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간(LIVER)
Ⅱ. 간의 구조(Liver Structure)
Ⅲ. 간의 기능(Liver Function)
1. 간의 당대사
2. 간의 지방대사
3. 간의 단백질 대사
4. 담즙 대사
Ⅳ. 간의 혈관분포
Ⅱ. 간의 구조(Liver Structure)
Ⅲ. 간의 기능(Liver Function)
1. 간의 당대사
2. 간의 지방대사
3. 간의 단백질 대사
4. 담즙 대사
Ⅳ. 간의 혈관분포
본문내용
지로 나뉘며, 종말가지가 동양혈관으로 열림.
④ 간세포띠 사이의 간동양혈관은 문맥 및 간동맥에서 혈액을 받아 간소엽 중앙에 위치한 중심정맥으로 보냄. 동양혈관의 벽은 편평한 내피세포와 큰 간대식세포로 이루어짐. 간대식세포는 포식 작용이 있으며, 흔히 파괴된 적혈구, 색소 및 철분이 많은 과립을 포함.
⑤ 간정맥은 심장 근처에서 하대정맥으로 열리며, 따라서 간은 장과 전신순환 사이에 놓여 장에서 흡수된 물질(림프관을 통한 것은 제외)을 받음.
참고문헌
미석강. {인체 생리학}. 계축문화사, 1999.
홍승길. {인체 생리학}. 고려의학
박형우. {인체 해부학}. 신광출판사, 2002.
노민희 외 2인. {[새 해부학용에 의한] 인체 해부학}. 고문사.
인원택 외 5인. {인체 해부 생리학}. 도서출판정담
④ 간세포띠 사이의 간동양혈관은 문맥 및 간동맥에서 혈액을 받아 간소엽 중앙에 위치한 중심정맥으로 보냄. 동양혈관의 벽은 편평한 내피세포와 큰 간대식세포로 이루어짐. 간대식세포는 포식 작용이 있으며, 흔히 파괴된 적혈구, 색소 및 철분이 많은 과립을 포함.
⑤ 간정맥은 심장 근처에서 하대정맥으로 열리며, 따라서 간은 장과 전신순환 사이에 놓여 장에서 흡수된 물질(림프관을 통한 것은 제외)을 받음.
참고문헌
미석강. {인체 생리학}. 계축문화사, 1999.
홍승길. {인체 생리학}. 고려의학
박형우. {인체 해부학}. 신광출판사, 2002.
노민희 외 2인. {[새 해부학용에 의한] 인체 해부학}. 고문사.
인원택 외 5인. {인체 해부 생리학}. 도서출판정담