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Ⅱ-1.조선 전기 유학의 전개과정
Ⅱ-2. 관학적 교육사상
Ⅱ-2.1.관학의 개관
Ⅱ-2.2.정도전의 교육사상
Ⅱ-2.3.권근의 교육사상
Ⅱ.본론
Ⅱ-1.조선 전기 유학의 전개과정
Ⅱ-2. 관학적 교육사상
Ⅱ-2.1.관학의 개관
Ⅱ-2.2.정도전의 교육사상
Ⅱ-2.3.권근의 교육사상
본문내용
학자의 무리)->중앙정계진출->사림파형성(중종 중기에 정치세력으로서의 사림파라는 역사적 의미의 용어사용)
② 사림파의 성향
a. 사림파 형성의 흐름
-초기영남을 근거로 시작하여 기호지방으로 분포
(정몽주-길재(영남)-김숙현(영남)-김종직(영남)-김굉필(영남)-정여창(영남)-조광조(기호))
b. 사림의 학문적 동향
- 초기에 김종직, 정여창, 김굉필은 사장학과 경학을 불가분성으로 파악 했으나 후에 문하 들은 둘로 나누어지는 경향
- 김종직 문하(영남사림) 사장학+경학(위기지학)->수기지향
- 김굉필 문하(기호사림) 경학중시(치인지학)->치인지향
- 사림파의 입지가 어느 정도 다져진 후에는 경학(성리학) 탐구에 주력하는 세력으로 귀결
Ⅱ-2. 관학적 교육사상
Ⅱ-2.1.관학의 개관
1) 성균관(별칭 : 경학원, 태조, 1398) : 대학의 기원
교육목적 : 고급인재 양성과 유교보급
교육내용 : 강독(사서오경), 제술, 서법(해서, 행서, 초서)
- 사서 : 대학, 논어, 맹자, 중용
- 오경 :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
교육방법 : 강의, 토론, 반복, 연습 위주
입학자격
- 소과에 합격한자(생원, 진사)
- 생원, 진사만으로 유생의 정원이 부족한 경우
· 15세 이상의 사학의 학생으로 소학과 사서오경에 통한 자
· 문과생원, 진사의 향시 혹은 한성시에 합격한 자
· 유음의 적자로서 소학에 통한 자
· 조사(관리)로 입학을 지원한 자
· 경향 유학 우수자
특징
- 기숙제도(東西兩齊)
· 상제 : 생원, 진사로 입학한 유생(정규과정)
· 하제 : 사학에서 올라온 유생(升學)
경향(京鄕)의 유학(幼學)으로 입학한 유생(기제생)
- 유소제도 : 성균관 유생의 정부에 대한 탄핵 상소문을 올릴 수 있는 권한
· 공관 : 성균관을 퇴거
· 공제 : 기숙사에서 나와 출퇴근
· 권당 : 단식투쟁
- 학생자치권 인정 : 재회(학생총회), 당의(학생대표)
- 건축구조
· 문묘 : 공자님을 모시는 장소(1지역 1군데)
a) 대성전(본당) : 공자 b) 동서양무 : 공자의 제자들
· 명륜당 : 본당(강학장소, 강의실)
· 존경각 : 도서관
· 동서양재 : 기숙사
· 육일각 : 활쏘기
· 비천당 : 불교 금지하는 장소, 과거 시험 장소로 이용되기도 함
· 양현고 : 유생들에게 물자 공급 기관
cf) 고려 때 예종이 만든 양현고는 관학 진흥을 위한 장학재단
학령 : 학교 생활의 규칙(최초)
권학사목 : 권근이 소학 강조
향학사목 : 권근, 사학교사의 관학 채용, 아동을 강제로 관학에 옮기는 것 금지
구재학규 : 예조에서 성균관 학규로 작성, 과목의 진급과 학습할 과목 순서 결정
- 구재 : 대학, 논어, 맹자, 중용, 시, 서, 춘추, 예기, 주역
진학절목 : 예조, 교사의 취임, 전직, 학생의 근면, 결석에 대한 보충 규제
경외학교절목 : 예조, 전국학교에 적용시킨 학규, 교사채용, 교과목, 입학, 성적고사, 상벌 등
학교사목 : 교사와 학생에 관한 인사문제 규정
학교모범 : 이이, 학생수양에 관한 가장 상세
원점절목 : 유생, 성적, 점수로 평점
학교절목 : 조익, 신입생, 결석생, 장학제도, 서류, 학과, 자격에 관한 규제
제강절목 : 성균관 학생의 인원수 규정
평점제도 : 대통, 통, 약통, 조통 - 여기에 이르지 못하면 벌을 받는다.
2) 종학
왕족의 자제들, 즉 종친의 자녀들의 교육을 위하여 설립, 종부시 감독
세종 10년(1428)에 세워짐
성균관과 같이 경술과 문예를 주로 하였으며, 소학도 중요한 과목이었음
입학자격 : 15세 이상의 종친자제
종학→연산군 때 일단 폐지→중종
② 사림파의 성향
a. 사림파 형성의 흐름
-초기영남을 근거로 시작하여 기호지방으로 분포
(정몽주-길재(영남)-김숙현(영남)-김종직(영남)-김굉필(영남)-정여창(영남)-조광조(기호))
b. 사림의 학문적 동향
- 초기에 김종직, 정여창, 김굉필은 사장학과 경학을 불가분성으로 파악 했으나 후에 문하 들은 둘로 나누어지는 경향
- 김종직 문하(영남사림) 사장학+경학(위기지학)->수기지향
- 김굉필 문하(기호사림) 경학중시(치인지학)->치인지향
- 사림파의 입지가 어느 정도 다져진 후에는 경학(성리학) 탐구에 주력하는 세력으로 귀결
Ⅱ-2. 관학적 교육사상
Ⅱ-2.1.관학의 개관
1) 성균관(별칭 : 경학원, 태조, 1398) : 대학의 기원
교육목적 : 고급인재 양성과 유교보급
교육내용 : 강독(사서오경), 제술, 서법(해서, 행서, 초서)
- 사서 : 대학, 논어, 맹자, 중용
- 오경 :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
교육방법 : 강의, 토론, 반복, 연습 위주
입학자격
- 소과에 합격한자(생원, 진사)
- 생원, 진사만으로 유생의 정원이 부족한 경우
· 15세 이상의 사학의 학생으로 소학과 사서오경에 통한 자
· 문과생원, 진사의 향시 혹은 한성시에 합격한 자
· 유음의 적자로서 소학에 통한 자
· 조사(관리)로 입학을 지원한 자
· 경향 유학 우수자
특징
- 기숙제도(東西兩齊)
· 상제 : 생원, 진사로 입학한 유생(정규과정)
· 하제 : 사학에서 올라온 유생(升學)
경향(京鄕)의 유학(幼學)으로 입학한 유생(기제생)
- 유소제도 : 성균관 유생의 정부에 대한 탄핵 상소문을 올릴 수 있는 권한
· 공관 : 성균관을 퇴거
· 공제 : 기숙사에서 나와 출퇴근
· 권당 : 단식투쟁
- 학생자치권 인정 : 재회(학생총회), 당의(학생대표)
- 건축구조
· 문묘 : 공자님을 모시는 장소(1지역 1군데)
a) 대성전(본당) : 공자 b) 동서양무 : 공자의 제자들
· 명륜당 : 본당(강학장소, 강의실)
· 존경각 : 도서관
· 동서양재 : 기숙사
· 육일각 : 활쏘기
· 비천당 : 불교 금지하는 장소, 과거 시험 장소로 이용되기도 함
· 양현고 : 유생들에게 물자 공급 기관
cf) 고려 때 예종이 만든 양현고는 관학 진흥을 위한 장학재단
학령 : 학교 생활의 규칙(최초)
권학사목 : 권근이 소학 강조
향학사목 : 권근, 사학교사의 관학 채용, 아동을 강제로 관학에 옮기는 것 금지
구재학규 : 예조에서 성균관 학규로 작성, 과목의 진급과 학습할 과목 순서 결정
- 구재 : 대학, 논어, 맹자, 중용, 시, 서, 춘추, 예기, 주역
진학절목 : 예조, 교사의 취임, 전직, 학생의 근면, 결석에 대한 보충 규제
경외학교절목 : 예조, 전국학교에 적용시킨 학규, 교사채용, 교과목, 입학, 성적고사, 상벌 등
학교사목 : 교사와 학생에 관한 인사문제 규정
학교모범 : 이이, 학생수양에 관한 가장 상세
원점절목 : 유생, 성적, 점수로 평점
학교절목 : 조익, 신입생, 결석생, 장학제도, 서류, 학과, 자격에 관한 규제
제강절목 : 성균관 학생의 인원수 규정
평점제도 : 대통, 통, 약통, 조통 - 여기에 이르지 못하면 벌을 받는다.
2) 종학
왕족의 자제들, 즉 종친의 자녀들의 교육을 위하여 설립, 종부시 감독
세종 10년(1428)에 세워짐
성균관과 같이 경술과 문예를 주로 하였으며, 소학도 중요한 과목이었음
입학자격 : 15세 이상의 종친자제
종학→연산군 때 일단 폐지→중종
추천자료
유교문화권에서 중세적 사유의 변용과 근대적 전환
조선의 관학 - 4학
[역사학] 고려시대,조선시대의 관학과 사학 및 교육
[성리학][성리학 이념][고려말 성리학][조선시대 성리학][관학화][도학화]성리학의 기능, 성...
[향교][향교 운영][진잠향교][향교의 의미][향교의 유래][향교의 운영][향교의 교수관][향교...
고려시대교육 개요, 고려시대교육기관 관학 국자감, 고려시대교육기관 관학 학당, 고려시대교...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국자감,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학당, 고려시대 관학 교육기관 향교...
성리학(주자학)의 의미, 성리학(주자학)의 마음관, 성리학(주자학)의 관학화, 성리학(주자학)...
[성리학]성리학(주자학)의 개념, 성리학(주자학)의 역사, 성리학(주자학)의 교육사상, 성리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