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료 시대 태학과 경당의 교육적 의의와 나의 견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구료 시대 태학과 경당의 교육적 의의와 나의 견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고구려시대교육
1.태학(太學)
(1)설립시기와 배경
(2)교육내용과 성격
(3)교육사적 의의
2.경당
(1)경당의 설립배경
(2) 경당의 설립 시기
(3)교육적 특징과 내용
(4)교육사적 의의
3.태학과 경당의 비교
4.견해

본문내용

은 경전교육+무술교육+체육교육을 배운다. 교육의의는 태학은 최초의 형식적 교육기관, 고구려 최초의 국립고등교육기관, 교육을 통한 유능한 인재를 양성해 정치적 국가발전을 이루고자 하였으며 경당은 최초의 민간단체인 사립초등교육,심신단련,극기정신배양,교육의 대중화를 들 수 있다.
4.견해
이제 우리는 고구려가 '거리마다' 경당을 지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통해 교훈을 얻어야 한다. 근래 들어 우리나라에는 경제적 논리에 입각하여 소규모 학교를 통폐합하는 바람이 불고 있다. 인건비, 유지비 등을 감안할 때 소규모학교를 유지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는 경제논리가 교육정책을 지배하고 있는 결과이다. 그러나 교육은 어디까지나 학생의 입장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승용차를 타고가는 어른이 볼 때는 그리 멀지 않은 거리도 어린아이의 입장에서는 까마득하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학교 가는 길이 고통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고구려가 왜 경당을 거리마다 세웠을 것인가. 학교가 많으면, 집 근처에 학교가 있어 즐겁게 등·하교를 하는 아이들이 많아지면 사회가 원숙하게 통합된다는 진리를 고구려 사람들은 이미 장수왕 때부터 꿰뚫어 통찰하고 있었던 것이다.
집 근처의 학교에서 문무(독서와 활쏘기)를 두루 습득한 학생들이 많아질 때 어찌 우리 사회공동체가 발전을 거듭하지 않을 것인가. 그런 점에서 요즘 시대의 학원은 고구려의 경당에 해당된다고 할 만하다. 따라서, 학원 종사자들은 국가교육의 한몫을 담당하고 있다는 책임감과 자부심을 가져야 하고, 국가는 마땅히 이들 현대판 경당들을 행정적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또 감독해야 마땅하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3.1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0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