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S(지능형 교통시스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사이트 개설이 지역 정보화의 모든 것을 가늠하는 척도라고는 볼 수는 없다고 하겠으나 정보화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교통문제는 시민생활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라는데 이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없을 것이다. 이렇듯 추진체계가 아직 교통정보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잦은 고장 등으로 인하여 활용도가 매우 저조하고 시내 요소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상황 안내전광판 역시 실시간 정보가 아닌 키보드로 직접 타이핑하여 문자정보 위주로 표출 운영하고 있으며 과속 방지카메라 또한 모양만 유지 할 뿐 운영상등의 문제점에 의해 도로의 빈 껍데기만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그나마 시내에 설치되어 있는 CCTV 시스템은 교통정보센터, 시교통국, 교통방송을 비롯한 각 방송국등에 모니터를 설치해 놓고 원거리에서 직접 상황을 파악 등 많이 활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나 연계성은 거의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또 다른 문제점을 야기 시키지 않으려면 기존의 시스템을 최대한 연계하여 활용하되 전체 밑바탕 시스템에 부담을 주지 말아야 하겠다. 즉, 기존의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하여 추가 투자를 함으로서 전체 시스템망이 새로 교체되는데 부담을 주는 문제가 없어야 하겠다.
결 론
정보화 사회로의 대두로 인한 이전의 사회와는 달리 사람들의 정보등의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강해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다른 것과 비교해서 우리 생활과 인접해 있으면서 여러 가지 많은
불편을 주고 있는 교통에 관해서도 사람들의 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점차 강해지고 있다. 교통문제는
시민생활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라는데 이의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없을 것이다. 만약 아침 출근길에 인터체인지 부근에서 동전을 던져 넣기 위해 기다리지 않고 통과 후 가정으로 고지서가 청구되고 버스를 무작정 기다리거나 버스의 꽁무니를 보며 허무한 시선을 보낼 필요 없이 전화 한통으로 버스의 정류장 도착시간을 알 수 있다면...... 이전의 말뿐인 버스 전용차로가 아닌 버스진행 방향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신호체계가 바뀐다면 그래서 답답한 지하철 보다 버스가 더욱 약속시간을 지켜준다면....... 졸음 운전으로 인한 앞차와의 추돌을 차량이 저절로 감지하거나 영화 “제 5원소”와 같이 수많은 비행자동차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는 시스템이 도입된다면...... 주행중인 도로 위에 어지럽게 달려있는 단속이나 조사를 위한 카메라들이 신호등 속으로 들어가서 확트인 도로를 달릴 수 있다면.......
혼잡한 시내나 지하 주차장에서 주차공간을 찾기 위해서 진입하였다가 주차공간이 없어서 빠져나가기 위해 애를 쓰지 않고 입구에서 혹은 차량 안에서 빈 주차공간을 미리 알 수 있다면..... 이러한 일들이 영화에서만 혹은 앞으로 개발해야 될 것들이 아니라 지금 주위에 사람들의 이러한 교통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만족 시켜 줄 수 있는 기술력이라는 조건이 갖추어져 있다면...... 그러나 위에서 말한 걸림돌들이 우리한테는 너무 높은 벽으로 느껴지고 있을 뿐이다. 이제는 그러한 벽을 허물 수 있는 작은 움직임이 필요 할 것이다.
인터넷선 하나로 우리나라는 엄청난 정보의 유통이 가능 해지고 새로운 산업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한 정보의 선이 도로에 깔린다면 도로 교통망 또한 인터넷 망과 같이 복잡하지만 시원한 도로를 가질 것이라고 생각 한다. 그러한 움직임 중 건설교통부에서는 1997년 9월에 「국가ITS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과천 ITS 시범사업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국도와 고속도로 교통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1998년도에는 제5회 ITS세계대회를 유치한바 있다. 그리고 ITS업무를 총괄적으로 담당하기 위하여 1996년 6월에는 “교통정보기획과”를 신설하는 등 교통정보화 업무를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과 더불어 추가적으로 활용도와 효과가 있을 것으로 검토될 수 있는 분야는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구축한 GIS를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버스정류장 이름 및 정류장 통과 노선을 쉽게 알려주기 위하여 GIS Map을 이용한 노선안내가 구축되어 앞으로 좀 더 보완한다면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이다. 이미 계명대에 외주용역으로 1999년도에 GIS기법을 적용하여 기본적인 대중교통관련 전자맵을 완성하고 대중교통정보시스템 구축하였다. 이를 좀더 보완발전시키는 것은 적은 예산을 투입하여도 교통관련 각종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 활용할 수 있다고 본다.
또한 활용도를 높여서 정보 활용 분위기를 확산하여야 한다. 만들어진 시설에 대한 활용도를 높이고 이용의 편이를 제공 해야지만 이전의 주먹구구식의 보여주기 위한 것들에 길들여진 시민들의 행동에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이다.
ITS는 이제 더 이상 넓어질 수 없는 국토에서 교통이라는 필수 불가결의 요소를 보다 저렴한 비용
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체재이다. 기름 한방울 나지 않는 나라에서 도로비를 내느라고
꽉 들어찬 도로에서 신호를 기다린다고 자원을 버리고 있는 것이다. 필요에 의해서 순간적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그런 해결방안은 더 큰 불편함으로 찾아 온다. 어느것이 먼저이고 어느것이 큰 쪽인가를
판단 할 수 있다면 우리는 지금 지능형 첨단 교통 시스템 ITS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로 관심과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도시와 교통의 이해, 이주호정만표이영우
- 대중교통노선의 합리적 조정방안에 대한 연구 보고서, 2004. 1, 부천시
- http://www.rotis.com/
- http://www.moct.go.kr/
- http://www.koti.re.kr/
- http://www.mits.co.kr/
- http://www.itskorea.or.kr
- http://www.hitelecom.co.kr/its
- http://www.iijnet.or.jp
- http://www.ertoco.com
- http://www.itsa.org
- http://www.csoo.kookmin.ac.kr/~fm
- http://www.seoul.npa.go.kr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0.03.1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