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험목적
2. 시험용 기구
3. 시험 방법
4. 결과계산
5. 해설 및 체크사항
6. 시험기록의 기재사항
7. 실험 결과 및 느낀 점
2. 시험용 기구
3. 시험 방법
4. 결과계산
5. 해설 및 체크사항
6. 시험기록의 기재사항
7. 실험 결과 및 느낀 점
본문내용
치는 요인
㉠ 공시체 측면의 영향
㉡ 재하방법의 영향
㉢ 재하속도의 영향
㉣ 공시체 건조의 영향
④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와의 관계 :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해 매우 작고, 강 도와의 비는 보통콘크리트에서는 1/9~1/13, 인공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는 1/9~1/15 범위이다.
6. 시험기록의 기재사항
① 공시체 번호
② 공시체 길이(cm)
③ 최대하중(kg)
④ 인장강도 (kgf/㎠)
⑤ 양생방법 및 양생온도
⑥ 공시체의 파괴 사항
⑦ 편심하중의 유무
⑧ 재령
⑨ 기타
7. 실험 결과 및 느낀 점
인장강도는 P/A로 단면적(A)=∏d/2*L = [3.14*10/4]*20 = 314
하중(P)=5,910kgf , 6,566kgf
①번 공시체 = 5,910/314 = 18.82kgf/cm²
②번 공시체 = 6,566/314 = 20.91kgf/cm²
*재령 7일 강도로 인장강도는 평균 19.865kgf/cm²으로 측정되었다.
*인장 강도 측정에서 하중은 공시체의 원주에 닫는 면이 정중앙이어야 하며, 다짐에 의한 콘크리트 속의 공극에 대해 강도는 달라진다. 다짐을 많이 했을 시 굵은 골재는 아래쪽에만 모여 있어 위쪽에서 파괴가 잘 일어날 것이다.
㉠ 공시체 측면의 영향
㉡ 재하방법의 영향
㉢ 재하속도의 영향
㉣ 공시체 건조의 영향
④ 콘크리트 압축강도와 인장강도와의 관계 :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해 매우 작고, 강 도와의 비는 보통콘크리트에서는 1/9~1/13, 인공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는 1/9~1/15 범위이다.
6. 시험기록의 기재사항
① 공시체 번호
② 공시체 길이(cm)
③ 최대하중(kg)
④ 인장강도 (kgf/㎠)
⑤ 양생방법 및 양생온도
⑥ 공시체의 파괴 사항
⑦ 편심하중의 유무
⑧ 재령
⑨ 기타
7. 실험 결과 및 느낀 점
인장강도는 P/A로 단면적(A)=∏d/2*L = [3.14*10/4]*20 = 314
하중(P)=5,910kgf , 6,566kgf
①번 공시체 = 5,910/314 = 18.82kgf/cm²
②번 공시체 = 6,566/314 = 20.91kgf/cm²
*재령 7일 강도로 인장강도는 평균 19.865kgf/cm²으로 측정되었다.
*인장 강도 측정에서 하중은 공시체의 원주에 닫는 면이 정중앙이어야 하며, 다짐에 의한 콘크리트 속의 공극에 대해 강도는 달라진다. 다짐을 많이 했을 시 굵은 골재는 아래쪽에만 모여 있어 위쪽에서 파괴가 잘 일어날 것이다.
추천자료
박막 재료의 표면처리 및 식각 실험
[재료과학] 금속 현미경 실험
재료의 경도실험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파악 인장실험
재료의 전기 화학적 성질 실험 보고서
재료공학 - 면저항 측정 실험
[Display 공학] TFT-LCD실험, AMOLED의 유기재료로 박막증착하여 특성비교 (PEDOT:PSS, PDY-132)
생물 - 현미경 및 실험용 초자류의 원리 및 조작 ( 실험목적, 실험원리, 실험 재료, 실험 방법 )
인장시험 기계공학 실험 역학 및 재료
기계공학실험 - 금속재료 실험
재료공정 실험 - BMG(Bulk Metallic Glass)에 관해서
콘크리트 재료 및 콘크리트 기본 실험 결과 정리
[실험 보고서] 재료의 충격 시험
샤르피 충격 실험 : 충격에 대한 저항 즉 시험편을 충격적으로 파단할 때 충격으로 인한 흡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