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대한 의존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고, 프레이즈의 길이와 관련하여 난이도를 점차적으로 높이는 것이다.
MIT는 3단계 수준으로 나누어진 프로그램으로 계층적으로 구성되어져있다. 처음의 2단계에서는 다중 음절 단어와 짧은 음, 실제로 있음직함 구들을 음악적으로 억양을 붙여서 말하였다. 3단계에서는 좀 더 길고 좀 더 음운적인 복잡한 문장을 제시한다. 이러한 좀 더 긴 문장을 처음으로 억양을 붙여서 말하여지며, 그러면, 과장된 구어운율을 발성하며, 그리고 결국에는 정상적으로 말한다. 억양이 있는 모든 구들에서 임상가는 각각의 음절을 말할 때마다 환자의 손장단을 하게 한다. 아이템들은 말의 일상적인 대화 운율에 근거를 두고 단순히 고음과 저음의 형태를 사용하면서 매우 느리게 지속적인 대화를 읊는 것이다.
Ⅱ. MIT를 실시하는데 적합한 대상
- 전체 실어증 환자의 ¼ 정도
- Broca's 실어증
- 운동성 실어증
- 우반구에 손상을 입지 않은 노래 부르기 가능
- 비유창성 실어증(non-fluent aphasic)환자가 좋은 치료대상
- 구강안면실행증 및 편마비를 동반, 뇌졸중이고, 하지보다는 상지에서 장애, 발병 전에 오른손잡이, 우측 편마비를 가지고 있는 환자
Ⅲ.실어증환자를 위한 MIT 적용기법
실어증환자를 위하여 MIT를 실시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원리가 적용된다(Sparks & Deck, 1986).
첫 번째, MIT 프로그램은 치료 과정과 과제의 난이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진다. 이러한 진행에 있어 사용된 언어 자료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며, 치료사의 참여는 점진적으로 서서히 감소되고 마지막 수준에서 멜로디 억양에 대한 의존을 없앤다.
두 번째, MIT는 환자가 자신의 발화에 대해 오류의 내용을 상기할 수 있다는 것에 가정을 두어 말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되돌아가기(backup)”라는 기법이 포함된다.
세 번째, 반복을 사용하는 것은 MIT의 핵심으로 매우 효과적인 치료 장치이며, 실어증환자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 MIT에서 반복의 사용은 수준이 높아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네 번째, MIT는 치료사의 자극제시와 환자의 반응 사이에 잘 조절되고 통제된 기다리는 시간(latency)을 사용한다.
다섯 번째, MIT를 실시할 때 잘 구성된 중재 프로그램은 매우 유용한 발화를 포함시켜 실어증에 걸리기 이전의 언어 기능에 대한 기억력을 유발시키므로 의미 있는 자극자료의 충분함과 다양함이 MIT에서는 매우 권장된다. 그러나 똑같은 자료나 항목을 반복적으로 계속 사용함으로써 환자에게 지루함을 주고, 또한 치료에 효과적이지 않은 반복연습은 피한다.
여섯 번째, 환자가 그 단계의 항목에 포함되지 않은 말을 발화했을 때, 치료사는 목표 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불필요한 강화로 치료를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일곱 번째, 글씨자극과 그림자극은 간혹 상황에 따라서 혼란을 유발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전에 환자의 상태를 파악한 후에 적절한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여덟 번째, 치료의 횟수에 있어서 하루에 두 번의 치료를 하는 것은 언어가 심하게 손상된 실어증환자에게는 필수이지만. 시간, 돈, 교통에 제한이 있을 때, MIT프로그램을 가족에게 교육하여 간접적인 치료를 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참고문헌>
실어증환자의 말- 언어치료, 한국언어병리학회 편 1994
<참고논문>
시각적동작치료법이 전체성 실어증자의 의사소통능력개선에 미치는 효과, 김지아, 대구대
언어중심치료프로그램이 실어증환자의 언어회복에 미치는 영향, 김희진, 대구대
멜로디억양치료법(MIT)이 실어증환자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윤용웅, 대구대
MIT는 3단계 수준으로 나누어진 프로그램으로 계층적으로 구성되어져있다. 처음의 2단계에서는 다중 음절 단어와 짧은 음, 실제로 있음직함 구들을 음악적으로 억양을 붙여서 말하였다. 3단계에서는 좀 더 길고 좀 더 음운적인 복잡한 문장을 제시한다. 이러한 좀 더 긴 문장을 처음으로 억양을 붙여서 말하여지며, 그러면, 과장된 구어운율을 발성하며, 그리고 결국에는 정상적으로 말한다. 억양이 있는 모든 구들에서 임상가는 각각의 음절을 말할 때마다 환자의 손장단을 하게 한다. 아이템들은 말의 일상적인 대화 운율에 근거를 두고 단순히 고음과 저음의 형태를 사용하면서 매우 느리게 지속적인 대화를 읊는 것이다.
Ⅱ. MIT를 실시하는데 적합한 대상
- 전체 실어증 환자의 ¼ 정도
- Broca's 실어증
- 운동성 실어증
- 우반구에 손상을 입지 않은 노래 부르기 가능
- 비유창성 실어증(non-fluent aphasic)환자가 좋은 치료대상
- 구강안면실행증 및 편마비를 동반, 뇌졸중이고, 하지보다는 상지에서 장애, 발병 전에 오른손잡이, 우측 편마비를 가지고 있는 환자
Ⅲ.실어증환자를 위한 MIT 적용기법
실어증환자를 위하여 MIT를 실시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원리가 적용된다(Sparks & Deck, 1986).
첫 번째, MIT 프로그램은 치료 과정과 과제의 난이도가 점진적으로 높아진다. 이러한 진행에 있어 사용된 언어 자료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며, 치료사의 참여는 점진적으로 서서히 감소되고 마지막 수준에서 멜로디 억양에 대한 의존을 없앤다.
두 번째, MIT는 환자가 자신의 발화에 대해 오류의 내용을 상기할 수 있다는 것에 가정을 두어 말의 오류를 수정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되돌아가기(backup)”라는 기법이 포함된다.
세 번째, 반복을 사용하는 것은 MIT의 핵심으로 매우 효과적인 치료 장치이며, 실어증환자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 MIT에서 반복의 사용은 수준이 높아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네 번째, MIT는 치료사의 자극제시와 환자의 반응 사이에 잘 조절되고 통제된 기다리는 시간(latency)을 사용한다.
다섯 번째, MIT를 실시할 때 잘 구성된 중재 프로그램은 매우 유용한 발화를 포함시켜 실어증에 걸리기 이전의 언어 기능에 대한 기억력을 유발시키므로 의미 있는 자극자료의 충분함과 다양함이 MIT에서는 매우 권장된다. 그러나 똑같은 자료나 항목을 반복적으로 계속 사용함으로써 환자에게 지루함을 주고, 또한 치료에 효과적이지 않은 반복연습은 피한다.
여섯 번째, 환자가 그 단계의 항목에 포함되지 않은 말을 발화했을 때, 치료사는 목표 발화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불필요한 강화로 치료를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일곱 번째, 글씨자극과 그림자극은 간혹 상황에 따라서 혼란을 유발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전에 환자의 상태를 파악한 후에 적절한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여덟 번째, 치료의 횟수에 있어서 하루에 두 번의 치료를 하는 것은 언어가 심하게 손상된 실어증환자에게는 필수이지만. 시간, 돈, 교통에 제한이 있을 때, MIT프로그램을 가족에게 교육하여 간접적인 치료를 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참고문헌>
실어증환자의 말- 언어치료, 한국언어병리학회 편 1994
<참고논문>
시각적동작치료법이 전체성 실어증자의 의사소통능력개선에 미치는 효과, 김지아, 대구대
언어중심치료프로그램이 실어증환자의 언어회복에 미치는 영향, 김희진, 대구대
멜로디억양치료법(MIT)이 실어증환자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윤용웅, 대구대
추천자료
[가정]가정에서의 위탁양육, 가정에서의 물리치료, 가정에서의 여가생활, 가족생활주기(Famil...
근골격계 질환[물리치료]
지역사회 복지를 위한 물리치료사의 역할.
[물리치료학] 정상보행과 편마비보행에 관해
[소아물리치료] 아동의 정상적인 운동발달
물리치료 - 파킨슨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에서 실시하는 치료적 운동방법
[신경계 물리치료 사례연구] 신경계case - 안면마비
[질환별 물리치료] PMD[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질환별 물리치료] 운동신경원 질환과 감각신경원 질환
[물리치료] 치매 예방 운동
[물리치료] 편마비의 정상적 움직임 패턴
[심폐물리치료] 폐 기능의 검사
[물리치료] 척주기립근[Erector Spinae Muscle]에 관해서
[KANUDA] 기능성 물리치료 베개의 블루오션을 개척한 가누다(Kanuda) 브랜드 발표.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