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DYSPNEA & HYPOXEMIA>
DYSPNEA
<정의>
<호흡곤란과 관련된 자세에 따른 용어>
<기간에 의한 분류>
<Pathophysiology>
HYPOXEMIA
<정의>
<병태생리학적 호흡 부전 분류>
DYSPNEA
<정의>
<호흡곤란과 관련된 자세에 따른 용어>
<기간에 의한 분류>
<Pathophysiology>
HYPOXEMIA
<정의>
<병태생리학적 호흡 부전 분류>
본문내용
전시킴.
비침습적 양압환기 : 얼굴, 코에 맞는 마스크와 인공 호흡기 이용
C/I : 혈역학적 불안정하거나 기도방해 능력 없는 환자, 호흡 정지 환자
type III 호흡부전
원인 : 무기폐 - 수술 전후 기간동안 흔히 생김
- 전신마취 후에 기능잔기용량 감소는 등쪽 폐 단위에 허탈 초래
치료 : 잦은 체위 변화, 흉곽 물리요법, 똑바른 자세, 절개, 복부 통증에 대한 적극적 대응
비침습적 양압환기 : 국소적 무기폐 회복
type IV 호흡부전
원인 : 쇼크 환자에서 호흡 근육의 관류 저하
- 폐부종, 젖산 혈증, 빈혈로 호흡곤란, 심박출량 40%까지 호흡근육에 할당
(정상: 5%미만)
치료 : 쇼크 치료 동안, 기도삽관을 통한 기계 환기
- 호흡 근육에 소모되는 심박출량을 중요 장기로 재분배.
비침습적 양압환기 : 얼굴, 코에 맞는 마스크와 인공 호흡기 이용
C/I : 혈역학적 불안정하거나 기도방해 능력 없는 환자, 호흡 정지 환자
type III 호흡부전
원인 : 무기폐 - 수술 전후 기간동안 흔히 생김
- 전신마취 후에 기능잔기용량 감소는 등쪽 폐 단위에 허탈 초래
치료 : 잦은 체위 변화, 흉곽 물리요법, 똑바른 자세, 절개, 복부 통증에 대한 적극적 대응
비침습적 양압환기 : 국소적 무기폐 회복
type IV 호흡부전
원인 : 쇼크 환자에서 호흡 근육의 관류 저하
- 폐부종, 젖산 혈증, 빈혈로 호흡곤란, 심박출량 40%까지 호흡근육에 할당
(정상: 5%미만)
치료 : 쇼크 치료 동안, 기도삽관을 통한 기계 환기
- 호흡 근육에 소모되는 심박출량을 중요 장기로 재분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