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재무장 빌미를 제공/ 돌발 상황 발생여부에 따라서 러시아 극동지역 안보를 훼손하는 중대한 안보적 위협으로 작용)
2.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은 러시아 국가발전의 저해요인
-안보 이익적 측면에서 개입할 수도, 안 할 수도 없는 전략적 딜레마를 야기시킴
(북한을 포기하지 않는 한 미국과의 관계악화가 필연적으로 수반/ 북한체제 위기에 따른 탈북 난민의 극동지역 유입은 러시아에 적지 않은 정치적 부담/ 북한 영변지하 핵 시설에 대한 미국의 제한 폭격시 심각한 방사능 낙진 우려)
-경제적 측면에서 한반도에서의 분쟁은 러시아가 최근 국가적 명운을 걸고 추진 중인 두 개의 중요한 국책사업, 즉 시베리아 가스전 및 사할린 석유 파이프라인 건설과 TSR-TKR 연결사업에도 심각한 지장을 초래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갈등은 러시아 국익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로슈코프 외무차관의 지적처럼, 북핵 위기에 따른 한반도에서의 무력충돌은 러시아에게 한마디로 재앙이자 백해무익한 최악의 시나리오임
(3).기본역할
1.6자회담을 통한 평화적 및 외교적 방법 모색
2.미국의 일방적인 북한 압박정책에 대한 일종의 견제자 역할
3.대 북한 에너지 원조카드를 통한 영향력 행사 가능성
2.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은 러시아 국가발전의 저해요인
-안보 이익적 측면에서 개입할 수도, 안 할 수도 없는 전략적 딜레마를 야기시킴
(북한을 포기하지 않는 한 미국과의 관계악화가 필연적으로 수반/ 북한체제 위기에 따른 탈북 난민의 극동지역 유입은 러시아에 적지 않은 정치적 부담/ 북한 영변지하 핵 시설에 대한 미국의 제한 폭격시 심각한 방사능 낙진 우려)
-경제적 측면에서 한반도에서의 분쟁은 러시아가 최근 국가적 명운을 걸고 추진 중인 두 개의 중요한 국책사업, 즉 시베리아 가스전 및 사할린 석유 파이프라인 건설과 TSR-TKR 연결사업에도 심각한 지장을 초래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갈등은 러시아 국익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로슈코프 외무차관의 지적처럼, 북핵 위기에 따른 한반도에서의 무력충돌은 러시아에게 한마디로 재앙이자 백해무익한 최악의 시나리오임
(3).기본역할
1.6자회담을 통한 평화적 및 외교적 방법 모색
2.미국의 일방적인 북한 압박정책에 대한 일종의 견제자 역할
3.대 북한 에너지 원조카드를 통한 영향력 행사 가능성
추천자료
[사회과학]냉전종식이후 동북아 국제질서의 특징에 관하여
[북한학]동북아 안보와 북핵문제 해결방안
미국과 중국 주도의 동북아 질서 재편과정에서 한국의 대외정책 전망
[경제통합이론]경제통합의 유형분류, 경제통합이론, 아시아와 동북아지역의 경제통합, 유라시...
[환경정책론] 동북아 환경문제
남한, 북한 통일과 동북아 정세, 내부적, 외부적 인식, 미국의 시각, 미국의 천안함 인식, 미...
과거 미국 부시 행정부의 동북아 중시정책 검토
대리인체제와 협력체제(협력관계), 동북아 지역안보 협력체제(협력관계), 일본과학교육, 호주...
[아시아][동북아시아][동남아시아][아시아태평양][아태][중앙아시아][동북아]동북아시아, 동...
[국제경제] 다자안보와 동북아 공동체ppt
세상읽기와논술_아래 주제에 대해 논술하시오 사드배치와 동북아 평화
[세상읽기와논술 B형] 사드배치와 동북아 평화
[세상읽기와논술-B형] 사드배치와 동북아 평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