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험목적
2. 시행용 기계 기구 및 재료
3. 시험방법 (세로인장시험)
4. 주의사항
5. 참고사항
6. 시험결과 및 시험 후 느낀 점
2. 시행용 기계 기구 및 재료
3. 시험방법 (세로인장시험)
4. 주의사항
5. 참고사항
6. 시험결과 및 시험 후 느낀 점
본문내용
호
체의 크기(mm)
체를 통과하는 무게 백분율
100
90
80
65
50
40
25
20
13
10
5
2.5
1.2
357
50~5
100
95~100
0~ 15
10~30
0~5
4
40~20
100
90~100
35~70
0~ 15
0~5
467
40~5
100
95~100
20~55
35~70
10~
30
0~5
57
25~5
100
25~60
0~ 10
0~5
67
20~5
95~100
95~100
25~ 60
0~ 10
0~5
7
15~5
100
100
90~100
40~
70
0~
15
0~5
8
10~2.5
100
85~
100
10~30
0~10
0~5
-굵은 골재의 입도-
③ 체눈에 낀 입자는 분쇄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다시 빼고, 체에 걸린 시료로 간주한다. 체가름을 끝낸 후에 각체에 걸리는 시료의 무게를 저울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5. 참고사항
① 시험일
② 시험자
③ 온도, 습도
④ 시료의 채취장소, 날짜
⑤ 각 체에 남는 양의 누계
⑥ 각 체에 남는 양, 통과량
⑦ 접시, 합계, 최대치수
⑧ 조립률 ⑨ 체가름 곡선
※ 3조 시험 결과
체크기(mm)
각 체에 남은 양의 누계
각 체에 남은 양
통과량
(g)
(%)
(g)
(%)
(%)
10mm
0.2
0.04
0.2
0.04
100
5 (No.4)
0.3
0.06
0.1
0.02
100
2.5 (No. 8)
17.8
3.55
17.5
3.5
96
1.2 (No.16)
83.9
16.74
66.1
13.19
83
0.6 (No.30)
231.5
46.18
147.6
29.44
54
0.3(No. 50)
405.9
80.97
174.4
34.78
19
0.15(No.100)
495.5
98.84
89.6
17.87
1
팬 (접시)
501.3
100
5.8
1.16
0
계
501.3
100
501.3
100
조립율
246.38/100
= 2.46
※ 시험한 골재 체가름 입도 곡선
6. 시험결과 및 시험 후 느낀 점
①실험에 필요한 시료 500g 으로 실험하였고 각 체에 남은 총 시료의 합이 501.3.g 으로 나왔다. 시료가 없을 때 체의 무게가 각 체마다의 무게가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체의 작은 틈으로 빠져나오지 못한 시료가 끼여 있었거나 체의 무게가 정확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체가름 실험을 하면서 조금의 먼지와 각 체마다 다 빠져나오지 못한 시료가 있을 텐데 무게가 적게 나온 것은 체의 무게 측정에 오차가 있었다고 확신한다.
②골재의 조립율은 골재의 크기가 작을수록 작고 골재의 크기가 클수록 커진다.
③“표준입도곡선도” 에서 0.15mm의 시료의 통과량이 표준입도곡선 범위에 속하지 않았다.
*각체에 남는 양의 누계(g)/총무게(g) * 100 = 각 체에 남는 양의 누계(%)
따라서 0.15mm의 각체에 남은 양(g)작아야 각 체에 남은 양의 누계량이 작아지고 누계량(g)도 작아져 통과량이 표준입도곡선에 들어갈 수 있다. 결론은 실험시료가 굵어서 0.15mm의 체에 남은 량이 많고 시료의 입도가 작아야 통과량이 커서 표준입도곡선 범위에 들어갈 수 있다.
체의 크기(mm)
체를 통과하는 무게 백분율
100
90
80
65
50
40
25
20
13
10
5
2.5
1.2
357
50~5
100
95~100
0~ 15
10~30
0~5
4
40~20
100
90~100
35~70
0~ 15
0~5
467
40~5
100
95~100
20~55
35~70
10~
30
0~5
57
25~5
100
25~60
0~ 10
0~5
67
20~5
95~100
95~100
25~ 60
0~ 10
0~5
7
15~5
100
100
90~100
40~
70
0~
15
0~5
8
10~2.5
100
85~
100
10~30
0~10
0~5
-굵은 골재의 입도-
③ 체눈에 낀 입자는 분쇄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다시 빼고, 체에 걸린 시료로 간주한다. 체가름을 끝낸 후에 각체에 걸리는 시료의 무게를 저울을 이용하여 측정한다.
5. 참고사항
① 시험일
② 시험자
③ 온도, 습도
④ 시료의 채취장소, 날짜
⑤ 각 체에 남는 양의 누계
⑥ 각 체에 남는 양, 통과량
⑦ 접시, 합계, 최대치수
⑧ 조립률 ⑨ 체가름 곡선
※ 3조 시험 결과
체크기(mm)
각 체에 남은 양의 누계
각 체에 남은 양
통과량
(g)
(%)
(g)
(%)
(%)
10mm
0.2
0.04
0.2
0.04
100
5 (No.4)
0.3
0.06
0.1
0.02
100
2.5 (No. 8)
17.8
3.55
17.5
3.5
96
1.2 (No.16)
83.9
16.74
66.1
13.19
83
0.6 (No.30)
231.5
46.18
147.6
29.44
54
0.3(No. 50)
405.9
80.97
174.4
34.78
19
0.15(No.100)
495.5
98.84
89.6
17.87
1
팬 (접시)
501.3
100
5.8
1.16
0
계
501.3
100
501.3
100
조립율
246.38/100
= 2.46
※ 시험한 골재 체가름 입도 곡선
6. 시험결과 및 시험 후 느낀 점
①실험에 필요한 시료 500g 으로 실험하였고 각 체에 남은 총 시료의 합이 501.3.g 으로 나왔다. 시료가 없을 때 체의 무게가 각 체마다의 무게가 조금씩 차이가 있었다. 체의 작은 틈으로 빠져나오지 못한 시료가 끼여 있었거나 체의 무게가 정확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체가름 실험을 하면서 조금의 먼지와 각 체마다 다 빠져나오지 못한 시료가 있을 텐데 무게가 적게 나온 것은 체의 무게 측정에 오차가 있었다고 확신한다.
②골재의 조립율은 골재의 크기가 작을수록 작고 골재의 크기가 클수록 커진다.
③“표준입도곡선도” 에서 0.15mm의 시료의 통과량이 표준입도곡선 범위에 속하지 않았다.
*각체에 남는 양의 누계(g)/총무게(g) * 100 = 각 체에 남는 양의 누계(%)
따라서 0.15mm의 각체에 남은 양(g)작아야 각 체에 남은 양의 누계량이 작아지고 누계량(g)도 작아져 통과량이 표준입도곡선에 들어갈 수 있다. 결론은 실험시료가 굵어서 0.15mm의 체에 남은 량이 많고 시료의 입도가 작아야 통과량이 커서 표준입도곡선 범위에 들어갈 수 있다.
추천자료
박막 재료의 표면처리 및 식각 실험
[재료과학] 금속 현미경 실험
재료의 경도실험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파악 인장실험
재료의 전기 화학적 성질 실험 보고서
재료공학 - 면저항 측정 실험
[Display 공학] TFT-LCD실험, AMOLED의 유기재료로 박막증착하여 특성비교 (PEDOT:PSS, PDY-132)
생물 - 현미경 및 실험용 초자류의 원리 및 조작 ( 실험목적, 실험원리, 실험 재료, 실험 방법 )
인장시험 기계공학 실험 역학 및 재료
기계공학실험 - 금속재료 실험
재료공정 실험 - BMG(Bulk Metallic Glass)에 관해서
콘크리트 재료 및 콘크리트 기본 실험 결과 정리
[실험 보고서] 재료의 충격 시험
샤르피 충격 실험 : 충격에 대한 저항 즉 시험편을 충격적으로 파단할 때 충격으로 인한 흡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