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분해조립순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을 끼워서 피스톤의 열팽창량을 억제한 피스톤이다.피스톤-실린더 조립간극을 작 게하여 소음을 줄일수 있는 장점이 있고 강성이 좋아 DOHC엔진 개발초기에는 많이 사용 되었으나, 최근에는 중량이 무거워서 채용이 감소하고 있다.
③슬리퍼 피스톤 (Slipper Piston) : 트러스트 힘을 받지 않는 핀 방향은 스커트를 형성하지 않고 잘라낸 피스톤으로서 경량화의 잇점 때문에 최근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④오프셋 피스톤 (Off-set Piston) : 피스톤 슬랩운동을 경감시키기 위해 피스톤 핀 중심위 치를 피스톤 중심과 어긋나게 한 피스톤이다. 가솔린엔진용 피스톤은 모두 트러스트 방 향으로 편심시킨 오프셋 피스톤이 사용되고, 디젤엔진의 경우에는 카본이 피스톤 톱랜드 에 침입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부연소실과의 관계에 따라서 편심시키는 방향이 달라지며, 오프셋을 두지 않는 피스톤도 많다.
⑤스프릿 피스톤 (Split Piston) : 피스톤 상면에서의 열이 스커트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링 랜드와 스커트 사이에 가는 홈을 둔 피스톤이다.스커트 열팽창은 감소되나 강 성이 약해지는 단점이 있어 고출력 엔진에는 부적합하다.
⑥캠 연마 피스톤 (Cam Ground Piston) : 피스톤이 운전중에 열을 받으면 진원이 되도록 상온상태에서는 핀방향 직경을 트러스트 방향 직경보다 작게 가공한 타원형 피스톤으로서 대부분의 피스톤이 이렇게 가공되고 있다.
※ 피스톤 링
폭발로 발생한 열을 빨리 실린더보어로 전달하고, 폭발로 발생한 압력을 새지않도록 하고,윤활을 위한 오일이 연소실로 들어가서 소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 3가지이다. 또한 최근에는 연비향상을 위해 이러한 역할을 잘 수행하면서 마찰력을 될수록 작게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상반된 문제를 어떻게 고차원적으로 잘 성립시키는가 하는것이 설계상 중요하다.
폭발압력에 견디려면 강성이 필요하지만 너무 무거우면 고회전시 링 플러터링(Fluttering)이 생겨서 피스톤링 그루부가 심하게 손상되어 가스기밀을 하지 못하게되는 현상이 생겨버리므로 주의를 요한다. 또,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서 2번 압축링을 없애고 2-링 타입으로 하는 엔진도 등장했다. 마찰력 저감을 위해서는 장력을 줄여야 하는데 오일소모에 불리해지므로 링폭을 줄여서 장력을 줄여도 단위면적당 작용하는 면압은 동일하게 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다.
※ 커넥팅로드
커넥팅로드는 왕복운동을 하는 피스톤과 회전운동을 하는 크랭크축을 연결하는 부품으로서 폭발행정중 발생한 연소실에서 발생한 에너지를 크랭크축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여타의 행정에서도 피스톤을 상사점과 하사점으로 이동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커넥팅로드는 폭발행정중에 4~5톤의 힘을 받으며, 크랭크축에 의한 회전운동 때문에 분당 수천회나 운동 방향이 바뀐다. 또한, 피스톤과 연결된 소단부는 위쪽 방향 이동, 정지, 역방향 이동의 동작을 수천회 반복하게 된다. 뿐만아니라 냉열사이클이 반복적으로 작용되고 관성력에 의한 응력 또한 작용한다.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러한 응력과 온도변화가 지속되면 커넥팅로드의 대단부는 확장되게 되므로 정비 및 점검시 점검할 필요가 있다.
커넥팅로드의 재질로는 단조스틸, 주철이 일반적이지만, 강도면에서 유리한 단조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소형차에서는 생산성 및 원가면에서 유리한 주조품을 많이 사용한다.
과거부터 레이싱용으로는 강도 및 중량면에서 유리한 {티탄}재가 사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혼다의 NSX같은 양산차량에도 티탄 콘로드를 사용한다.
커넥팅로드의 구조로는 소단부, I 단면, 대단부로 크게 나뉘며 소단부에 부시가 있는 타입과 없는 타입의 2종류가 있다.
7) 캠축 및 로커암
캠축은 밸브가 흡기 및 배기 행정에서 각각 열거나 닫는 동작을 하도록 도와주는 부품이다. 캠프로파일에 의하여 밸브는 열리고 닫히는 시기와 기간이 결정된다. 캠축은 배전기, 오일펌프, 연료펌프와 같은 보기류를 같이 구동하는 경우도 많다.
대다수의 캠샤프트는 주철로 제작되며 캠노즈(Cam Nose)부분은 로커아암이나 밸브리프터와 강하게 부딪히므로 표면 경도를 높여야 하기 때문에 주조시에 칠(Chill)이라는 급속냉각법으로 미리 노즈부를 급냉하여 표면조직을 단단하게 한다.
과거에는 리프트 부분만을 칠(Chill)化했지만, 유압 리프트의 채용에 따라 베이스써클 (Base circle) 부도 로커아암이나 밸브리프터에 접촉하게 되어 캠노즈 전주에 걸쳐 처리한다.
8)오일 순환장치
9)오일팬
10) 오일여과장치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06.19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205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