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제1절 문화전달에 중점을 두는 이론
제2절 문화갈등에 중점을 두는 이론
제3절 사회구조에 중점을 두는 이론
제4절 범죄학의 새로운 경향
제1절 문화전달에 중점을 두는 이론
제2절 문화갈등에 중점을 두는 이론
제3절 사회구조에 중점을 두는 이론
제4절 범죄학의 새로운 경향
본문내용
체를 (독립변수로 보지 않고)종속변수로 보아 그러한 규정이 형성된 과정이 나 적용되는 메커니즘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4)일탈행위의 분석방법으로 공식통계에 나타나는 허점을 지적하고 자기보고나 참여적 관찰 에 의한 보충을 구한다.
(5)일탈을 행위의 차원에서 분석하지 않고 사회와 일탈자의 상호작용의 차원에서 분석하여 사회 구성원들로부터 일탈자에게 주어진 일탈을 할 것이라는 역할기대에 대하여 일탈자가 어떻게 반을하고 그 역할에 동화해 나가는가를 단계적으로 밝히고자한다.
4. 판 단
①일탈자와 사회간의 상호작용을 지나치게 과장한다.
②일탈자의 주체적 특성을 소홀히 한다.
③화이트 칼라 범죄와 같은 지배계층의 범죄에 관대하게 된다.
④사회반작용에 중점을 둠으로써 일탈자에 대한 반교정주의로 나아가게 된다.
비판범죄학
1. 의 의
1960년대 중반에 나타난 또 하나의 새로운 경향은 마르크시즘을 바탕으로 범죄와 범죄통제의 문제를 개인적ㆍ교도적 차원에서 사회적ㆍ해방적 차원으로 옮기려는 시도이다.
(1)사회과학의 가치중립성을 거부하고 실증주의 및 자유주의의 패러다임과 결별하였다.
(2)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에 관심을 가지고 일탈의 문제도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에 대한 총 체적 해명으로 이해하였다.
(3)일탈 및 범죄문제의 해결에 현상유지와 개혁주의적 해결을 거부하고 전반적인 체계 변동 과 억압에 대한 투쟁에의 정치적 참여를 주장하였다.
2. 분 류
(1) 신범죄학
①일탈행위의 보다 광범위한 원인이나 일탈행동의 직접 원인에 대해 충분히 고려한다.
②실제 행동을 사회동태성의 견지에서 음미한다.
③사회반작용의 직접 원인이나 일탈적 반작용의 보다 넓은 기원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④일탈자의 장래의 행동에 대한 사회적 반작용의 결과를 고려하고 전체로서의 일탈과정의 본질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지향하고 있으며, 범죄의 정치경제성과 사회심리 성을 중시하는 이론이다.
(2) 급진범죄학
자유주의 범죄학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는데, 종래의 범죄학은 개혁주의를 이념으로 하면서 정치적으로 조직된 권위있는 기관들에 의해 정해진 범죄의 정의를 무조건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고, 거시적 이론구성이나 역사적 분석을 게을리하고 행위주의ㆍ실용주의ㆍ사회공학을 강조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범죄의 본질을 꿰뚫기 위한 역사적 고찰과 경제적 조건의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3) 신비판범죄학
①개인에게 초점을 맞춘 범죄원인론에 회의를 던진다.
②범죄를 다루는 기관들의 활동에 대해 그 배후에 있는 진정한 동기를 묻고자 하였다.
③형법의 정당성 자체를 의문시 하였다.
④범죄통계에 관해 공식통계의 신빙성을 분제삼아 암수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3. 결 어
비판범죄학은 종래의 추상적 경험주의나 자유주의의 토대를 벗어나 사회구조 자체의 문제에 눈을 돌리게 한 점에 그 의의가 있지만, 서구 국가들의 경제적 위기 등으로 국가의 정치권력이 가지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현실이나 범죄나 비행이 사회구조의 문제만으로 돌릴 수 없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는 등의 이유로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다
(4)일탈행위의 분석방법으로 공식통계에 나타나는 허점을 지적하고 자기보고나 참여적 관찰 에 의한 보충을 구한다.
(5)일탈을 행위의 차원에서 분석하지 않고 사회와 일탈자의 상호작용의 차원에서 분석하여 사회 구성원들로부터 일탈자에게 주어진 일탈을 할 것이라는 역할기대에 대하여 일탈자가 어떻게 반을하고 그 역할에 동화해 나가는가를 단계적으로 밝히고자한다.
4. 판 단
①일탈자와 사회간의 상호작용을 지나치게 과장한다.
②일탈자의 주체적 특성을 소홀히 한다.
③화이트 칼라 범죄와 같은 지배계층의 범죄에 관대하게 된다.
④사회반작용에 중점을 둠으로써 일탈자에 대한 반교정주의로 나아가게 된다.
비판범죄학
1. 의 의
1960년대 중반에 나타난 또 하나의 새로운 경향은 마르크시즘을 바탕으로 범죄와 범죄통제의 문제를 개인적ㆍ교도적 차원에서 사회적ㆍ해방적 차원으로 옮기려는 시도이다.
(1)사회과학의 가치중립성을 거부하고 실증주의 및 자유주의의 패러다임과 결별하였다.
(2)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에 관심을 가지고 일탈의 문제도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에 대한 총 체적 해명으로 이해하였다.
(3)일탈 및 범죄문제의 해결에 현상유지와 개혁주의적 해결을 거부하고 전반적인 체계 변동 과 억압에 대한 투쟁에의 정치적 참여를 주장하였다.
2. 분 류
(1) 신범죄학
①일탈행위의 보다 광범위한 원인이나 일탈행동의 직접 원인에 대해 충분히 고려한다.
②실제 행동을 사회동태성의 견지에서 음미한다.
③사회반작용의 직접 원인이나 일탈적 반작용의 보다 넓은 기원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④일탈자의 장래의 행동에 대한 사회적 반작용의 결과를 고려하고 전체로서의 일탈과정의 본질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을 지향하고 있으며, 범죄의 정치경제성과 사회심리 성을 중시하는 이론이다.
(2) 급진범죄학
자유주의 범죄학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는데, 종래의 범죄학은 개혁주의를 이념으로 하면서 정치적으로 조직된 권위있는 기관들에 의해 정해진 범죄의 정의를 무조건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고, 거시적 이론구성이나 역사적 분석을 게을리하고 행위주의ㆍ실용주의ㆍ사회공학을 강조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범죄의 본질을 꿰뚫기 위한 역사적 고찰과 경제적 조건의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3) 신비판범죄학
①개인에게 초점을 맞춘 범죄원인론에 회의를 던진다.
②범죄를 다루는 기관들의 활동에 대해 그 배후에 있는 진정한 동기를 묻고자 하였다.
③형법의 정당성 자체를 의문시 하였다.
④범죄통계에 관해 공식통계의 신빙성을 분제삼아 암수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3. 결 어
비판범죄학은 종래의 추상적 경험주의나 자유주의의 토대를 벗어나 사회구조 자체의 문제에 눈을 돌리게 한 점에 그 의의가 있지만, 서구 국가들의 경제적 위기 등으로 국가의 정치권력이 가지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현실이나 범죄나 비행이 사회구조의 문제만으로 돌릴 수 없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는 등의 이유로 새로운 도전을 받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