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은 저장소낭(storage vesicle)을 guanethidine과 guanadrel로 대치된다. tricyclic 항우울제는 이들 소낭속으로의 guanethidine과 guanadrel의 흡수를 방해한다. cocaine은 신경말단으로 guanethidine, guanadrel을 이동하는 neuronal 폄프작용을 방해한다. 이들 작용은 guanethidino과 guanadrel의 항고혈압제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monoamine oxidase 억제제는 tyramine 포함한 음식에 의해 생성된 노에피네프린의 방출로 인한 대사 작용과 변성을 방해해 고혈압을 유발할 수도 있다.
tricyclic 항우울제는 clonidine과 guanabenz의 효과를 줄일 수 있다.
phenothiaxine 이나 sympathomimetic amines와 동시 치료하면 고혈압이 생길 수 있다.
베타 차단제
cimetidine은 hepatic oxidative 효소를 유도하여 간에서 일차적으로 대사가 되는 베타차단제의 활용성을 감소시킨다. Hydralazine도 간의 혈류량을 감소시키고 베타차단제의 혈장농축을 증가시킨다.
cholesterol-binding resin(예, cholestyramine과 colestipol)은 propranolol hydrochloride의 혈장 수치를 감소시킨다.
제타 차단제는 간에서 대사되는 약물의 혈장정화용적을 감소시킨다(예, lidocaine, chlorpromazine, coumarin).
ACE 억제제
비스테로이성 항소염제는 (aspirin 포함) ACE 억제제의 효과인 칼륨 보존성 효과를 극대화 한다.
칼슘 길항제(Calcium antagonists)
칼슘 길항제와 guanidine을 병용하면 저혈압, 특히 특발성 비대성 대동맥하 협착증이 있는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다.
칼슘 길항제는 혈장의 digoxin 수치를 증가시킨다.
Cimetidine은 혈액 nifedipine 수치를 증가시킨다.
4) 다음 같은 상황을 주의하도록 환자를 교육한다.
뇌혈관의 경화성 변화는 뇌 관류를 느리게 한다.
항고혈압제를 복용한 후 첫 1시간동안 움직임이 없이 서있을 경우에 머리가 가벼워지는 느낌이 든다. 그러므로 서있을 경우에는 발가락을 움직이거나, 사두근 운동(대퇴 앞쪽 근육과 종아리 뒤쪽 근육을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것)을 한다.
움직임이 없이 장시간 서있는 것은 다리에 정맥정체를 촉진시키고 뇌, 다른 중추기관으로부터 혈액을 배액시킨다.
좌위에서 서있는 체위로 바꿀 때 서서히 상승시키도록 한다. 체위를 서서히 상승시키는 것은 체위변화에 대해 혈관계가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함이다.
뜨거운 목욕, 과다한 술 섭취, 운동후 부동화는 혈관을 이완시켜 말초에 정맥정체를 촉진하기 때문에 피하도록 한다.
5) 저혈압의 증상, 응급처치법을 알려주고, 발견되면 즉시 간호사에게 보고하도록 환자를 교육한다.
저혈압의 증상은 머리가 가벼워짐, 허약감, 메스꺼움, 구토이다.
다리를 상승시킨다.
발가락, 발, 다리를 움직이도록 한다( 능동적 관절 운동)
위의 응급처치법은 정맥귀환과 뇌혈류를 촉진한다.
항고혈압제 복용후 저혈압 증상이 발생되면 2시간이내에 운전,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한다.
저혈압 증상의 발생빈도를 사정하고, 만약 1주일에 1-2회 이상 발생된다면 의료인에게 즉시 연락하고 전문인과 상담하지 않고 환자 임의대로 복용하는 약물을 중단하지 않도록 한다.
어떤 항고혈압제는 반동효과가 있고, 만약 항고혈압제를 갑자기 중단하면 혈압이 갑자기 상승되므로 저혈압 증상이 자주 나타나면 의사와 상의한 후 약물의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다리에 탄력성 붕대를 감거나 또는 탄력성 양말을 신어 지지하도록 한다. 탄력성 붕대나 양말은 정맥귀환을 쉽게 하도록 하여 뇌혈류를 촉진한다.
6) 변비를 피하도록 환자를 교육한다.
변비는 저혈압 약물을 비정상적으로 흡수하여 혈압으로 인한 예측 불가능한 결과를 일으킬 수 있다.
복합은 Valsalva maneuver을 일으키는데, 이들은 정맥귀환을 감소시키고 색전을 일으킨다.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필요하다면 완화제를 투여한다.
적당한 량의 수분과 섬유질 식이를 하도록 한다.
7) K 상실 이뇨제가 처방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간호한다.
thiazides, furosemide, ethacrynic acid가 포함되고, 이들은 저K혈증을 촉진시킨다.
저 K혈증의 증상, 즉 피로, 근육압통, 허약감, 체위성 저혈압, 식욕부진, 구토, 복부팽만, 지각이상이 발생되는지 자주 관찰하고, 증상이 발견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고K식이를 권장한다. 고기, 생선, 감자, 바나나, 닭고기와 같은 음식으로 충분히 보충할 수 있다.
8) pargyline(eutonyl)을 투여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간호한다.
이 약물은 monoamine oxidase 억제제이다.
맥주, 치즈, 술, 닭고기 간, 효모제품, 쵸코렛 등과 같은 음식을 피한다. 이 음식은 tyramine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약물을 복용하는 동안이 음식을 섭취하면 고혈압, 흉통, 심계항진, 발한, 두통, 창백, 뇌내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9) 항고혈압제를 잘 복용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간호한다.
약물 부작용의 증상·증후, 의사에게 보고해야할 부작용, 부작용의 예방법을 환자에게 설명한다.
삶의 질에 대한 환자의 지각수준,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정한다.
치료지시의 이행은 치료효과로 나타나므로 객관적 자료(뇨분석, 혈액화학 검사)와 간접적 자료(자가보고, 알약세기 및 채우기, 약속 지키기)를 확인한다.
간호사는 전화나 엽서를 통해 기억하도록 도움을 주거나 자아 관찰보고, 환자요구에 대한 면담, 지지체계 이용 및 가정방문 등을 통해 이행을 향상시킨다.
고혈압에 대한 환자의 감정과 태도를 사정한다.
재정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사회복지 서비스에 환자를 의뢰한다. 지역사회 지원에 관해 환자에게 최신 자료를 자주 제공한다.
환자의 일상생활에서 혈압에 대한 계속적인 관찰을 한다.
환자의 독립성을 길러주는 자가간호를 증진시키며 합병증 사정은 환자의 남은 일생동안 계속됨을 알려준다.
monoamine oxidase 억제제는 tyramine 포함한 음식에 의해 생성된 노에피네프린의 방출로 인한 대사 작용과 변성을 방해해 고혈압을 유발할 수도 있다.
tricyclic 항우울제는 clonidine과 guanabenz의 효과를 줄일 수 있다.
phenothiaxine 이나 sympathomimetic amines와 동시 치료하면 고혈압이 생길 수 있다.
베타 차단제
cimetidine은 hepatic oxidative 효소를 유도하여 간에서 일차적으로 대사가 되는 베타차단제의 활용성을 감소시킨다. Hydralazine도 간의 혈류량을 감소시키고 베타차단제의 혈장농축을 증가시킨다.
cholesterol-binding resin(예, cholestyramine과 colestipol)은 propranolol hydrochloride의 혈장 수치를 감소시킨다.
제타 차단제는 간에서 대사되는 약물의 혈장정화용적을 감소시킨다(예, lidocaine, chlorpromazine, coumarin).
ACE 억제제
비스테로이성 항소염제는 (aspirin 포함) ACE 억제제의 효과인 칼륨 보존성 효과를 극대화 한다.
칼슘 길항제(Calcium antagonists)
칼슘 길항제와 guanidine을 병용하면 저혈압, 특히 특발성 비대성 대동맥하 협착증이 있는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다.
칼슘 길항제는 혈장의 digoxin 수치를 증가시킨다.
Cimetidine은 혈액 nifedipine 수치를 증가시킨다.
4) 다음 같은 상황을 주의하도록 환자를 교육한다.
뇌혈관의 경화성 변화는 뇌 관류를 느리게 한다.
항고혈압제를 복용한 후 첫 1시간동안 움직임이 없이 서있을 경우에 머리가 가벼워지는 느낌이 든다. 그러므로 서있을 경우에는 발가락을 움직이거나, 사두근 운동(대퇴 앞쪽 근육과 종아리 뒤쪽 근육을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것)을 한다.
움직임이 없이 장시간 서있는 것은 다리에 정맥정체를 촉진시키고 뇌, 다른 중추기관으로부터 혈액을 배액시킨다.
좌위에서 서있는 체위로 바꿀 때 서서히 상승시키도록 한다. 체위를 서서히 상승시키는 것은 체위변화에 대해 혈관계가 적응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함이다.
뜨거운 목욕, 과다한 술 섭취, 운동후 부동화는 혈관을 이완시켜 말초에 정맥정체를 촉진하기 때문에 피하도록 한다.
5) 저혈압의 증상, 응급처치법을 알려주고, 발견되면 즉시 간호사에게 보고하도록 환자를 교육한다.
저혈압의 증상은 머리가 가벼워짐, 허약감, 메스꺼움, 구토이다.
다리를 상승시킨다.
발가락, 발, 다리를 움직이도록 한다( 능동적 관절 운동)
위의 응급처치법은 정맥귀환과 뇌혈류를 촉진한다.
항고혈압제 복용후 저혈압 증상이 발생되면 2시간이내에 운전,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도록 한다.
저혈압 증상의 발생빈도를 사정하고, 만약 1주일에 1-2회 이상 발생된다면 의료인에게 즉시 연락하고 전문인과 상담하지 않고 환자 임의대로 복용하는 약물을 중단하지 않도록 한다.
어떤 항고혈압제는 반동효과가 있고, 만약 항고혈압제를 갑자기 중단하면 혈압이 갑자기 상승되므로 저혈압 증상이 자주 나타나면 의사와 상의한 후 약물의 용량을 조절해야 한다.
다리에 탄력성 붕대를 감거나 또는 탄력성 양말을 신어 지지하도록 한다. 탄력성 붕대나 양말은 정맥귀환을 쉽게 하도록 하여 뇌혈류를 촉진한다.
6) 변비를 피하도록 환자를 교육한다.
변비는 저혈압 약물을 비정상적으로 흡수하여 혈압으로 인한 예측 불가능한 결과를 일으킬 수 있다.
복합은 Valsalva maneuver을 일으키는데, 이들은 정맥귀환을 감소시키고 색전을 일으킨다.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필요하다면 완화제를 투여한다.
적당한 량의 수분과 섬유질 식이를 하도록 한다.
7) K 상실 이뇨제가 처방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간호한다.
thiazides, furosemide, ethacrynic acid가 포함되고, 이들은 저K혈증을 촉진시킨다.
저 K혈증의 증상, 즉 피로, 근육압통, 허약감, 체위성 저혈압, 식욕부진, 구토, 복부팽만, 지각이상이 발생되는지 자주 관찰하고, 증상이 발견되면 즉시 의사에게 보고한다.
고K식이를 권장한다. 고기, 생선, 감자, 바나나, 닭고기와 같은 음식으로 충분히 보충할 수 있다.
8) pargyline(eutonyl)을 투여할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간호한다.
이 약물은 monoamine oxidase 억제제이다.
맥주, 치즈, 술, 닭고기 간, 효모제품, 쵸코렛 등과 같은 음식을 피한다. 이 음식은 tyramine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약물을 복용하는 동안이 음식을 섭취하면 고혈압, 흉통, 심계항진, 발한, 두통, 창백, 뇌내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9) 항고혈압제를 잘 복용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간호한다.
약물 부작용의 증상·증후, 의사에게 보고해야할 부작용, 부작용의 예방법을 환자에게 설명한다.
삶의 질에 대한 환자의 지각수준,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정한다.
치료지시의 이행은 치료효과로 나타나므로 객관적 자료(뇨분석, 혈액화학 검사)와 간접적 자료(자가보고, 알약세기 및 채우기, 약속 지키기)를 확인한다.
간호사는 전화나 엽서를 통해 기억하도록 도움을 주거나 자아 관찰보고, 환자요구에 대한 면담, 지지체계 이용 및 가정방문 등을 통해 이행을 향상시킨다.
고혈압에 대한 환자의 감정과 태도를 사정한다.
재정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사회복지 서비스에 환자를 의뢰한다. 지역사회 지원에 관해 환자에게 최신 자료를 자주 제공한다.
환자의 일상생활에서 혈압에 대한 계속적인 관찰을 한다.
환자의 독립성을 길러주는 자가간호를 증진시키며 합병증 사정은 환자의 남은 일생동안 계속됨을 알려준다.
추천자료
고혈압 환자의 계절에 따른 혈압 변동
고혈압성 망막증
고혈압 보건교육 자료
고혈압약
[고혈압][심막염][부정맥][폐동맥혈전증][동맥경화증][심장천식][심장판막증]고혈압, 심막염,...
고혈압의 예방 및 관리- 지역사회보건교육안
고혈압(HTN), 당뇨병(DM) 케이스 스터디
고혈압 강의 - 보건소 실습 경로당, 노인정, 보건소용 (ppt자료)
고혈압과 관상동맥질환 식이
고혈압학습지도안
[성인병][고혈압][고지혈증][동맥경화증][폐질환][당뇨병][뇌졸중]성인병의 정의와 성인병 고...
[뇌출혈][뇌출혈 개념][뇌출혈 종류][뇌출혈 증상][뇌출혈과 고혈압][유발인자][뇌출혈 진단...
운동과 건강 - 고혈압과 고혈압을 예방하는 운동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