여자)
거주지가 음주에 영향을 죽 것이다.
부모님과의 동거 유/무가 술자리 횟수와 귀가 시간에 영향을 줄 것이다.
학년에 따라 술자리 횟수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정기적으로 나가는 모임의 수가 많을수록 술자리 횟수가 많을 것이다.
우리는 대개 “남자가 여자보다 술을 많이 마시다”, “자취하면 술고래된다.”, “나이먹으면 느는게 주름살이랑 술살이다.”, “동아리나 친목 모임의 수가 많을수록 자주 술자리에 나간다.” 등 거야 말로 검증 되지 낳은 명제들이 많다. 이에 이 조사에서는 그 검증되지 않은 통설들을 가설로 설정하고 개별적 인적 특수성과 음주에 관해서 그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4. 음주가 학업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변수: 술자리 횟수가 학업에 영향을 줘서 평점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다. (한 학기 평점)
술자리 때문에 지각(결석, 대출)을 한 적이 있는가?
이는 주로 부모님들의 잔소리에서 알아볼 수 있는데, 술 마시러 어울리다 보면 자연히 공부랑 멀어진다는 데에서 과연 그럴까? 하는 의문에서 시작한다. 또한 우리들 또한 그런 줄 알고 있다. 이것 또한 기존의 검증되지 않고 아주 주관적인 명제이기에 객관화하기 위해 음주로 인한 결석지각학업태도학업 성취도 등을 보고 판단하고자 한다.
5. 음주를 처음 시작한 시기가 음주 횟수와 영향이 있을 것이다.
변수: 본격적으로 음주를 시작한 시기는 언제 입니까?
우리는 대개 “일찍부터 음주에 접한 사람은 술고래나 알콜 중독자가 되기 쉽다.”는 명제에서 시작하여 과연 일찍이 술에 눈 뜬 이가 진정한 애주가의 길로 나아가는가를 알아보고자한다.
만약 이 변수의 설문 문항을 연속변수(숫자)로 설명이 가능해진다면 회귀분석을 할 수도 있어 인과관계분석도 가능할 것으로 보아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3.1~3.6 41명(59.4%) 3.6 이상 14명(20.3%)
중음주자-2.0~2.6 4명(6.1%), 2.6~3.1 16명(24.2%), 3.1~3.6 37명(56.1%)
3.6 이상 9명(13.6%)
⑥거주지
4. 기타 연구 정리
①서울 수도권 소재 4개 대학 재학생 1,0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음주실태 조사, 조선일 보, 2001.2.27
국내 대학생의 월간 음주율(월간 1회 이상 음주자 비율)은 92.2%로 미국대학생의 86%(96년기준)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② 한성열, 신행우, 최일호, 1997
우리나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음주 집단별 빈도를 보면 월 1회 미만의 비 음주 집단은 13%이며, 사교성 음주 집단은 71.4%, 문제성 음주 집단은 15.5%로 보고하고 있다. 이렇게 사교적 음주집단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음에도 불구하고 김정우의 연구에서 술로 인한 대인관계가 악화된 경우가 10%나 차지했다.
③허성욱/정봉주/박성진- 대학생들의 음주문화에 관한 조사(2000)
성별로 술을 마시는가에 대해서 아래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마신다고 응답한 264명중에서 군필자는 69명(90.8%), 미필자는 70명(83.3%), 여자는 125명(75.3%)으로 군필자 미필자 그리고 여자 순서로 술을 마시는 비율이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특히 마신다고 응답한 남자 군필자에 비해 여자는 그 응답 비율이 15.5%나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 술을 마시는 것에 성별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여자
계
군필
미필
마신다
69(90.8)
70(83.3)
125(75.3)
264( 81.0)
마시지 않는다
7( 9.2)
14(16.7)
41(24.7)
62( 19.0)
계
76(23.3)
84(25.8)
166(50.9)
326(100.0)
<성별에 따른 음주 비율> (단위):%
<5> 주요가설
1. 술자리가 많은 학생(음주 횟수가 많은)은 대인관계의 폭이 넓을 것이다.
변수: 주당 술자리 횟수
술자리 후 대인관계의 폭이 넓어졌다고 생각하는가?
자신이 사교성이 좋다고 생각하는가?
혼자 마시는 중독성의 술이 아니라면 음주공동체는 일정한 사회적 범주―유유상종의 음주 스타일 ―을 형성한다.인류학적 보고에 따르면 원시인드레에게 음식물을 나누어 먹는 행위는 친절호의존경의 도덕을적 규정을 강화하는 것이며, 공동식사는 곧 절대적인 신용을 의미하는 사회적 결합으로서의 의미를 가졌다. 즉 같은 음식물을 먹음으로써 두 사람 혹은 집단간들은 서로 타의없는 행동을 보장하는 인질을 교환하는 행위와 동등한 의미를 지닌 것이며 그것은 서로가 상대를 향해 서 위해를 가하지 않는다는 진심을 보증하는 방식이었다.(Frazer, 1996, 황금의 가지,김상일 역) ……… “술의 사회학 ” 박상희 외, 1999,한울 아카데미
대학에 처음 입학했을 때에는 아는 사람도 없고 모든 것이 낯설다. 조금 지난 학교 수업을 받으면서 자주 보면서도 잘 친하게 지내지는 않는다. 하지만 입학식,동아리 모집, 기타 행사의 뒷풀이에 갔다오면 점점 나와 아는 사람이 생겨나고 얼굴만 알고 있던 사람들도 친해지기 시작한다. 또한 항상 같이 붙어다는 사람들을 보자면 커플이 아니면 술친구들이다. 이와 같이 “음주가 대인관계 형성에 도움이 된다”라는 암시적이고 관습적으로 인정하고 있지만 과학적인 증명이 미흡하기에 과연 이 사회적 상식이 옳은가에 대해 검증해보고자 한다.
2. 음주가 흡연량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변수: 흡연을 하는가?(흡연의 유/무)
흡연량 ① 평상시의 흡연량 ② 술자리에서의 흡연량
평상시보다 술자리에서 흡연량이 많다고 생각하십니까?(흡연자에 한해)
술과 담배는 항상 건강에 대한 공공의 적으로 간주되고, 늘 건강 악화의 원인이라는 불명예를 가지고 있다. 또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도 이 둘에 대해서도 부정적으로 표현하고 있고, 술을 마시는 장면에 담배도 피고 있고, 담배피면 술마시는 등 술와 담배를 동전의 앞면과 뒷면으로 보는 관점에 대해서 술이 미치는 흡연량과 흡연자의 음주 실태를 알아보고자 한다.
3. 개인 인적 사항이 음주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변수: 술자리 횟수는 남자가 여자보다 많을 것이다. (성별- 군미필 남, 군필 남, 여자)
거주지가 음주에 영향을 죽 것이다.
부모님과의 동거 유/무가 술자리 횟수와 귀가 시간에 영향을 줄 것이다.
학년에 따라 술자리 횟수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정기적으로 나가는 모임의 수가 많을수록 술자리 횟수가 많을 것이다.
우리는 대개 “남자가 여자보다 술을 많이 마시다”, “자취하면 술고래된다.”, “나이먹으면 느는게 주름살이랑 술살이다.”, “동아리나 친목 모임의 수가 많을수록 자주 술자리에 나간다.” 등 거야 말로 검증 되지 낳은 명제들이 많다. 이에 이 조사에서는 그 검증되지 않은 통설들을 가설로 설정하고 개별적 인적 특수성과 음주에 관해서 그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4. 음주가 학업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변수: 술자리 횟수가 학업에 영향을 줘서 평점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다. (한 학기 평점)
술자리 때문에 지각(결석, 대출)을 한 적이 있는가?
이는 주로 부모님들의 잔소리에서 알아볼 수 있는데, 술 마시러 어울리다 보면 자연히 공부랑 멀어진다는 데에서 과연 그럴까? 하는 의문에서 시작한다. 또한 우리들 또한 그런 줄 알고 있다. 이것 또한 기존의 검증되지 않고 아주 주관적인 명제이기에 객관화하기 위해 음주로 인한 결석지각학업태도학업 성취도 등을 보고 판단하고자 한다.
5. 음주를 처음 시작한 시기가 음주 횟수와 영향이 있을 것이다.
변수: 본격적으로 음주를 시작한 시기는 언제 입니까?
우리는 대개 “일찍부터 음주에 접한 사람은 술고래나 알콜 중독자가 되기 쉽다.”는 명제에서 시작하여 과연 일찍이 술에 눈 뜬 이가 진정한 애주가의 길로 나아가는가를 알아보고자한다.
만약 이 변수의 설문 문항을 연속변수(숫자)로 설명이 가능해진다면 회귀분석을 할 수도 있어 인과관계분석도 가능할 것으로 보아 인과관계를 설명할 수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음주와 흡연이 우리 몸에 미치는 영향 및 그에 대한 대책
청소년의 음주행위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세계의 술문화비교분석(한국의 소주와 러시아의 보드카 술 문화 비교)
[비교문화론]한국의 소주와 러시아의 보드카 술문화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에 관한 연구
한국인 술문화에 대한 기능론 적 분석
청소년 음주의 실태와 예방대책
대학생의 술문화
음주의 사회문제와 대책
음주운전 예방대책
청소년음주의 현황과 예방을 위한 대책
여가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의 음주
[세상읽기와논술E] 자신이 본 드라마의 등장인물들 중 한 사람을 택해 자신의 삶과 비교해가...
[의식구조][일본인][납세자][계층][여대생음주][청소년][의식][논리의식][공동체의식][의식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