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필요성
Ⅱ. 목적
Ⅲ. 기대효과
Ⅳ. 프로그램 수행방법
1. 대상 및 선정절차
2. 단위사업(활동내용)
4. 수행인력
5. 필요한 시설 및 장비
6. 협력관계
Ⅴ. 추진 일정표
Ⅵ. 총괄 진행표
Ⅶ. 평가계획
1. 평가기준
2. 도구
3. 방법
4. 시기
Ⅱ. 목적
Ⅲ. 기대효과
Ⅳ. 프로그램 수행방법
1. 대상 및 선정절차
2. 단위사업(활동내용)
4. 수행인력
5. 필요한 시설 및 장비
6. 협력관계
Ⅴ. 추진 일정표
Ⅵ. 총괄 진행표
Ⅶ. 평가계획
1. 평가기준
2. 도구
3. 방법
4. 시기
본문내용
-----------------+-----------------------------------------+
|2. 상하를 구분할 수 있다. |17.청소를 할 수 있다. |
+-----------------------------------+-----------------------------------------+
|3. 앞, 뒤를 구분할 수 있다. |18.수행하는 작업에 집중이 가능하다(10분, |
| | 5분, 2분, 1분) |
+-----------------------------------+-----------------------------------------+
|4. 길고, 짧음을 구분할 수 있다. | |
+-----------------------------------+19.정해진 시간동안 한자리에서 작업 가능 |
|5. 요철, 면적의 중심 등 공간개념이 | (1시간, 30분, 10분, 5분) |
| 있다. | |
+-----------------------------------+-----------------------------------------+
|6. 색을 구분할 수 있다. | |
+-----------------------------------+20.작업 재료가 없을 때 도움 없이 찾을 수 |
|7. 같은 모양끼리 맞출 수 있다. | 있다. 도움을 청한다. |
+-----------------------------------+-----------------------------------------+
|8. 시력 상( ) 중( ) 하( ) |21.안전 규칙을 지킨다. |
+-----------------------------------+-----------------------------------------+
|9. 청력 상( ) 중( ) 하( ) |22.휴식시간을 지킬 수 있다. |
+-----------------------------------+-----------------------------------------+
|10.손가락 기능이 정상이다. |23.작업 중 최소한의 말만 한다. |
+-----------------------------------+-----------------------------------------+
|11.손가락 기능이 정상이다. |24.작업 중 혼란 없이 작업 가능 |
+-----------------------------------+-----------------------------------------+
|12.수를 셀 수 있다. |25.작업 종료 후 작업재료, 공구정리 가능 |
+-----------------------------------+-----------------------------------------+
|13.불량을 구분할 수 있다. |26.작업실의 질(3/4, 2/4, 1/4) |
+-----------------------------------+-----------------------------------------+
|14.깨지기 쉬운 용기를 다룰 수 있다.|27.작업의 속도 |
+-----------------------------------+-----------------------------------------+
|15.작업 준비를 할 수 있다. |28.새로운 작업을 배우는 속도 |
+-----------------------------------+-----------------------------------------+
3. 방법
1) 단위프로그램
모든 평가는 대상자와 평가자간에 1:1로 이루어지며 단위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 진행자가 그 프로그램의 목표행동에 대해 면밀한 과제분석을 실시하고 과제분석표를 작성하고 이 과제 분석표에 따라 5점 척도(5점-스스로 잘함, 4점-언어적 촉구에 의해 스(p.875)스로 잘함, 3점-언어적 도움/시범으로, 2점, 언어적/신체적 도움, 1점-전반적인 도움으로)혹은 3점 척도(3점-잘함, 2점-약간 도움으로, 2점-신체적 도움으로, 1점-전반적 도움으로)로 평가자의 판단에 따라 평가한다.
2) 전반적인 평가
심리검사 전문가에 의뢰하여 위에서 말한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한다.
4. 시기
1) 단위프로그램
① 프로그램시작 전
② 프로그램 진행 중
③ 프로그램 수정 / 보완이 필요할 때
④ 종료 전
2) 전반적인 평가
① 입소(배치)후 2개월 경과후
② 1차 IPP 회의 후 6개월마다 재평가
③ 종료(퇴소)전
|2. 상하를 구분할 수 있다. |17.청소를 할 수 있다. |
+-----------------------------------+-----------------------------------------+
|3. 앞, 뒤를 구분할 수 있다. |18.수행하는 작업에 집중이 가능하다(10분, |
| | 5분, 2분, 1분) |
+-----------------------------------+-----------------------------------------+
|4. 길고, 짧음을 구분할 수 있다. | |
+-----------------------------------+19.정해진 시간동안 한자리에서 작업 가능 |
|5. 요철, 면적의 중심 등 공간개념이 | (1시간, 30분, 10분, 5분) |
| 있다. | |
+-----------------------------------+-----------------------------------------+
|6. 색을 구분할 수 있다. | |
+-----------------------------------+20.작업 재료가 없을 때 도움 없이 찾을 수 |
|7. 같은 모양끼리 맞출 수 있다. | 있다. 도움을 청한다. |
+-----------------------------------+-----------------------------------------+
|8. 시력 상( ) 중( ) 하( ) |21.안전 규칙을 지킨다. |
+-----------------------------------+-----------------------------------------+
|9. 청력 상( ) 중( ) 하( ) |22.휴식시간을 지킬 수 있다. |
+-----------------------------------+-----------------------------------------+
|10.손가락 기능이 정상이다. |23.작업 중 최소한의 말만 한다. |
+-----------------------------------+-----------------------------------------+
|11.손가락 기능이 정상이다. |24.작업 중 혼란 없이 작업 가능 |
+-----------------------------------+-----------------------------------------+
|12.수를 셀 수 있다. |25.작업 종료 후 작업재료, 공구정리 가능 |
+-----------------------------------+-----------------------------------------+
|13.불량을 구분할 수 있다. |26.작업실의 질(3/4, 2/4, 1/4) |
+-----------------------------------+-----------------------------------------+
|14.깨지기 쉬운 용기를 다룰 수 있다.|27.작업의 속도 |
+-----------------------------------+-----------------------------------------+
|15.작업 준비를 할 수 있다. |28.새로운 작업을 배우는 속도 |
+-----------------------------------+-----------------------------------------+
3. 방법
1) 단위프로그램
모든 평가는 대상자와 평가자간에 1:1로 이루어지며 단위 프로그램의 경우 프로그램 진행자가 그 프로그램의 목표행동에 대해 면밀한 과제분석을 실시하고 과제분석표를 작성하고 이 과제 분석표에 따라 5점 척도(5점-스스로 잘함, 4점-언어적 촉구에 의해 스(p.875)스로 잘함, 3점-언어적 도움/시범으로, 2점, 언어적/신체적 도움, 1점-전반적인 도움으로)혹은 3점 척도(3점-잘함, 2점-약간 도움으로, 2점-신체적 도움으로, 1점-전반적 도움으로)로 평가자의 판단에 따라 평가한다.
2) 전반적인 평가
심리검사 전문가에 의뢰하여 위에서 말한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평가한다.
4. 시기
1) 단위프로그램
① 프로그램시작 전
② 프로그램 진행 중
③ 프로그램 수정 / 보완이 필요할 때
④ 종료 전
2) 전반적인 평가
① 입소(배치)후 2개월 경과후
② 1차 IPP 회의 후 6개월마다 재평가
③ 종료(퇴소)전
추천자료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관한 고찰
직업재활의 과정과 장애인 취업을 위한 과제
[성기능장애][성장애][성기능문제]성기능장애(성장애, 성기능문제) 특징, 성기능장애(성장애,...
[정신장애인직업재활][직업재활정책][직업재활서비스][장애인고용촉진]정신장애인직업재활(직...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정책 이념,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제도 변천, 장애인노동자 ...
[재활복지]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및 실현방안
장애인의 직업재활과 고용
[직업재활]장애 유형에 맞는 직업재활 연구보고서
장애인복지기관에서 실시하는 프로그램과 최근 장애인 복지현장의 이슈를 알아본다.
장애 청소년의 직업재활 및 과제
장애인 인식 개선 프로그램
[내부장애, 내부장애 정의, 신장장애, 심장장애, 직업재활, 내부장애인, 장애인, 내부기관장...
장애인복지_장애인복지개념, 외국장애인복지변천, 장애인구현황, 장애의유형, 장애인정책,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