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장애인 여가의 의미
2. 장애인 여가의 중요성
3. 장애인의 여가활동을 제약하는
사회 환경요인
<본론>
1. 장애인의 현 실태
-현 등록 장애인 수
-여가의 실태
2. 장애인 여가 프로그램(스포츠 · 문화중심)
3. 장애인 스포츠 · 문화생활의 문제점
<결론>
1. 장애인 여가활동의 개선방향
2. 조원들의 생각
1. 장애인 여가의 의미
2. 장애인 여가의 중요성
3. 장애인의 여가활동을 제약하는
사회 환경요인
<본론>
1. 장애인의 현 실태
-현 등록 장애인 수
-여가의 실태
2. 장애인 여가 프로그램(스포츠 · 문화중심)
3. 장애인 스포츠 · 문화생활의 문제점
<결론>
1. 장애인 여가활동의 개선방향
2. 조원들의 생각
본문내용
2,500명 대상 실시 후 4편 선정
* 영화상영 : 장편 10편, 단편 17편 총 27편 / 14회 상영
효과
장애인을 포함하는 제작팀에 제작지원금을 지급하여 ‘사전제작지원’을 시작하여 장애인들의
영화제작욕구를 확대시켰다. 영화뿐만 아니라 근처를 나들이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 후 지방영화제 개최에 대한 욕구가 생겼다.
-제3회 영화제
총26편 / 총3,000여명 (청각, 시각, 지체, 정신지체 장애인과 일반인)
상영작 : 장편 13편, 단편 5편, 단편 애니 5편, 사전제작지원작 3편
효과
제2회 사전제작지원작이 완성되어 상영되었고, 이후 사전제작지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영화제 홍보 공연을 통하여 ‘장애인영화제’에 대해 일반인들에 많은 홍보를 할 수 있었다.
시설장애인들을 초청한 후 시설에서의 문의전화가 오는 것으로 미루어 장애인들의 문화접근에 큰 이바지를 할 수 있었다고 본다.
-제4회 영화제
총29편 / 총3,000여명 (청각, 시각, 지체, 정신지체 장애인과 일반인)
상영작 : 장편 16편, 단편 6편, 단편 애니 4편, 사전제작지원작 3편
효과
영화관람 기회가 전무한 장애인들에게 영화를 보고 즐길 기회를 제공하여 삶의 의욕을 증진시켰다. 장애 체험관을 통해 일반인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을 가져왔다.
장애인들의 영상물 제작 참여와 장애 소재 영화 제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장애 소재 영화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길거리 홍보공연을 통하여 일반인들에게 장애인영화제의 취지를 알리고, 장애인들의 영화 관람의 방법 등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제5회 영화제
총36편 / 총4,000여명 (청각, 시각, 지체, 정신지체 장애인과 일반인)
상영작 : 장편 19편, 단편 5, 단편 애니 8편, 사전제작지원작 4편
효과
전야제 공연을 통해 일반인들에게 아직 낯선 장애인영화제 홍보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장애인에게도 작은 콘서트를 관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작년에 비해 사전제작지원에 응시하는 작품의 숫자도 늘고 작품의 질도 늘어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이나 장애인들도 장애인영화제에 관심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평상시 한국영화 관람이 어려운 장애인들이 영화제에서 제공하는 보조기기(FM보청기, 화면 해설기, 자막 등)을 이용하여 영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영화 관람하러 극장을 방문하여 갤러리에나 가야 볼 수 있는 미술 작품들을 손으로 직접 만지며 감상하고 작가들이 직접 작품 설명하여 이해하기 훨씬 좋았으며 작품을 감상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1회에서부터 5회까지의 영화제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장애인영화제는 이제 더 이상 장애인들만의 행사가 아닌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의 화합의 장이 되었고 또한 일상생활에서 영화라는 비장애인에게는 쉽지만 장애인에게는 쉽게 자주 접하기 어려운 부분을 당연히 누려야할 권리로써 인식함으로써 장애인의 문화생활과 여가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되어진다.
3. 장애인 스포츠 문화생활의 문제점
장애인의 스포츠 및 문화활동에 있어서 장애인들의 여가와 스포츠활동을 위한 사회, 문화생활시설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지역사회간 자원의 편중도 심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여가 및 스포츠활동에 대한 국가적 노력이나 사회의 의식구조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의 여가와 스포츠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과 장애인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는 서비스공간의 확충 및 서비스전달체계의 확보가 마련되어야 한다.
Ⅲ. 결론
1. 장애인 스포츠 문화활동의 개선방향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여가 및 스포츠 활동에 완전하고 평등하게 참여 할 수 있도록 공공시설의 편의시설과 정보 등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 대중교통수단을 정비하여야 하며, 그 활동을 지원하는 시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시행해야 할 것이다.
② 국가는 장애인체육시설과 문화 활동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발전을 위해 장애인체육전담기구와 장애인문화전담기구를 따로 설치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해야 할 것이다.
③ 국가는 문화소외 되어있는 청소년 장애인과 여성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여가 및 스포츠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운영하는 전문기구를 설치해야 할 것이다.
④교육기관은 장애인의 문화소외를 예방하고 여가 및 스포츠활동을 정상화하기 위해 일선 교육현장의 교육과정에 자격 있는 예체능 전담교사를 배치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예능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⑤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들의 여가 및 스포츠활동공간을 확충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관, 지방문화원, 스포츠문화 등에서 일정비율의 장애인프로그램을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감독해야 할 것이다.
⑥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내의 여가 및 스포츠활동의 수요를 측정하여 지역사회중심의 차별화된 장애인 문화 및 스포츠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보급할 것과 인접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프로그램의 지역 간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전달체계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⑦ 대중시설은 일반 정보자료에 장애인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내용에 접근 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장애인이 다른 사람과 동등한 여가 및 스포츠활동 기회를 가지도록 보장하여야 한다.
⑧언론매체는 프로그램의 일정비율을 할애하여 가정과 지역사회에 장애인의 여가 및 스포츠 활동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의 여가 및 스포츠활동의 기능을 강화하고 장애인에 대한 일반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대중교육과 인식 계몽운동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⑨ 장애인의 여가, 스포츠 활동에 있어서의 의사결정에 장애인들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2.조원들 생각
참고 문헌
최영하, “놀이의 本質과 機能”, 精神遲滯兒의 놀이지도, 형설출판사, 1996 pp 15~41.
이종문, “최신 레크레이션교실 上下”, 국일문학사, 1994.
한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과정 문상민, '정치경제적 관점에서의 장애의 개념' 중에서
http://www.jeongnip.or.kr/
http://www.pdff.net/
* 영화상영 : 장편 10편, 단편 17편 총 27편 / 14회 상영
효과
장애인을 포함하는 제작팀에 제작지원금을 지급하여 ‘사전제작지원’을 시작하여 장애인들의
영화제작욕구를 확대시켰다. 영화뿐만 아니라 근처를 나들이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 후 지방영화제 개최에 대한 욕구가 생겼다.
-제3회 영화제
총26편 / 총3,000여명 (청각, 시각, 지체, 정신지체 장애인과 일반인)
상영작 : 장편 13편, 단편 5편, 단편 애니 5편, 사전제작지원작 3편
효과
제2회 사전제작지원작이 완성되어 상영되었고, 이후 사전제작지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영화제 홍보 공연을 통하여 ‘장애인영화제’에 대해 일반인들에 많은 홍보를 할 수 있었다.
시설장애인들을 초청한 후 시설에서의 문의전화가 오는 것으로 미루어 장애인들의 문화접근에 큰 이바지를 할 수 있었다고 본다.
-제4회 영화제
총29편 / 총3,000여명 (청각, 시각, 지체, 정신지체 장애인과 일반인)
상영작 : 장편 16편, 단편 6편, 단편 애니 4편, 사전제작지원작 3편
효과
영화관람 기회가 전무한 장애인들에게 영화를 보고 즐길 기회를 제공하여 삶의 의욕을 증진시켰다. 장애 체험관을 통해 일반인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 개선을 가져왔다.
장애인들의 영상물 제작 참여와 장애 소재 영화 제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장애 소재 영화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높아졌다. 길거리 홍보공연을 통하여 일반인들에게 장애인영화제의 취지를 알리고, 장애인들의 영화 관람의 방법 등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제5회 영화제
총36편 / 총4,000여명 (청각, 시각, 지체, 정신지체 장애인과 일반인)
상영작 : 장편 19편, 단편 5, 단편 애니 8편, 사전제작지원작 4편
효과
전야제 공연을 통해 일반인들에게 아직 낯선 장애인영화제 홍보를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장애인에게도 작은 콘서트를 관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작년에 비해 사전제작지원에 응시하는 작품의 숫자도 늘고 작품의 질도 늘어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이나 장애인들도 장애인영화제에 관심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 평상시 한국영화 관람이 어려운 장애인들이 영화제에서 제공하는 보조기기(FM보청기, 화면 해설기, 자막 등)을 이용하여 영화를 즐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영화 관람하러 극장을 방문하여 갤러리에나 가야 볼 수 있는 미술 작품들을 손으로 직접 만지며 감상하고 작가들이 직접 작품 설명하여 이해하기 훨씬 좋았으며 작품을 감상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1회에서부터 5회까지의 영화제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장애인영화제는 이제 더 이상 장애인들만의 행사가 아닌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의 화합의 장이 되었고 또한 일상생활에서 영화라는 비장애인에게는 쉽지만 장애인에게는 쉽게 자주 접하기 어려운 부분을 당연히 누려야할 권리로써 인식함으로써 장애인의 문화생활과 여가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되어진다.
3. 장애인 스포츠 문화생활의 문제점
장애인의 스포츠 및 문화활동에 있어서 장애인들의 여가와 스포츠활동을 위한 사회, 문화생활시설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며, 지역사회간 자원의 편중도 심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여가 및 스포츠활동에 대한 국가적 노력이나 사회의 의식구조가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의 여가와 스포츠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법적, 제도적 장치 마련과 장애인 프로그램을 시행할 수 있는 서비스공간의 확충 및 서비스전달체계의 확보가 마련되어야 한다.
Ⅲ. 결론
1. 장애인 스포츠 문화활동의 개선방향
①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이 여가 및 스포츠 활동에 완전하고 평등하게 참여 할 수 있도록 공공시설의 편의시설과 정보 등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 대중교통수단을 정비하여야 하며, 그 활동을 지원하는 시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시행해야 할 것이다.
② 국가는 장애인체육시설과 문화 활동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발전을 위해 장애인체육전담기구와 장애인문화전담기구를 따로 설치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운영해야 할 것이다.
③ 국가는 문화소외 되어있는 청소년 장애인과 여성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여가 및 스포츠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운영하는 전문기구를 설치해야 할 것이다.
④교육기관은 장애인의 문화소외를 예방하고 여가 및 스포츠활동을 정상화하기 위해 일선 교육현장의 교육과정에 자격 있는 예체능 전담교사를 배치하여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예능 교육을 실시해야 할 것이다.
⑤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들의 여가 및 스포츠활동공간을 확충하기 위해 지역사회의 장애인복지관, 사회복지관, 지방문화원, 스포츠문화 등에서 일정비율의 장애인프로그램을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감독해야 할 것이다.
⑥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내의 여가 및 스포츠활동의 수요를 측정하여 지역사회중심의 차별화된 장애인 문화 및 스포츠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보급할 것과 인접지역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프로그램의 지역 간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전달체계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⑦ 대중시설은 일반 정보자료에 장애인의 이용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며, 내용에 접근 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장애인이 다른 사람과 동등한 여가 및 스포츠활동 기회를 가지도록 보장하여야 한다.
⑧언론매체는 프로그램의 일정비율을 할애하여 가정과 지역사회에 장애인의 여가 및 스포츠 활동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장애인의 여가 및 스포츠활동의 기능을 강화하고 장애인에 대한 일반 사람들의 태도와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대중교육과 인식 계몽운동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⑨ 장애인의 여가, 스포츠 활동에 있어서의 의사결정에 장애인들의 참여를 보장해야 한다.
2.조원들 생각
참고 문헌
최영하, “놀이의 本質과 機能”, 精神遲滯兒의 놀이지도, 형설출판사, 1996 pp 15~41.
이종문, “최신 레크레이션교실 上下”, 국일문학사, 1994.
한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과정 문상민, '정치경제적 관점에서의 장애의 개념' 중에서
http://www.jeongnip.or.kr/
http://www.pdff.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