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발전을위한정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회하고 시민의 지혜
를 다시 모아야 한다. 교통정책수립와 대구의 장기발전전략수립에 있어서 근본적인 발상
의 전환이 있어야 한다.
독단적인 의사결정이 어떠한 문제를 파생시키는지 다시금 성찰해야 한다. 시민들과 시민
단체들의 의견수렴, 전문가들의 의견수렴 과정이라도 내실있게 거쳤더라면 이러한 상황
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경제적 손실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다. 시민의 생활에 영
향을 미치는 주요한 의사결정의 독점을 스스로 깨야 한다. 요식을 버려야 한다.
마지막으로 두가지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대구시의 변화, 우리 사회의 성숙을 기대해본다.
1988년 유럽의회가 제정한 ‘유럽 보행자 권리 헌장’의 일부를 소개하고자 한다.
“보행자는 보행자만이 사용할 수 있는 넓은 보행공간을 가질 권리가 있고, 도시 전체와
조화를 이루며 서로 안전하게 연결되어 있는 도로를 가질 권리가 있다.”
또 하나는 브라이네스와 딘이 쓴 “보행자 혁명”이라는 책에 실린 보행자 헌장의 일부이다.
“도시는 보행자를 해쳐서는 안된다.
도로는 모든 사람들의 것이며 자동차의 통행과 주차만을 위한 곳으로 빼앗겨서는 안된다.”
레포트를 마치며
집이 대구는 아니지만 같은 경상도 땅에 살면서 경상북도의 중심인 대구에 무엇이 문제가 있는지는 알아야 된다고 생각했다.
알게 모르게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교통·토지·주택·소방난 여러 가지가 있었다. 깊은 생각은 아니지만 몇 가지를 적어보았다.
평소 정치·행정은 조금은 관심이 있었지만 이번 계기로 지역의 발전이 무엇 때문에 필요한가를 깨달은거 같고, 몰랐던 부분을 배운 것 같아서 기분이 좋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3.14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3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