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크레인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타워크레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타워크레인의 정의

2. 설치 기본 준수사항
✦ 타워크레인의 상세구조
✦ 타워크레인 일반적인 종류
✦ 타워크레인설치/해체

본문내용

인의 주종을 이루는 형식이다. 
주로 작업반경내에 장애물이 없을 때 사용한다.
 
Luffing Jib형 타워크레인
T 형 타워크레인은 지브가 고정되어 있는데 비하여, LuffingJib 형은 고공권 침해또는 타 건물에 간섭이 있을 경우 선택되는 장비로 Mobile Crane처럼 지브를 상하로움직여작업물을 인양할 수 있다.
HKTC 한국타워크레인(주) 종류
1. 2080HC
2. 290HC 19
3. 290HC 12
사진
4. 290HC 10
사진
5. 290HC
사진
6. 290HC-H(708)
사진
7. 154HC/154HC-High
사진
8. Luffing Crane HKL1855
사진
9. 신제품 (Luffing Crane HKL1250)
사진
타워크레인설치/해체
Ⅰ. 기초앵커 설치과정
1.터 파기
- 가로 7m,세로7m,깊이 1.5m로 기초 부위를 터파기한다.
- 터파기 후 밑면 고르기를 할 때 깊이 파인 부분을 절대로 되메우기를 하지 않는다.
현장 여건상 기초 바닥 고르기 되메우기를 할때는 반드시 콤팩터 등으로 지반
다지기를 하여야 한다.
- 설치 부위 지반의 지내력이 현저히 약할 때는 적절한 지반 보강공사를 하여야 한다.
- 지반 보강공사는 파일을 최소한 6본을 향타하여 충분한 지내력을 유지하여야 한다.
 
 
2.버림 콘트리트 타설
- 강도 210kg/cm2의 콘크리트를 20cm 두께로 타설한다.
- 버림 콘크리트 타설시 타워크레인 기초의 4개 기둥점의 수평 및 타워 크레인 높이
기준점을 정확히 맞춘다.
- 타워 크레인 설치 부위에 19mm의 철근으로서 높이 50cm 정도의 말뚝을 박아
타워크레인 기초의 콘크리트 타설시 타워크레인 앵커기초의 밀림현상과 부양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말뚝과 타워크레인 앵커와 용접을 하여야 한다.
 
3.먹 메김
- 버림 콘크리트 타설 후 정확한 위치에 타워 크레인인을 설치하기 위하여 타워 크레인 설치위치를
버림 콘크리트 위에 타워 앵커의 중앙을 표시하고 타워의 각도를 표시한다.
 
4.기초 앙카 조립
1) 설치전 준비 사항
 
- 기초에 맞는 앵커 준비
- Mast 또는 템프레이트
- Bolt 및 핀(기종에 맞게 준비)
- 접지봉1.5m * 6개 및 접지선 32SQ 30m
- H/D 크레인 25톤급 이상 1대
- 레미콘 강도 24kg/cm2
- 철근 19mm/3.2톤,10mm/0.5톤
- 거푸집
- 용접기 5kW 1대
(용접봉,용접면,용접장갑 포함)
- 산소 절단기
- 앵커 기초 도면
 
 
2) 조립 순서
 
가) 기초 앵커와 템플레이트를 결합한다.
- 결합 부분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
부위 페인트를 벗겨낸다.
나) 기초 앵커와 템프레이트 조립한 것을 H/D크레인으로 타워 크레인 설치 위치에 정확히 놓는다.
다) 정확한 수평보기 및 높이를 측정한 후 기초 앵커를 버림 콘크리트의 철근 말뚝에 용접 고정함
라) 접지봉 6개를 삼각 접지로 한다.
 
마)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 한다.
- 철근을 도면에 맞추어 정확하게 조립을 한다.
- 콘크리트 타설 강도는 240kg/cm2
- 콘크리트 타설시 반드시 펌프카를 사용한다.
- 바이브레터 사용시 기초 앵커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주의 한다.
- 한 번에 한 곳에 집중적으로 타설하지 않고 충분한 시간차로 골고루 돌아가면서 타설 한다.
- 거푸집 조립은 콘크리트 타설시 밀림 현상이 없도록 정확히 조립하여야 한다.
 
·어떻게 타워크레인은 높이를 올릴 수 있는가는 일반인들도 가장 궁금하여 하는 것이다. 그러나 알고보면 매우 간단한 원리임을 알 수가 있다. 아래는 타워크레인의 마스트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타워크레인의 높이를 올리는 기본 원리
기본 원리는 왼쪽의 그림과 같습니다. 텔레스코핑 케이지가 마스트 위에 있는 텐테이블을 기준으로 하여 상단의 유닛을 들어올리게 됩니다. 이때에 마스트와의 빈공간을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빈공간이 생기게 되면 마스트를 직접 타워크레인 자신의 마스트를 빈공간까지 인양을 하게 됩니다. 이렇게 인양된 마스트는 빈공간까지 옮겨져 조립되어 집니다. 이렇게 반복하여 타워크레인은 높이가 올라게 됩니다.
 
 
코핑 작업순서
1.먼저 첫번째 MAST를 텔레스코팅케이지 가이드레일에
안착시킨다.
2.또 하나의 MAST를 올린 다음 메인지브와 카운터지브의
정확한 수평을 유지시킨다.
운전실에서 촬영한 MAST가 안착된 모습
3.텔레스코핑 케이지를 이용하여 MAST가 실제로 들어갈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줍니다.
 
4.MAST를 텔레스코핑 케이지 안쪽으로 밀어 넣는다. 보통 12톤 미만의 장비는
인력으로 밀어 넣는 것이 보통이지만 제원이 높이 나가는 장비인 경우에는
윈치가 타워크레인내에 설치가 되어 있어 윈치를 이용하여 MAST를
안쪽으로 당겨서 넣기도 합니다.
 
4.설치되는 MAST의 하단 MAST와의 체결을 한다.
5.위의 작업을 1~4의 알맞은 높이 만큼 반복한다.
기초앙카
Ⅱ. 기초몸체 설치과정
그림은 2000년 7월에 월계동 현장에서 촬영한 LIEBHERR 290HC의 기본 설치 과정을 촬영한 것입니다. 기종마다 조금씩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콘크리트 앵커 고정형 방식의 T형 타워크레인의 일반적인 설치과정입니다.
1.기초앵커 설치 후에 베이직 마스트 설치
2.텔레스코핑 케이지 설치
3.운전실 설치
4.켓헤드 설치
5.카운터 지브 설치
 
 
 
 
 
6.호이스트 구동장치 설치
7.메인 지브 설치
8.웨이트 설치
9.마스트 코핑1
10.마스트 코핑2
 
 
 
 
 
 
 
 
11.마스트 코핑3
12.완성
 
 
Ⅲ. 타워크레인 해체 과정
클라이빙 형식의 타워크레인의 해체
 
 
 
 
해체 순서
 
 
텔레스코핑작업을 실시하여 타워크레인 몸체가 최대한 지면과 가깝게 한다.
 
 
카운터웨이터를 메인지브와의 장비별로 알맞은 수만큼 해체를 한다.
 
 
메인지브를 알맞은 각도만큼 올린 후에 타이바를 해체한다.
 
 
메인지브를 해체한다
 
 
카운터웨이터 해체후에 카운터지브를 메인지브 해체 방법처럼 해체한다.
 
켓헤드와 운전실을 해체한다.
텔레스코핑케이지와 베이직마스트를 해체한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0.03.09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87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