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itle
2. Date
3. Object
4. Apparatus & Reagents
5. Theory
6. Procedure
7. Data & Result
8. Discussion
9. Reference
2. Date
3. Object
4. Apparatus & Reagents
5. Theory
6. Procedure
7. Data & Result
8. Discussion
9. Reference
본문내용
을 사용했다.
실험 자체는 매우 간단한 실험들이였다. 첫 번째는 실험이라기보다는 저울에 대한 관찰이였고, 실험에 들어가기 앞서 100mL 비이커의 무게를 잰 후 각각 피펫과 눈금실린더, 뷰렛을 이용해서 실험에 사용할 부피의 증류수를 비이커에 담아 무게를 측정, 증류수의 온도를 측정하면 끝나는 것이다. 이렇게 실험이 간단한 이유는 이번 실험의 목적은 본격적인 실험에 들어가기 앞서 실험 기구들의 사용방법을 숙지하는 것과 계산에 꼭 필요한 실험값의 불확실도와과 유효숫자의 개념을 확실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다.
불확실도는 실험을 하거나 분석을 할 때 실험장비나 기구를 사용하여 실험값을 얻고, 측정된 값이 과연 얼마나 믿을 수 있는지 검토하게 된다. 실험을 통해 어렵게 구한 값은 어떻게 보면 가장 잘 추정된 값일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험값의 불확실한 정도를 경량적으로 표현하고자 양적인 수치를 만들어 낸 것이다.
이 불확실도가 생기는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다. 측정기계 또는 기구의 한계로 인한 오차와 실험하는 사람이 실험에 미숙하거나 실험자체 한계에 의한 오차가 있다. 이 오차들을 줄이기 위해서 좀 더 정밀한 기계나 기구를 사용하고. 측정을 충분히 반복해서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불확실도가 줄어 들게 된다. 이 불확실도는 표준편차 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유효숫자는 실험값이나 화학수식을 계산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수치의 자릿수 중에서 의미를 지니는 범위로써, 측정값이나 근사값이나, 이러한 값만을 이용해서 계산을 할 때에 오차를 고려한다해도 신뢰할 수 있는 숫자만을 자리수로 나타낸다.
이 유효숫자를 구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측정하여 얻은 값이 아닌 단순한 몇 배 곱하기나 나누기 및 평균을 구할 때는 그 수를 유효숫자가 하나라고 보지 않고 무한한 유효숫자가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보통 공학용 계산기나 여러 단계로 계산을 수행할 경우 유효숫자를 모두 적용하다보면 계산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그냥 최종적으로 계산하여 나온 답에 일정한 유효숫자 개수를 정하여 반올림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실험한 결과에서 불확실도는 각각 ±0.0406 g, ±0.182 g, ±0.0150 g/mL의 값이 나왔다. 피펫이나 뷰렛이나 눈금실린더의 용액 부피를 측정할 때 끝선과 정확히 수평이 되어 봐야하지만 정확히 수평으로 맞추어 볼 수 없기 때문에 조금씩 차이가 나게 되는 것 같다. 또한 이론적으로 불확실도의 크기가 A(피펫) < C(뷰렛) < B (눈금실린더) 순으로 값이 나와야 했다. 왜냐하면 부피를 측정하는 기구 중에서 피펫이 가장 정밀하고 눈금 실린더가 가장 정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는 C < A < B의 순으로 나왔다. 이 이것은 실험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아직 미숙하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이 됐다.
9. Reference
일반화학4th edition / John McMurry 외 1명 / 녹문당 / 2008 / P 20 ~ 35대학 물리학 / 해리스 벤슨 / 물리교재편찬위원회 / 1999 / p 48 ~ 53
실험 자체는 매우 간단한 실험들이였다. 첫 번째는 실험이라기보다는 저울에 대한 관찰이였고, 실험에 들어가기 앞서 100mL 비이커의 무게를 잰 후 각각 피펫과 눈금실린더, 뷰렛을 이용해서 실험에 사용할 부피의 증류수를 비이커에 담아 무게를 측정, 증류수의 온도를 측정하면 끝나는 것이다. 이렇게 실험이 간단한 이유는 이번 실험의 목적은 본격적인 실험에 들어가기 앞서 실험 기구들의 사용방법을 숙지하는 것과 계산에 꼭 필요한 실험값의 불확실도와과 유효숫자의 개념을 확실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다.
불확실도는 실험을 하거나 분석을 할 때 실험장비나 기구를 사용하여 실험값을 얻고, 측정된 값이 과연 얼마나 믿을 수 있는지 검토하게 된다. 실험을 통해 어렵게 구한 값은 어떻게 보면 가장 잘 추정된 값일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실험값의 불확실한 정도를 경량적으로 표현하고자 양적인 수치를 만들어 낸 것이다.
이 불확실도가 생기는 이유는 크게 2가지로 볼 수 있다. 측정기계 또는 기구의 한계로 인한 오차와 실험하는 사람이 실험에 미숙하거나 실험자체 한계에 의한 오차가 있다. 이 오차들을 줄이기 위해서 좀 더 정밀한 기계나 기구를 사용하고. 측정을 충분히 반복해서 평균값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불확실도가 줄어 들게 된다. 이 불확실도는 표준편차 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유효숫자는 실험값이나 화학수식을 계산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수치의 자릿수 중에서 의미를 지니는 범위로써, 측정값이나 근사값이나, 이러한 값만을 이용해서 계산을 할 때에 오차를 고려한다해도 신뢰할 수 있는 숫자만을 자리수로 나타낸다.
이 유효숫자를 구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측정하여 얻은 값이 아닌 단순한 몇 배 곱하기나 나누기 및 평균을 구할 때는 그 수를 유효숫자가 하나라고 보지 않고 무한한 유효숫자가 있다고 가정한다. 또한 보통 공학용 계산기나 여러 단계로 계산을 수행할 경우 유효숫자를 모두 적용하다보면 계산이 복잡해지기 때문에 그냥 최종적으로 계산하여 나온 답에 일정한 유효숫자 개수를 정하여 반올림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실험한 결과에서 불확실도는 각각 ±0.0406 g, ±0.182 g, ±0.0150 g/mL의 값이 나왔다. 피펫이나 뷰렛이나 눈금실린더의 용액 부피를 측정할 때 끝선과 정확히 수평이 되어 봐야하지만 정확히 수평으로 맞추어 볼 수 없기 때문에 조금씩 차이가 나게 되는 것 같다. 또한 이론적으로 불확실도의 크기가 A(피펫) < C(뷰렛) < B (눈금실린더) 순으로 값이 나와야 했다. 왜냐하면 부피를 측정하는 기구 중에서 피펫이 가장 정밀하고 눈금 실린더가 가장 정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과는 C < A < B의 순으로 나왔다. 이 이것은 실험 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아직 미숙하기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이 됐다.
9. Reference
일반화학4th edition / John McMurry 외 1명 / 녹문당 / 2008 / P 20 ~ 35대학 물리학 / 해리스 벤슨 / 물리교재편찬위원회 / 1999 / p 48 ~ 53
추천자료
Hare의 장치에 의한 액체의 밀도 측정방법
물리예비보고서(Hare 장치에 의한 액체의 밀도 측정)
Hare 장치에 의한 액체의 밀도 측정 결과 레포트
액체의 점성률과 고분자의 고유점도 측정(결과레포트)
액체의 점도측정 결과보고서
[예비] 액체의 표면장력 측정
생화학 실험보고서 - 난용성[쌀] 고체물질 및 액체[에탈올, 물]의 밀도 측정법
표면장력 측정 - 장력계법 : 장력계법에 의하여 액체의 표면장력을 결정하는데 있다.
[물리실험] 액체의 밀도 측정
[화학실험] 액체의 점도 측정
액체 열측정 - 고분자물성분석[UTM(Universal Test Machine)]
손난로 만들기 : 고체가 액체로 녹을 때 발생하는 용해열을 측정하고 관찰한다 - 실험날짜, ...
[일반물리학실험보고서] 물질의 비중 측정 : 아르키메데스(Archimedes)의 원리를 이해하고 졸...
설계의 의한 미지시료의 점도측정 : 각종 점도계의 원리를 이해하고 Ostwald 형, 낙하구형 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