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정숙한 여성과 매춘여성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하고 있으며, 결혼도 할 수 없다는 심각한 심리적 좌절감을 갖게 된다. 따라서 순결상실의 문제는 피해여성의 직면하는 가장 심각한 문제로서 모든 후유증의 주축을 이루고 있다.
친족성폭력 피해자에게 상실감은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그 하나는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천진난만한 행복한 순간들을 잃어 버렸다는 회한과 부모에게서 버림받았다는 절망감이다. 또 하나는 성폭력의 의미를 성관계를 하였다는 의식에서 출발한 순결상실감이다. 그러나 전자 역시 그것이 성관계를 통한 순결상실로 매개되기 때문에 피해자들의 순결상실에 대한 의식은 피해자의 피해내용 전체를 상징하는 것이라 간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순결상실감에서 비롯되는 혐오감, 죄책감, 열등감, 낮은 자존감, 좌절감, 고립감, 소외감 등의 후유증이 총체적 증상인 우울증으로 나타날 만큼 우리사회의 순결에 대한 왜곡된 통념은 모든 피해여성을 지배한다.
성폭력 피해자의 호소에서도 알 수 있듯이 피해자들을 가장 주눅들게 하고 자신 없게 하는 걸림돌이 순결문제이다. 순결의 문제는 이후 결혼관계에 있어서도 남편에게 알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대등한 관계설정을 어렵게 한다.
친족성폭력 피해자에게 상실감은 커다란 의미를 지닌다. 그 하나는 어린 시절 아버지로부터 천진난만한 행복한 순간들을 잃어 버렸다는 회한과 부모에게서 버림받았다는 절망감이다. 또 하나는 성폭력의 의미를 성관계를 하였다는 의식에서 출발한 순결상실감이다. 그러나 전자 역시 그것이 성관계를 통한 순결상실로 매개되기 때문에 피해자들의 순결상실에 대한 의식은 피해자의 피해내용 전체를 상징하는 것이라 간주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순결상실감에서 비롯되는 혐오감, 죄책감, 열등감, 낮은 자존감, 좌절감, 고립감, 소외감 등의 후유증이 총체적 증상인 우울증으로 나타날 만큼 우리사회의 순결에 대한 왜곡된 통념은 모든 피해여성을 지배한다.
성폭력 피해자의 호소에서도 알 수 있듯이 피해자들을 가장 주눅들게 하고 자신 없게 하는 걸림돌이 순결문제이다. 순결의 문제는 이후 결혼관계에 있어서도 남편에게 알려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대등한 관계설정을 어렵게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