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Data
(1) 전기 분해 전의 철판의 무게 :
(2) 전기 분해 후의 철판의 무게 :
(3) 전기 분해 전의 아연판의 무게 :
(4) 전기 분해 후의 아연판의 무게 :
2. 결과 도출
1. 철판과 아연판의 무게변화와 실험에서 석출된 금속 량
(1) 전기 분해 전의 철판의 무게 :
(2) 전기 분해 후의 철판의 무게 :
(3) 전기 분해 전의 아연판의 무게 :
(4) 전기 분해 후의 아연판의 무게 :
(5) 석출된 아연의 무게 :
(6) 감소된 아연판의 무게 :
2. 전압과 전류의 변화
3. 시간에 따르는 전류의 변화를 그래프로 그리시오.
4. 전기 분해할 때 두 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반응식으로 쓰시오.
5. 실험 (1)에서 석출된 금속과 감소된 금속의 무게를 사용하여 흐른 전기량을 따 로따로 계산하고 비교하여 보시오.
석출된 금속의 전기량
감소된 금속의 전기량
▶ 석출된 아연의 암페어 수의 실제 측정값과 이론값의 비교
◉ 전류의 암페어 수로부터 측정한 전기량
단계 1
단계 2
단계 3
단계 4
▶ 석출된 아연의 질량의 실제 측정값과 이론값의 비교
3. 고찰
4. 참고문헌
(1) 전기 분해 전의 철판의 무게 :
(2) 전기 분해 후의 철판의 무게 :
(3) 전기 분해 전의 아연판의 무게 :
(4) 전기 분해 후의 아연판의 무게 :
2. 결과 도출
1. 철판과 아연판의 무게변화와 실험에서 석출된 금속 량
(1) 전기 분해 전의 철판의 무게 :
(2) 전기 분해 후의 철판의 무게 :
(3) 전기 분해 전의 아연판의 무게 :
(4) 전기 분해 후의 아연판의 무게 :
(5) 석출된 아연의 무게 :
(6) 감소된 아연판의 무게 :
2. 전압과 전류의 변화
3. 시간에 따르는 전류의 변화를 그래프로 그리시오.
4. 전기 분해할 때 두 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반응식으로 쓰시오.
5. 실험 (1)에서 석출된 금속과 감소된 금속의 무게를 사용하여 흐른 전기량을 따 로따로 계산하고 비교하여 보시오.
석출된 금속의 전기량
감소된 금속의 전기량
▶ 석출된 아연의 암페어 수의 실제 측정값과 이론값의 비교
◉ 전류의 암페어 수로부터 측정한 전기량
단계 1
단계 2
단계 3
단계 4
▶ 석출된 아연의 질량의 실제 측정값과 이론값의 비교
3. 고찰
4. 참고문헌
본문내용
: 매초 당 흐른 1 쿨롱의 전하.
☞
→
☞ 석출된 아연의 암페어 수 :
감소된 아연의 암페어 수 :
◎ 석출된 아연의 쿨롱 수와 감소된 아연의 암페어 수가 차이가 나는 이유
→ 전기분해에 사용된 용액 속에 녹아있던 아연이온도 아연으로 석출되었기 때문에 총 석출된 아연의 양은 용액 속에 녹아 있다가 석출된 아연의 양과 아연판에서 옮겨진 아연의 양을 합친 값이다. 따라서 석출된 아연의 암페어 수가 감소된 아연의 암페어 수 보다 높게 나온다.
▶ 석출된 아연의 암페어 수의 실제 측정값과 이론값의 비교
실제 측정값 :
이론값 :
★ 오차의 원인 → 고찰
전류의 암페어 수로부터 측정한 전기량
단계 1
전하의 쿨롱 수 = 암페어 수() 초 수(s) =
=
=
단계 2
1mol의 전자는 패러데이(96486 쿨롱)의 전하를 운반하기 때문에 의 전 하를 운반하는데 필요한 전자의 몰 수를 계산할 수 있다.
★ 석출된 아연의 이론값
단계 3
각 이온이 아연 원자가 되는 데에는 두 개의 전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자 1mol당 금속 아연 1/2mol이 생성된다.
단계 4
이제 환원 전극에 석출된 금속 아연의 몰 수를 알기 때문에 생성된 아연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
▶ 석출된 아연의 질량의 실제 측정값과 이론값의 비교
실제 측정값 : 0.0978 g
이론값 : 0.0857 g
★ 오차의 원인 → 고찰
3. 고찰
이번 실험은 전기를 사용하는 실험이라서 조금 무서웠다. 하지만 책에서만 보던 금속의 석출장면을 직접 눈으로 보게 된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고 신기해서 실험에 집중하기 쉬웠다. 이번 실험에서 오차의 원인으로는 철판과 아연판의 무게를 잴 때 핀셋을 이용하지 않고 손을 직접 이용하여 무게를 재었기 때문에 손의 기름이나 땀이 철판과 아연판에 묻어 밀리그램의 소수점까지 측정되는 저울의 측정값에 영향을 주어 오차가 생겼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Fe판에 석출된 금속이 무게를 재기위해 꺼낼 때 용액 속으로 떨어져서 최대한 건져내긴 했지만 완벽하게 건져 낼 수가 없었기 때문에 정확한 아연의 석출량을 구할 수 없어서 오차가 더욱 커졌다. 그리고 전류와 전압을 잴 때 전류계와 전압계의 눈금을 사람의 눈짐작으로 잰 것이기 때문에 무게를 잴 때처럼 소수점단위까지 측정할 수 없었고 아주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가 없었던 점도 오차가 생긴 원인 중 하나였다.
4. 참고문헌
대학화학실험법 (단국대학교출판부)
☞
→
☞ 석출된 아연의 암페어 수 :
감소된 아연의 암페어 수 :
◎ 석출된 아연의 쿨롱 수와 감소된 아연의 암페어 수가 차이가 나는 이유
→ 전기분해에 사용된 용액 속에 녹아있던 아연이온도 아연으로 석출되었기 때문에 총 석출된 아연의 양은 용액 속에 녹아 있다가 석출된 아연의 양과 아연판에서 옮겨진 아연의 양을 합친 값이다. 따라서 석출된 아연의 암페어 수가 감소된 아연의 암페어 수 보다 높게 나온다.
▶ 석출된 아연의 암페어 수의 실제 측정값과 이론값의 비교
실제 측정값 :
이론값 :
★ 오차의 원인 → 고찰
전류의 암페어 수로부터 측정한 전기량
단계 1
전하의 쿨롱 수 = 암페어 수() 초 수(s) =
=
=
단계 2
1mol의 전자는 패러데이(96486 쿨롱)의 전하를 운반하기 때문에 의 전 하를 운반하는데 필요한 전자의 몰 수를 계산할 수 있다.
★ 석출된 아연의 이론값
단계 3
각 이온이 아연 원자가 되는 데에는 두 개의 전자가 필요하다. 따라서 전자 1mol당 금속 아연 1/2mol이 생성된다.
단계 4
이제 환원 전극에 석출된 금속 아연의 몰 수를 알기 때문에 생성된 아연의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
▶ 석출된 아연의 질량의 실제 측정값과 이론값의 비교
실제 측정값 : 0.0978 g
이론값 : 0.0857 g
★ 오차의 원인 → 고찰
3. 고찰
이번 실험은 전기를 사용하는 실험이라서 조금 무서웠다. 하지만 책에서만 보던 금속의 석출장면을 직접 눈으로 보게 된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고 신기해서 실험에 집중하기 쉬웠다. 이번 실험에서 오차의 원인으로는 철판과 아연판의 무게를 잴 때 핀셋을 이용하지 않고 손을 직접 이용하여 무게를 재었기 때문에 손의 기름이나 땀이 철판과 아연판에 묻어 밀리그램의 소수점까지 측정되는 저울의 측정값에 영향을 주어 오차가 생겼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Fe판에 석출된 금속이 무게를 재기위해 꺼낼 때 용액 속으로 떨어져서 최대한 건져내긴 했지만 완벽하게 건져 낼 수가 없었기 때문에 정확한 아연의 석출량을 구할 수 없어서 오차가 더욱 커졌다. 그리고 전류와 전압을 잴 때 전류계와 전압계의 눈금을 사람의 눈짐작으로 잰 것이기 때문에 무게를 잴 때처럼 소수점단위까지 측정할 수 없었고 아주 정확한 값을 측정할 수가 없었던 점도 오차가 생긴 원인 중 하나였다.
4. 참고문헌
대학화학실험법 (단국대학교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